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3,4번째 공동1저자 위상

세심한 코페르니쿠스*

2021.11.27

7

6353

혹시 3,4번째 공동1저자의 위상은 어떤가요?
(3,4저자 아님-공동 1저자 n(>2)명중에 후순위 말하는 것)
1,2번째 공동1저자는 그래도 1저자의 credit을 대부분 가져가는거 같은데 3,4,5..번째 공동1저자들도 1저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인정받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11.27

공동1저자면 보통 알파벳 순서로 적거나 하지 않나요?
그 안에서도 차이를 둘거라면 2저자라고 하지 공동 1저자라고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cite하거나 논문에 대해서 얘기할 때 (적힌 순서상) 첫번째 저자 이름으로 많이 얘기하게 되니 아무래도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대댓글 2개

IF : 5

2021.11.28

저희는 그 중에서도 기여도의 미-세한 차이 순서로 정렬을 합니다. 그러면 2저자로 빼야하지 않냐! 하시지만 예를 들어 이론과 실험이 비슷한 비중으로 들어간 논문에 이론쪽 학생을 2저자로 뺄거냐, 실험쪽을 뺄거냐는 약간 정치의 영역인 것 같아요. 보통 2명까진 많이 하는데 3명 4명은... 모르겠네요
세심한 코페르니쿠스작성자*

2021.11.28

저희도 미세한 차이 순서대로 공동1저자 순서를 정합니다. 보통 측정한 학생이 공동1 앞, 시료 제작 및 이론 계산을 수행한 학생이 공동1 뒷부분에 들어가는데.. 이론이 더 중요하냐 실험이 더 중요하냐 이런건 관점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기여도를 정량화하기 애매한 측면이 있어서 다 공동1저자로 올려주는 것 같습니다.
놀란 유클리드*

2021.11.28

아예 첫번째는 더 쳐주는 것 같은 느낌은 있지만, 2,3,4번째가 유의미하게 다른 취급을 받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단 공식적으로는 contributed equally잖아요?
정량적으로는 1/나머지1저자 거나 전부 같이 취급하거나 두 경우 다 보았습니다.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최근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저널에서는 공동제1저자가 3명 혹은 4명인 것을 이상하게 보지 않고 다 쳐주기도 합니다.
과거에야 한 연구실에서 한명이 모든 연구를 수행해서 탑저널에 억셉되고 그랬지만, 요새는 거의 어렵죠. 그만큼 공동연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넓어진 거죠.

2021.11.28

똑같이 평가되지만 맨앞 온사람이 강조되는건 어쩔수없죠. Kim et al 이 되는거니
긍정적인 플라톤*

2021.11.28

최상위 저널 아니면 그냥 실적 나눠먹기라는 이미지가 강해보임. 공동1저자니 공동 교신저자니

대댓글 1개

세심한 코페르니쿠스작성자*

2021.11.28

최상위 저널 (특히 네이처) 염두에 준 질문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