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M이랑 ACS NANO는 비슷한 급인가요?

2022.02.15

16

10935

AM이 몇년전만 해도 ACS NANO랑 if가 비슷했던거 같은데 갑자기 확 튀어서요.

어떤 분들 말로는 AM이 아무리 if높아도 네컴이 더 힘들다라는 소리도 있고.

ACS NANO랑 비교하면 어떤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노래하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2.02.15

Advanced Materials = ACS Nano = Nature Communications

IF는 조금씩 차이나도 어차피 실적 따질 땐, NSC+자매지 / AM, ACS Nano, Nat. Comm. / 이하 이렇게 뭉뚱그려 갈림.

2022.02.15

제가 보기엔 Sci. Adv.=N. Comm. >= AM > ACS Nano...

대댓글 7개

2022.02.15

자세히 보면 이건데 크게 보면 비슷요.

2022.02.15

크게 보면
NSC>=Nat. 주요 자매지(Nat. Mat., Nat. Nanotech. 등등)>>Nat. Comm.=Sci. Adv.>=Adv. Mat.> ACS Nano>Nano Lett. 등등등
크게 나눠도 본지+자매지/Nat. Comm., Sci. Adv. Adv. Mat./기타 이렇게 묶고 ACS Nano는 기타에 넣을 듯. 우리 field 기준이지만 개인적으로 요즘 나오는 논문 퀄이 그닥
부지런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2.02.15

보르헤스님 의견이 거의 정확한 것 같습니다..

Advanced Materials는 IF가 높아, 정량적인 실적은 좋지만, 논문 수가 워낙 많고, 한국사람들이 아주 많이 씁니다. Nat. Comm.나 Sci. Adv.는 난이도는 AM 훨씬 이상입니다.. 편수 보면 쉽게 답이 나오죠.. 다만 AM도 정량적인 정보가 워낙 좋아.. 두 개 중에 선택하라면 개인 성향이 따를 수 있습니다.. ACS Nano는 원래는 AM 이랑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요새는 AFM으로 보는게 더 괜찮을 것 같습니다만, ACS와 Wiley가 추구하는 editing 철학이 다르니..
재빠른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02.15

궁금한데 ACS 와 Wiley 의 에디팅 철학이 어떻게 다른가요

2022.02.15

그런데 궁금한게 편수많이 내면서 if가 높은거면 그거는 나오는 논문들 퀄리티가 인용 많이 할만큼 좋다는거 아닌가요?? JACS 같은거 생각해보면 하루에 5-6편씩 나오면서 if는 15를 유지해서 if에 비해 높게 쳐주는 경향이 있는거 같은데....

2022.02.16

재빠른 앙투안 라부아지에) ACS의 에디팅 철학은 잘 모르겠고(방임주의? Nano Letter 수준 떨어지는거 보면 출판사에서 관리를 잘 안하는거 같기도 하네요), 와일리는 딴거 다 집어치우고 무조건 시스터 저널 팍팍 만들고 IF만 올리겠다는 마인드가 너무 보입니다. 분야를 낼 때도 IF 높은 분야 위주로 집어넣고, review paper 비중 올리고, 요즘 AM 보면 ASAP도 아니고 그냥 accepted manuscript를 proof 없이 바로 보여주죠. 제가 알기로는 JCR citation counting 기준이 올해부터 정식 출판 이후가 아니라 early view 때 인용된 것도 카운팅 하는걸로 바뀌었는데(그래서 올해 저널들의 IF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이를 최대한 이용해먹고자 accepted paper를 바로 보여주는걸로 보입니다. 눈에 빤히 보이는 수작이지만 IF 올라가는 수치 보면 효과는 있는 듯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론 와일리 계통들은 뻥튀기가 심해서 IF를 믿지 않습니다(최소 30-40% 깍고 봅니다).

멍때리는 가브리엘 마르케스) IF가 절대적인 수치는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review 비중을 높게 가져가고, 핫한 분야의 논문만 받고, 아주 소수의 논문만 출판하여 관리한다면 IF를 의도적으로 높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생각해서 1년에 수십 편 남짓만 pub 하고 inner circle에서 일부로 citation 해주면 IF를 10 위로 올리는건 일도 아닙니다. 부끄럽지만 많은 한국, 중국발 저널들이 이런 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학회 가서 교수들끼리만 모이면 할당량 정합니다...). 예를 들어 Nat. Comm.과 Adv. Mater.를 비교해보면 전자의 경우 1년에 5997편의 논문 중 33편만 리뷰 논문(0.55%)이지만 후자는 1642편 중 255편이 리뷰 논문(15.53%)입니다. 보통 리뷰 논문은 인용수가 2-3배 뻥튀기 된다는 것과, Adv. Mater.는 인용수 높기로 유명한 에너지, 소재를 주로 출판

2022.02.16

물론 이런 내용은 분야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가끔씩 다른 분야 사람들 만나서 저널 수준 같은거 얘기해보면 재밌죠ㅋㅅㅋ

IF : 1

2022.02.15

N comm > AM > ACS Nano

2022.02.16

요새 am 떨어지는걸로 nat com, sci adv 감
이제 딱히 아래급이라고 보기도 힘들듯

2022.02.16

Am 논문이 재밌는 게 많긴 한
노래하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2.02.16

이게 높네 저게 높네 아무리 따져봤자, 임용시장에선 NSC+자매지 있냐 없냐에요.
거기선 AM이 높냐 ACS Nano가 높냐 그런 거 없어요

2022.02.16

개인적으론 N comm보다는 AM에 서밋하는걸 선호함..
이유로는 N comm의 미친듯이 긴 리비전 기간...
1년이상 4라운드까지 하고 리젝던지는 경우 보고 혀를 내두름 ㅋㅋ

2022.02.16

솔직히 학술적으로 우열 의미없는 저널들임.
임용, 정출연 준비를 위한 실적이라면 저 중에서는 AM임. 이유는 간단함 AM이 IF랑 Top%가 가장 높음. 어차피 서류단계에서 그걸 기준으로 점수를 주기 때문에
재빠른 마르셀 프루스트*

2022.02.16

빨리빨리 돌아가야하는 한국 환경에선 AM쪽이 더 편한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