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박사 과정 중 한국사, 텝스, 대학원학점 등으로 전문연구요원 자격을 얻은 후에 졸업 후 1년 병역특례 업체 근무
이렇게 있는걸로 아는데
혹시 박사 과정 중 전문연구요원 자격을 취득하지 않고
1번처럼 박사학위 취득 후에 병역특례 업체로 취직하여 대체복무를 하는게 가능할까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2.04.27
가능은 한데 왜 그렇게 하죠?
대댓글 1개
2022.04.27
답변 감사드립니다!
먼저 저의 연구분야는 어플리케이션의 성격이 강한 분야입니다.
현재 지도교수님께서 연구실에서 진행하던 연구를 기반으로 창업을 하신 상태고
저에게 보여주신 비전이 마음에 들어
평생은 아닐지라도 계속해서 함께 일해도 좋을 것 같다는 확신이 든 상태입니다.
사실 회사일도 병행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부족한 것 같네요.
전문연구요원 준비를 위해서는 텝스 공부를 해야하니 시간 분배에 대한 고민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고민하던 중
회사가 병역지정업체로 선정되었을 때 박사 졸업하고도 1번처럼 하면 좋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2022.04.27
가능은 하겠습니다만 현재 28세 (만으로는 26세쯤 되실 것 같고...)라고 하신 상황에서는 다소 비현실적입니다.
만 28세가 된 12월 31일이 지나는 순간 입영통지서를 받으시게 되기 때문입니다. 운이 정말 좋거나 교수님과 졸업에 대한 기준을 잘 논의하셔서 정한 경우에나 가능하다고 봅니다.
https://www.mma.go.kr/contents.do?mc=usr0000174
2022.04.29
나이제한걸려요 박사하다가 끌려갑니다
2022.04.29
텝스에 시간 좀 써서 전문연 통과할 수 있다면 공부하시는기 좋아요.
전문연이라는게 결국 족쇄이기때문에 가능한 빨리 끝내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그리고 3자가 보기에 너무 불안한상황인것도 맞고요...
박사 몇년차인지 모르겠지만 28살이면 이미 전문연 시작해서 끝나가는 시점입니다. 졸업이 언제인지 몰라도 군대 연기가 어려울 수 있어요. 그리고 교수님 회사도 특례업체 등록이 된것도 아니고 마냥 기다릴 순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면 교수님 회사 취업 후 전문연하고있으면 마음에 안들어도 이직이 힘들어요.... 자유로운 신분으로 교수님회사로 가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2022.04.27
대댓글 1개
2022.04.27
2022.04.27
2022.04.29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