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에 석사과정 힘들다고 글 썻는데.. 저는 원래 이런 곳이라 생각했는데 다른 분들 어떤지 너무 궁금하네요.
올해 석사 처음 입학했는데 지금까지 수업 외에 배운 것이 하나도 없네요.
지금 연구실에도 동기 한명뿐인데 누가 가르쳐주는 사람 한명도 없어요. 동기가 저보다 잘하긴하는데 직접 나서서 알려주진 않고 이렇게 해봐라 저렇게 해봐라 알려주지 티칭은 없어요ㅜ.
사실 입학하면 소프트웨어도 누가 옆에서 알려주고 관련 지식같은 거 배울 줄 알았는데 교수님께서는 논문 주제 정해주시고 ppt 정리해서 오라하시고 정리해오면 같이 옆에서 봐주시는데 가르쳐준다기보다는 다음에는 이걸해보면 되겠다는 방향만 잡아주십니다. 저희 랩이 관련 소프트웨어랑 Matlab을 많이 사용하는데 논문에 관련된 Matlab code도 혼자 다 짜야하고 벅차네요. 다른 랩실 사정보니 선배들이 짜놓은 code 배우기도 하던데 얌체같이 훔칠 생각이 아니라 그래도 Guide를 받고싶은데 모든 수식 다 혼자 짜려하니 힘드네요. ㅜㅜ저는 석사 입학해서 처음 Matlab 사용해봤어요.. 그래서 논문에 나와있는 수식 Code짜는데 엄청난 시간 걸립니다.. 답답하네요 ㅜㅜ 주변에 선배도 없어서 어떻게 헤쳐나가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원래 석사 다 이렇게 맨땅에 헤딩하듯이 시작하나요?
이러다 시간만 보낼 거 같아서 걱정입니다.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IF : 5
2022.04.18
농반진반으로 말하자면 그래도 교수가 가이드는 해주네요 ㅋㅋ
겪고계시는게 하드트레이닝이긴 해도 정상범주에서 크게 벗어난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동안 가르쳐주고 해주던 공부에 익숙해져있다가 스스로 뚫고나가는 공부로 전환하려니 당연히 힘들죠.
대댓글 2개
2022.04.18
하드트레이닝..? 저 제자리 걸음 중이에요 ㅜ
IF : 5
2022.04.18
대학원과정 자체가 작은 시간단위로 쪼개서 성과를 생각할수록 답이 안나오게 되어있어요. 뒤로 가는 날도 많고 아예 안움직이는 날도 많을거예요. 하나씩 천천히 해치우려고 해보세요. 이제 겨우 4월 중순...
2022.04.18
나도 첨에 암것도 없이 혼자 공부하다가 과제하나 들어갔는데 무슨 학부과제 수준이라서 그거하고 혼자 논문 정리하고 이것저것 구현해가니까 교수님이 할만한 과제 던져주던데.. 석사부턴 진짜 자기 스스로 해야하는듯. 그게 억울할 수도 있는데 적지 않은 랩이 그럼. 석사 1학기 동안 아예 개인 미팅 없는 이상한 곳도 있음 ㅋㅋ 방향을 잡아주는거면 이미 교수의 역할은 끝난거라봄
대댓글 1개
2022.04.18
저 졸업가능?할까요 ㅋㅋㅋ
밝은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4.18
대학원은 스스로 떠먹는 곳입니다. 선배가 떠먹여준다고 해도 졸업은 자기 몫이죠. 결국은 자기 스스로 해내는것이고 그럴 자격을 스스로 갖춰야 졸업 후에 사회에서 살아남죠.
대댓글 1개
2022.04.18
아니 ㅜㅜ 스스로 떠 먹고싶은데.. 저 숟가락질 안배웠어요
침착한 아리스토텔레스*
2022.04.18
그맛에 석사 초년차 하는거에요 ㅋㅋ
대댓글 1개
2022.04.18
님도?ㅎㅎ
2022.04.18
이전 선배들은 어떻게 하고 졸업했나요? 일단 계속 이렇게 진행되어온건지, 이러고 성과를 잘 가져간 선배가 있는지, 아니면 선배들 땐 사람이 많다가 어쩌다보니 사람이 안들어와서 이렇게 된건지, 아니면 신생랩인건지도 고려해볼 사항인거 같아요
밑에 글에도 댓글 달았지만 전 석사는 일단 기본기는 배우고 심화적으로 본인이 헤쳐나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기본기를 못배울꺼면 다른 랩실 가는게 맞아요 혼자 하는것도 한계가 있고 효율이 있는거니까요
대댓글 3개
2022.04.18
숟가락질은 배우고 밥먹으란거죠~?ㅋㅋㅋ
2022.04.18
랩에 박사님들 계셨는데 지금 다 졸업하셨어요!
