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바쁜 직장생활 겪으면서 반복되는 야근을 너무 힘들게 느끼고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고 있지만서도...
10 to 10 같은 힘든 생활이라면 뭔가 못마칠거같은 마음이 드네요...
문의해보고 가면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언짢은 소크라테스*
2022.01.25
네
속편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1.25
대학원은 공무원이 아닙니다.
2022.01.25
랩바랩인데 누가 따로 안 시켜도 그냥 집에 안 가는 사람이 태반입니다. 그리고 집에 있더라도 연구라는 것의 특성상 머리 한켠에서 계속 연구생각을 할 수 밖에 없고 연구라는게 원래 그냥 삶의 일부가 되는게 아닌가 싶어요
2022.01.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시 퇴근 가능 직장이 어디가 있을까요?
공무원 중 군무원, 교사, 교육행적직, 국가직, 지방직 일부, 공기업, 대기업 일부, 연구없는 교수, 정출연, 교대근무 경찰, 소방, 교정,,,,, 많긴 많네
찌질한 소크라테스*
2022.01.25
시간이 중요한게 아니라 결과가 중요하지.. 만고의 진리 아닌가? 예로 고3이 대학을 목표로 6시까지 공부하는거랑 새벽까지 공부하는거랑 목표나 결과가 다른게 당연.. 6시까지 해도 서울대 갈 수 있음 괜찮지.. 대학원이든 회사든 마찬가지..
2022.01.25
회사가 돈받고 내 능력을 파는곳 이라고 생각하면,
대학원은 여전히 돈내고 (물론 펀딩을 받지만) 수업을 듣거나 연구에 참여하여 지식을 배우거나 연구 방법을 배우는 학교 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당연히 회사는 돈 받은 만큼만 일 해도 상관없습니다만 (정시 출근, 정시 퇴근 해도 상관없음)
학창 시절(초,중,고,대)에 학교 다니실 때 수업만 딱 듣고 시험성적 잘 나오셨는지 한번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보통 그게 아니니 혼자 복습도 하고 시험기간엔 밤도 새가면서 공부를 한 거겠죠?
그런데 대학원은 단순히 책에 있는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방법?과정?을 배우는 곳이니 더 어려운 것을 배운다고 볼 수 있고, 그렇다면..?
물론 수업만 딱 들어도 공부 잘 하는 사람 있듯이, 연구에서도 정시출근 정시퇴근 하는데 연구실적 잘 나오는 사람들은 논외.......
언짢은 소크라테스*
2022.01.25
10to 7중 매일
IF : 5
2022.01.25
근무의 개념이라기보다 그냥 그러고 사는 개념이라 어떤 날엔 아예 여유가 있다가도 어떤날엔 아예 하루종일 시간써도 여유가 없기도 하죠. 워라밸이나 루틴한거 찾으시면 오시면 안될듯..
2022.01.25
대학원은 일반 근로자라기 보다는 자신의 학위를 위해서 하는 것이라서 보통 성공적인 대학원 생활을 한다면 자발적으로 워라벨 찾기보다는 열심히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매일매일 365일 10 to 10은 너무하겠지만, 바쁠 때에는 얼마든지 추가 시간 투자할 수 있는 마음가짐(결국 본인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합니다.)으로 해야 대학원 생활이 괴롭지 않을 것 같네요.
염세적인 존 케인즈*
2022.01.25
저희랩은 주 70시간 정도 못채우면 주변에서 눈치줌
바보같은 아이작 뉴턴*
2022.01.25
자기 공부하는거로 10시까지 남으면 괜찮은데 연구도 아니고 공부도 아니고 일 하느라 10시까지 있는거는 좀.. 교수가 아침 저녁으로 점호하는 것도 없어졌으면..
대댓글 1개
2022.01.25
저도 이 의견에 동의...물론 10-10이 자기 연구분야만 하고 자기 논물쓸거 공부한다면 상관없지만(자기계발이니까 결국) 일하느라 10-10은 좀.....이건 좋은거 아님.말그대로 노예임..
2022.01.25
워라밸 생각하시면 대학원 진학하면 안됩니다.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이 안돼요. 먹고 자는 시간빼고 다 불사를 체력과 멘탈이 있다면 진학하세요
2022.01.25
워라벨이 그냥 없다고 생각하면 됨
2022.01.26
대학원에 워라벨이 맞는 표현인가 ㅋㅋㅋ
2022.01.26
본인이 1. 등록금(한학기 500만원 정도?) 내고, 2. 수업 듣고, 3. 스스로 연구해서 4. 학위 논문 작성하면 됩니다. 이게 되면 워라벨 본인이 조절할 수 있습니다. 위에 2번은 가능할지 모르나, 1번, 3번, 4번은 본인이 할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본인이 판단해서 정하시면 될 듯하네요.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5
대댓글 1개
2022.01.25
2022.01.25
2022.01.25
2022.01.26
2022.01.26
2022.01.28
2022.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