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열심히 하는 사람이 호구되는 랩구조
2021.10.19
30
7046

석박과정 중 중간쯤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래도 열심히해서인지 능력을 교수님께 인정받은 것 같습니다.
제 최근 논문도 그럭저럭 괜찮게 publish됐고, 지금 준비하는 것도 순항중이고, 후속 논문도 무슨 주제로 할지 계속 아이디어가 많아서 기대가 됐습니다.
문제는 교수님 부탁으로 선배 뒤치닥거리 + 후배 뒤치닥거리를 2-3 달 전부터 다하고 있습니다.
교수님은 결국 저자에 이름 넣어주니 결국 제 이득이라고 하시면서 설득하시고, 저도 교수님이 전임자들이 프로젝트를 망치는 문제들로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으셨고, 부담을 덜어드릴까 좋은 마음으로 하겠다고 했습니다.
근데 하다보니 저는 제가 관심없는 프로젝트 + 논문의 가망성?(제 프로젝트가 아니다보니 애착도 안생기고, 좋게 develop하고싶은 욕구가 별로 없습니다.) + 특히 자기 일에 최소 책임감도 없는 뒤치닥거리해주면서 노는 애들 논문써준다고 생각하니 너무 힘듭니다.
특히 도움받는 사람이 '무슨 드라마 재밌어서 시즌 몇까지 완주했다' '데이트 어디갔다왔는데 좋다' 등등 뭐하고 놀았는지 자랑할때 너무 괴롭습니다. 저는 본인 논문 뒤치닥거리하느라 늦게까지 일하고 주말에도 일하는데요, 결국 논문 나가도 걔네 프로젝트이기때문에 공동 co-author 나간다는 사실도 너무 불쾌합니다.
너무 피해의식인가요?
그냥 억울한 감정에 몇주 전부터 제가 하는 프로젝트도 집중이 안되고, 인간혐오에 미칠지경입니다.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제발 제 얘기좀 들어주세요47
21
7363
김GPT
랩실 갑질10
27
10288
김GPT
실험실 내에 괴롭힘9
4
1717
김GPT
진심 다 까발리고 싶다12
12
3175
-
9
6
4432
김GPT
무책임하고 무능력한 후배랑 일하니16
2
2140
김GPT
회사에서 오신 분 스트레스입니다 ㅠ8
24
3321
김GPT
성격 어케 고침?8
29
8385
김GPT
너무 바빠서 연구할 시간이 없을때3
6
2814
-
227
26
67516
-
30
26
18070
명예의전당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166
36
4446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IF : 1
2021.10.19
2021.10.19
2021.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