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 선택 우선순위 관련하여 고민이 있습니다.

2022.01.26

8

3709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대학원 입시를 준비 중인 한 학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어떤 연구실을 더 좋을지,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할 지 잘 모르겠어서 여기에 글 올립니다.
현재 하고 싶은 연구 방향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실 후보를 추린 뒤, 몇몇 연구실에서 컨택을 마친 상황입니다.
제가 컨택한 연구실들의 대략적인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자세히 쓰면 교수님이 특정 될 것 같아 추상적으로 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1. 카이스트의 한 연구실
- 제가 가고자 하는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분이십니다. 좋은 연구실로 유명하고, 인기랩입니다.
- 다만 컨택, 리마인더 메일까지 모두 회신이 없어 별로 기대하고 있지 않습니다.
- (사실상 제 마음 속 후보에서는 제외하고 있습니다.)

2. 포스텍의 한 연구실
- 컨택 및 면담까지 잘 마쳤습니다.
- 장점은, 이 연구실도 꽤 인기 있고, 좋다고 알려진 연구실입니다. 또한 연구실 규모가 커서 다양한 인맥과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고,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단점은 연구실 사람들이 30명이 넘어가다 보니 좋은 프로젝트나 교수님의 충분한 지도를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세부적인 연구 방향에 있어서 제가 추구하는 바와 살짝 다릅니다.

3. 고려대의 한 연구실
- 이미 작년 초부터 학부연구생 생활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대학원 진학하면 어떤 연구 환경과 어떤 프로젝트를 할 지에 대한 이야기도 한 상황입니다.
- 장점은, 신생랩이라 교수님의 직접적인 지도 및 좋은 프로젝트를 충분히 받을 수 있다는 점, 세부적인 연구 방향도 저와 잘 맞는다는 점, 해외(미국, 독일 등)에 꽤 유명한 교수님들과의 네트워크가 많아 파견이나 공동 프로젝트 혹은 진학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Publication list에 보면 상당히 IF 높은 연구들을 많이 하셨습니다.)
- 단점은 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원들이 외국인이라는 점(교수님도), 서울살이에서 오는 금전적 부담감, 신생랩이어서 저년차에 꽤나 고생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 보시기에는 어떤 연구실이 더 좋은 것 같으신가요? 조언 부탁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취업보다는 학계에 오래 남아있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IF : 5

2022.01.26

2번이요
침착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1.26

1,2 중에 하나

2022.01.26

1은 의미없고, 2나 3인데 2가 안정적일듯

2022.01.26

혹시 어떤 이유에서 2번이 괜찮을 지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대댓글 1개

IF : 5

2022.01.26

3은 변수가 너무 많습니다
2에서 사람이 많은건 그만큼 아는 사람 많이 생긴다는 장점이기도 하고요. 학계 연구계 남을거면 나쁘지 않을듯. 대형랩은 그 나름의 교육/업무 체계가 있기도 합니다.

2022.01.26

그렇군요. 사실 3번 방 주제가 마음에 들어서 그쪽으로 기울고 있긴 한데, 말씀하신 걸 보니 잘못 되면 상당히 위험할 수도 있겠다 싶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생각해 볼게요!
못된 윌리엄 켈빈*

2022.01.26

사람 많은 연구실은 단점도 많으니 주의하시길...
교수는 거의 얼굴보기도 힘들거고 결국 연결되는 사수 하나에 님 연구실 생활이 달렸다 보면 됨.
박사과정부터는 독립된 연구주체로 과제수행을 할 수 있어야 하고 그때부터는 님이 교수 케어해주고 있어야 함.
애초에 30명정도 운영될려면 과제가 10개 정도는 있어야 하고 그거 디테일하게 교수가 신경 못씀.

대댓글 1개

IF : 5

2022.01.26

이게 소형랩에서도 안 벌어지는 일은 아닙니다 ㅎㅎㅎㅎ........ 10명~5명 있던 랩이었는데 마지막 3년동안 교수케어하다 나온 기억이 나네요. 과제는 물론 자기가 신경 1도 안쓰고 포닥한테 다 넘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