이제 동기 2명이랑 왕고네요~ 1학년이에요 근데 같이 온 동기는 학부연구생부터 있었어요. 근데 따로 배우거나 안했다는데 혼자 잘하더라고요. 원래 센스가 타고난 친구였던 거 같아요. 저는 쪼렙 허접이고 매우 힘들어서 졸업장만 따고 졸업하는게 아닐까 싶어 걱정태산입니다!~
2022.04.18
제가 생각하기에는 동기가 학부연구생때 부터 있었고 이전에 박사님들이 있었다면 동기가 박사들에게 하나도 안배웠을까 싶네요 따로 안배웠다가 동기만의 생각일수도 있고(너무 기초적인거를 배워서 배운거라 생각안하는 근데 그 기초가 있고 없고가 님과 동기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또는 님이 나갈까봐 거짓말 하는거일수도 있고요 (자긴 배웠는데 님은 못배우면 차별적으로 느껴지고, 그래서 님에게 가르쳐주지 않는거도 있을수도)
물론 반대로 학부연구생때부터 이미 박사가 없었고 진짜로 동기가 혼자서 익혔다면 님도 그정도 시간이 지나면 능숙해질수도 있는 부분일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이제 짧게는 2개월, 길게는 4-5개월 랩생활 하셨을테니까요)
글로만 판단해야하니 양쪽 다 생각해보려고 하고 적어보았습니다 뭐가 맞는진 모르겠지만 동기의 학부연구생 기간이 연구실에 선배가 있던 기간과 겹친다면 전 앞쪽에 적은 내용이 맞을꺼 같다는 생각이네요
2022.04.18
다른 글에도 작성했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논문 보고 이렇게 코드 했는데 정상적으로 한 게 맞는지 검토하세요.
그게 너무 걱정된다면 동기한테 물어보세요.
질문했는데 답변안해줄까봐 혹은 주변 동기는 알아서 하는데 질문하는게 창피하다 그런 이유라면...석사 그만두는게 맞아요. 할 수 있는 범위까지 해봤는데 모르면 선배든 누구든 붙잡고 도움 요청해야죠.
교수님께 하나하나 모든 걸 다 질문하는 것은 잘못된 행동이지만, 최소한 자신이 하고 있는게 제대로 하고 있는지 정도는 물어볼 수 있어요.
오히려 교수님 입장에서도 할 줄 모르는데 질문 안하는 것도 답답한 상황입니다.
진짜 못할거같으면 질문하세요.
http://www.yes24.com/Product/Search?domain=ALL&query=matlab
아니면 matlab 사용법 모르면 본인 돈으로 사든 교수님께 얘기드려서 과제비로 사든 사셔서 공부하세요. 단순히 이 상태에서 걱정만 하시면 해결될 건 없어요.
밝은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4.18
분야는 다르지만 원래 교수라는 사람은 너 이 프로젝트 해! 라고 하고선 신경안쓰고 결과만 재촉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숟가락질을 안 배웠으면 스스로 배워서라도 해야죠. 그게 기본 마인드입니다. 다른랩은 박사가 가르쳐주던데 라고 생각하고있다면 애초에 그 랩을 갔었어야 하는거고 지금 상황에서 그만둘거 아니면 스스로 숟가락질을 배우고 숟가락이 없으면 숟가락부터 만드세요. 많은 사람들이 그런식으로 졸업해 왔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4.19
혹시 선생님도 저와 같은 상황이였고 도움없이 잘 헤쳐나가셨나요 ㅠ?
밝은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4.18
이전 글도 그렇고 이 글도 그렇지만 사실 다른 랩은 선배가 가르쳐주는지 여부가 뭔이 중헌지 전혀 모르겠어요. 다른 랩이 그렇다면 거기로 옮길 수 있는것도 아닐텐데 말입니다. 주어진 상황에서 해결을 할 생각을 해야지 다른 곳이 이러든 저러든 상관없는 것 아닐까요?
대댓글 1개
2022.04.19
선생님도 잘 하셨나봐요 부러워요
2022.04.19
저도 교수님이 대주제만 주시고 맨땅에 헤딩하면서 배우신 했어요. 처음 1년은 미팅을 열번 미만으로 했던 것 같네요.
그렇게라도 계속 하면 나중엔 어찌 어찌 실력이 늘긴 합니다.
물론 학위 초기에는 마이크로매니징 해주는 보스가 있는 게 쉽게 가는 길인 거 같긴 해요.
대댓글 3개
2022.04.19
배우신* 배우긴
2022.04.19
지금은 내 세부 주제는 내가 가장 잘 알아서 누가 지적질 하는 거 듣기 싫네요.. ㅎㅎ
2022.04.19
어떤식으로 공부하셨어요?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나요??ㅠ
2022.04.19
전 동기 없는 석사2년차인데 code 누가 안가르쳐줘요 ..
code짜는 건 알아서 해야죠. 그리고 매트랩이 딱히 어려운 소프트웨어도 아닌데요
2022.04.18
대댓글 2개
2022.04.18
2022.04.18
2022.04.18
대댓글 1개
2022.04.18
2022.04.18
대댓글 1개
2022.04.18
2022.04.18
대댓글 1개
2022.04.18
2022.04.18
대댓글 3개
2022.04.18
2022.04.18
2022.04.18
2022.04.18
2022.04.18
대댓글 1개
2022.04.19
2022.04.18
대댓글 1개
2022.04.19
2022.04.19
대댓글 3개
2022.04.19
2022.04.19
2022.04.19
2022.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