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공계 진로는 왜 한계가 명확할까요

2020.04.05

37

15894

직업이 한정된거 같습니다( 소수 IT창업 예외)


설포카 기준으로도

1. 교수

2. 대전정출연구소

3. 대기업(삼전 하닉SK)연구소


문송합니다 해도 설포카급 문과라면 대형로펌에 상한선도 높을테구요.


명색이 대한민국 수출원동력인데 대우는 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7개

Alessandro Manzoni*

2020.04.05

대학원에 이미 고인대로 고인 문화도 한몫 하는거같음... 잡일만 하거나, 인격모독당하는 등 이런곳에 있으면 자연스레 한계가 정해지는 느낌이랄까. 막상 외국에서 석박하면 정말 진로가 다양한데

2020.04.05

ㄴ정말 국내에서는 이공계 길이 끝인걸까요? ㅠ 그분야 엘리트로 졸업해서도 전문직에 비교당하는 삶을 삭히며 살아야하나요

2020.04.05

뭘 하고싶은지 모르겠는데 1 2 3 말고 다른거 하고싶으면 알아서 준비하면 될일입니다.
진로 다양성을 원하는지. 부와 권력이 따라오는 진로를 원하는지 모르겠는데 전자에 해당하는 출판사니 ngo니 스타트업이니 하는거 1 2 3보다 대우가 못해서 안하는거니 원하면 준비하시면 되고 대형로펌이나 컨설팅펌 파트너들과 비교를 하고싶으시면 거긴 3의 일반 직원들이 아니라 임원급과 비교해야합니다. 1년에 저런자리 나오는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 잘 모르시는듯.

IF : 1

2020.04.05

흔히 비교하는 전문직들과 금전적 대우차이는 분명 있는데, 그 직업들이 상대하는 사람들을 통해 받는 스트레스 생각하면 전 차라리 돈 좀 덜받더라도 이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Pär Lagerkvist*

2020.04.05

설포카 문과가 대형로펌? 잡대생이라 현실인식이 개차반이네

2020.04.05

John 님 전문직들은 상위직급 이외에도 개업을 통한 긴 정년, 소득이 보장된 개업 이라는 장점이 있죠. 한국 이공계는 모르겠지만
Robert Koch*

2020.04.05

타국은 안그럴거 같냐?
다 똑같애

2020.04.05

ㄴ설포카 학석박사딸 정도급 인재가 문과로 간다면 서연고 로스쿨이나 4대법인 회계사 충분히 가능할텐데요?
Robert Koch*

2020.04.05

회계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0.04.05

ㄴ한국은 그래도 전문직이다 라는 인식이 대중들에 널리퍼져서 이공계 하대 당하는거 다들 아시면서 왜 그러시지 사회가 바뀌어야되는데
Robert Koch*

2020.04.05

윗윗 댓글 말대로 현실인식 개차반이네 4대 법인 회계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니눈엔 CPA가 좆밥으로 보이디?

2020.04.05

회계사에서 웃고 갑니다 ㅋㅋㅋ

2020.04.05

어차피 잘 가는 사람은 어디든 잘 감 ㅋㅋ 인터넷에 안오지 ㅋㅋㅋ

2020.04.05

2년 정도의 수험기간으로 스카이 뿐 아니라 서성한중경외시 같은 곳에서도 꾸준히 합격하는게 CPA인데 설포카 급 두뇌들이 안될 리가 있을까요? 장수생으로 남는게 소수일듯

2020.04.05

제가 회계사 현실 잘모르는건지몰라도 대중들 인식은 그렇습니다. 그에 따른 여러분들 대접도 그럴거구요
Robert Koch*

2020.04.05

너 CPA 평균 수험기간 공식통계가 3.7년이고 5년이상 수험하는 사람 비율이 30%가 넘어가는건 아냐?
그냥 머저리가 지 이과 전공한다고 문과 개무시할려는 근본 없는 선민의식으로 가득찬 모지리새끼였네.

2020.04.05

스카이나 설포카만 따로 평균내보세요 그래도 그럴지
Robert Koch*

2020.04.05

현실을 모르면 입을 다물어야 반은 가지 ㅋㅋㅋㅋㅋㅋ
남에 전공, 남에 밥벌이 시장상황도 모르면서 주둥아리를 털은거야?
이런 능지로 대학원 어떻게 갓지?

