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반은 공감함. 지방대에서도 충분히 좋은 인재들 있음. 단지 수능공부가 적성에 안맞았던거지 대학와서 본인이 하고싶은 공부에 대해서 만큼은 다를 수 있음. 손흥민이 수능점수가 낮다고 해서 무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또는 아인슈타인, 뉴턴이 수능 물리를 못푼다고 해서 무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음. 다만 반만 공감하는 이유는 그렇게 하나하나 개개인의 사례를 따지면 일반화라는 논리는 세상에 존재할 수 없음. 남자는 여자를 좋아한다라는 명제도 엄밀히 말하면 틀린거임. 동성애자, 무성애자도 존재하기 때문에. 나도 지방대나와서 알지만 지방대애들이 전반적으로 수준 개판인건 팩트임....부정 못하겠음.
결론 지방대에도 충분히 좋은 학생들 인재들이 있다. 그러나 다수는 명문대생에 비해서 떨어지는건 맞다. 고로 인정 받고싶으면 노력해서 실력으로 증명해라.
학벌로 줄세우기가 얼마나 웃기냐면
56
- 대학원생 잘 키워보겠다고 해외학회까지 보내줬구만 저렇게 생각하고 있으니 ㅋㅋㅋㅋ
해외학회 다녀와서 느낀건데 우리교수님 ㅈ밥인거 같음
118
- 메타인지가 늘었지만 그래서 착잡하기도 하고 슬프네요 다른 많은 분들이 지적하듯이 누워서 침뱉기인거 알지만 뭐랄까 우리집 가난하구나를 처음 깨달아버린 아이의 마음 같습니다
해외학회 다녀와서 느낀건데 우리교수님 ㅈ밥인거 같음
49
- 경험상 말 못할 사정이 있긴 합니다..ㅎ
유니스트는 김박사넷 평가 좀 수상하네요
42
- ㅋㅋㅋㅋㅋ 컨셉웃기네
북한에서 대학교 졸업했는데 대학원 지원 어떻게 해야 할까요?
27
김박사넷에서 계속해서 보이는 우문우답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2022.04.04
15
47384

나는 ㅇㅇ 출신인데도 가능할까요?
어떤 학교가 메리트가 있을까요?
학점 몇이고 경력은 어떤데 가능할까요?
목표를 이루려면 어디 학교가 메리트 있나요?
이런식의 우문이 자주 보이고 댓글에선 늘 분쟁이고 "현실적으론 출신이 중요하다", "통계적으로 출신, 학점 등이 영향력있는게 팩트다", "학점은 ㅇㅇ이 마지노선 이다", "연구 실적보다 출신이나 학점이다"뭐 이런 우답이 달리곤 하더라고여.
위의 우답들은 항상 핵심적인 정보를 외면한체 판단을 하는 오류를 범하더라고여.
교원, 연구원, 대학원생이 되는데 가장 중요한 것, 또는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어떤 연구를 수행할 학술적 능력"이 있는가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어떤"이라 생각합니다.여기서 "어떤"은 능력을 정의하는 요소(능력의 구성요소)를 의미합니다.
즉, 교원으로서, 연구원으로서, 대학원생으로서 요구되는 핵심적인 능력을 지녔느냐, 특정 영역에서 얼마나 우수한가가 중요하고 나머진 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출신, 실적의 수, 저널의 퀄리티 이런 것보다 연구의 내용, 연구가 만들어낸 가치, 분야 적합성 등이 가장 중요하고, 이러한 것들이 남이 보기에도 뚜렷하고 확실하다면 다른것들은 무의미하다 생각됩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누군가가 "어떤 것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가"를 평가하기위해 큰비용을 들이지 않는게 빈번하고, 적합성이 아주 높은경우는 드물죠, 그래서 학점, 출신 등등의 상대적으로 별 볼일 없는 정보를 활용하곤 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핵심적인 것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않으니 부수적인 것을 알려는 노력이 필요할까요? 제 생각엔 학술, 연구 등에 종사한다면 내가 목표한 것이 알기 어렵더라도 정확하게 알고자 노력하고 행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핵심 적인 것을 진지하게 연구를 하고있다면, 연구를 하려고 준비한다면, 남이 쉽게 알아볼 수 있을 만큼 성과를 냈을거라 생각됩니다.
목표에 맞게 노력했다면, 노력에 상응하는 업적이있을 것이고, 어떤 것에 관한 나의 능력을 남이 알아볼 것이라 생각합니다.
나만의 어떤 것이 없기에 학점이 뭐다 출신이 뭐다 우문우답이 끊임 없는 것 같아요.
목표가 무엇인지 그것에 필요한게 어떤것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질문이 연구자 커뮤니티에서 할 수 있는현명한 질문이라 생각되고,
현명하지 못한 질문에 핵심을 설명하지 않고 "현실이 그렇다", "통계적으로 보면 사실이다" 등의 핵심에서 벗어난 우답은 안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58
11
23522
-
20
6
7416
-
29
4
2232
김GPT
어쩌다 김박사넷 오게 됐는데,39
33
6205
김GPT
김박사넷 화이팅10
11
2547
김GPT
김박사넷 글보면서 자신감을 갖는다32
25
8036
김GPT
학벌싸움하는 김박사넷 보니까6
2
5174
김GPT
김박사넷평가0
0
885
김GPT
김박사넷 다시 안오는게 이로운듯17
8
3124
-
225
32
65191
명예의전당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97
73
38726
-
111
11
833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 김박사넷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new!)
824
- 취업이나 하지 석박사 왜함?
24
- 북한에서 대학교 졸업했는데 대학원 지원 어떻게 해야 할까요?
26
- 아직도 인건비 이렇게 주는데 많음?
23
- 요즘은 학점 3.8/4.5 낮은 학점인가요?
22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4.04
2022.04.05
대댓글 1개
IF : 1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