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PK 공학 박사의 메리트가 어떤게 있을까요?

2022.05.23

10

7378

다른 분야 말고 기계공학,전자공학,컴공 같이 수요 많은 전공에서 서울대,포항공대,카이스트 공학 박사 학위 취득의 장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일단 제가 아는 단점으로는 학사 취업보다 취업문이 훨씬 좁아진다는점, 학위 기간동안에 받는 정신적 및 경제적 스트레스 그리고 막상 박사학위로 취업한다해도 고연봉 및 정년보장X 등등 이 정도로 알고 있는데 장점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SPK 공학 박사에 한정해서 질문드리는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5.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학박사 학위는 한해 대졸 인원에 비하면 적은 숫자이기 때문에 장점도 많음,,,대기업 가도 학,석 보다는 많은 연봉을 받고, 시작도 과장급으로 시작하고, 정출연으로 가도 연봉이 그리 적은편이 아니고, 적당한 보수를 받으며, 대개 정년까지 하는편인데(중간에 교수나 창업으로 나가기도 함) 공무원이 60세이고, 정출연은(분야마다 다를수는 있음) 61세 까지로 우수연구원으로 선정되어 65세까지 하는 경우도 있어나 62~3세 되면 정리하고 조그만 연구소를 창업하거나 퇴직후 같이 연구하는 경우도 있음(대기업도 마찬가지임), 교수로 나가면 연구와 보수, 명예등도 얻을 수 있고 50세 이후는 연구도 어느 궤도에 올라 학과 유명교수로 학계에서 이름을 알리고 살아갈수도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될 것 같음(꼭 서카포가 아니라도 분야별로 타대학 연구실 출신들도 그런 경우가 많아서 공학 박사학위 장점이 서카포에 한정 되지는 않은 것 같음)
기쁜 비트겐슈타인*

2022.05.23

“학사 취업보다 취업문이 훨씬 좁아진다는점”

이걸 곰곰히 생각해보면, 표면적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많은 필요한 정보들이 생략되어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해요. 물론 상당수의 일의 특성이 박사급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연구와 같은 부분은 내부승진을 제외하곤 박사급이어야만 갈 수 있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또 많은 대기업들이, 최소 미국기준으로, 빨리 변하는 세상에 대응하기위해 R&D 파이를 많이 키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취업문이 좁아지는 건 많지만, 연구직으로 가자면 갈 곳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실력과 인품이 좋다면 취업이야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옹졸한 버지니아 울프

IF : 1

2022.05.23

SPK 출신에 대한 장점하고 박사 학위자에 대한 장단점을 구분해서 생각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2022.05.23

분야마다 조금 다를순있겠지만, spk에서 박사학위 받으면서 받는과정이 힘든것은 많이 봤어도, 박사학위받고 후회하는 경우는 못봤습니다. 박사학위 받는과정이야 연구실마다 편차도 워낙 크고, 전세계 어느곳이나 똑같이 겪는 어려움이라고 생각되니 넘어간다 치고요.
주변에서 학위받고 학계로 못간경우는 봤어도, 대기업조차 못가는건 못봤습니다. 웬만큼 잘굴러가는 연구실이면 대기업 가는건 미니멈 디폴트라고 생각하고, 사람에 따라서 학계로 가려고 노력하는 느낌입니다.

대댓글 1개

IF : 5

2022.05.23

박사받고 후회 잘 안하는 이유는 후회할만한 사람들은 그 전에 나가서...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냥 박사들고 연구직에 계속 있을 수 있어서 좋아요. 이직하기에도 유리하고..

2022.05.23

1. 그래도 열심히 살았겠거니 하고 주변에서 봐준다.
2. 결혼정보회사 등급이 올라간다
3. 정출연으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린다
4. 문제에 부딪혔을 때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독립적인 연구자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다
5. 도전적인 주제로 연구를 해보고, 기어이 단점들을 하나하나 극복해나간 경험이 있다면 추가적으로 도움이 된다.
6. 당연히 될줄 알았는데 안되는 것들에 깨지면서 겸손해지게 된다.
답답한 박경리*

2022.05.23

한국 대학원은 가는 거 아닙니다

2022.05.24

학사보다 취업문이 좁아지죠.
나쁜데 가지 않고 좋은데 중에 골라가니까요 ㅎㅎ

2022.05.25

현대사회에서 종의 체험을 할 수 있다
최저시급도 못받음
회사다니면서 대학원 다니는 사람
논문 도와줌
남들 돈 쓸 때 돈없어서 못씀
검사가 3급 공무원인데 공학박사후 3급 공무원 아님.

2022.05.27

spk 에서 교수님과 분야만 잘 고르면 등록금 다 내고도 추가로 중견기업급 인건비 받고 학위과정 할 수 있어요. 사실상 회사원 생활을 대학원에서 하면서 학위까지 받을 수 있는거죠.

그리고 윗분들 말씀대로 진로가 최소 대기업 연구원 이상일텐데, 대기업 취업하면 과장으로 들어가니 학석사분들보다 많이 유리한 게 사실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