2020.04.05

그럼 한번 말해보세요 ㅎㅎ 최소 제가 아는 카이스트, 포스텍, 서울대공대 회계사 준비했던 지인 중에 2년 반 넘긴 사람은 없었네요. 학부 재학 중에 붙은 사람도 있음
Robert Koch*

2020.04.05

포카가 뭔 CPA야 이 븅신새끼야 CPA는 경영학과가 치는 시험인데 ㅋㅋㅋㅋㅋ
전국 CPA 합격자 대학 학벌 차트 매년 공개하는데 거기에 공과대학 카이스트, 포공이 있디?
그리고 서울대는 CPA 합격자수 서울 시립대보다 떨어지고 이대랑 노는 하위권이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0.04.05

5급 행시나 회계사나 종종 치는데 본인이 못봤다고 무시하는 수준. 서울대 옛날엔 CPA 기피하다가 요즘은 다시 공대생들조차 여럿 준비합니다만. 합격생TO늘어나고 대우좋아져서
Robert Koch*

2020.04.05

응 서울대 2019년 CPA 합격자 81명 ^^
고대 200명, 연대 180명, 한양대 100명 배출할때 대단하게 81명 ^^
Robert Koch*

2020.04.05

그리 잘나셧으면 학점은행제로 경영학과 학점 이수하고 CPA나 준비하시지 ㅋㅋㅋ
능지랑 현실 인식 꼬라지 하고는 ㅋㅋㅋ

2020.04.05

ㄴ서울대학벌로는 서연고 로스쿨 빠지는거죠. 서울대가 합격생이 적다고 연고보다 못하다고 생각하시는건 아니죠?
Alessandro Manzoni*

2020.04.05

이공계도 cpa 많이치는데ㅋㅋ 서울대 이전에 cpa기피하다가 최근들어 다시치는것도 맞음 최근 합격자 수 어떻게 변하는지 보면 알텐데

2020.04.05

ㄴ그러니까요 ㅉㅉ 회계사 대우가 나은지 이공계학석박 대우가 나은지 몰라도 학생들 선호도 보면 최소한 대중들 인식이 어떤지 알 수 있겠지. 설포카 공대까지 갈 이공계 인재들이 회계사를 준비하기까지 어떤 생각들을 했을까
Jean-Philippe Rameau*

2020.04.05

윗댓글 말 맞음 본인부터 차트보고오길.. 그리고 지잡대애들이 평균수험기간을 올려나서 그렇지 주변 sky친구들보면 2년바짝하면 거의붙어요 유예제도있어서
Alessandro Manzoni*

2020.04.05

근데 sky간사람들이야 시험머리가있으니 금방금방 붙는거고, 포카까지 cpa 금방붙는건 동의하기 힘듬. 포카에서도 내가 알기로 전문직 준비하는사람 많은데 실제 붙는사람 보면 1자리 겨우 나옴. 선행학습 및 국내제도 측면에서 좀더 쉽게 대학간 학생 vs 바짝살면서 공부한 스카이생 난 갠적으로 후자가 우위라고 생각

대댓글 1개

2021.09.12

개소리 잘하시네.. 문과는 언급안하겠고 이과 ky는 pk상대로 끈기든 사고력이든 시험 스킬이든 어느하나 우위에 못있어. 과고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고에서도 ky는 쉽게 가도 pk가려면 죽을똥싸야한다. 병*ㅋ
Pär Lagerkvist*

2020.04.05

CPA는 허접 시험이고 따봐야 별 거 없음. 군대가서 붙어 나온 애들도 몇 봤다
그리고 S대공대 나온애들 40대에 임원이나 교수 간 애들 발에 치임
Alexandre Dumas*

2020.04.05

어이구 병신들

2020.04.05

어이구 븅신들 ㅋㅋ

2020.04.06

그건 님 한계고 전 책도 쓰고 사업도 할건데여

2020.04.06

외국이라고 그렇게 다르진 않을텐데요..
전문직은 어느 나라나 샐러리가 상당합니다.
박사 학위 자체가 나에게 어떤걸 주는게 아니라,
학위를 발판으로 무얼 할 것인지는 본인의 선택이죠.

한계가 있다고 여기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흔히들 가는 길만 따졌기 때문에 그런겁니다.

솔직히 교수, 정출연 정도면 웬만한 전문직보다 좋은 워라벨과 나쁘지 않은 샐러리를 받는데... 그게 한계라고 생각한다면 할말이 없네요.

특히나 코로나 사태를 보면, 의사들이 얼마나 개고생할지는 안봐도 훤한데.. 너무 세상을 쉽게 생각하는건 아닌가 싶네요.

2020.04.06

ㄴ 어차피 여기 오는 애들 수준이 다 그모냥이라 그러함.

2020.04.07

Always remember...under the BORAM....

2020.04.10

대형로펌이랑 4대펌 회계사는 동일 급간이 전혀 아니에요... 진짜 뭘 한참 모르시는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