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저번에도 질문 드렸는데, 자대 vs 타대 랩 고민 건 질문 다시 드립니다

2021.09.09

15

2373

죄송합니다. 저번에 글을 올렸어서 너무 간략히 적었네요. 다시 글 쓰겠습니다. 저번 글은 https://phdkim.net/board/free/22000/ 여기로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
저번 질문 이어서 드립니다.

서성한 학부 이고요. 분야는 아무래도 해당 교수님이 보실 수 있으셔서 쓰지 않겠습니다. 타대는 현재 서울대, 포항공대, 연세대, 고려대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카이스트도 너무 가고 싶으나, 현재는 꿈의 대학이 된 듯 합니다 ㅠㅠ 너무 인기가 많아서요.

이미 타대 교수님, 자대 교수님들에게 컨택을 한 상태이고, 교수님들께서는 제가 한 프로젝트를 보시고 학부생 치고 열심히 살았다고, 좋아하십니다

자대는 인공지능 신생 랩인듯 합니다. 아직 박사생이 없고, 연구비도 많은건지(이건 제 지식 부족입니다) 모르겠으나(14억)정도 지원 받은 것 같은 상황입니다.

또한 이번에 석사생이신 분이 1저자로 탑 티어 논문에 개재한다고 합니다. 자대 교수님께서도 이 부분을 언급하시면서, 석사생이 탑티어논문은 힘든 부분인데, 우리 랩은 석사 진학 전에 미리 학부연구생부터 공부를 하여서 석사 때부터 탑 티어 논문을 쓸 수 있다고 합니다.

타대는 유명한 곳들 이므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조사를 해 본 바는, 타대 유명 랩실의 경우 탑 티어 논문 ‘수’는 자대보다 압도적으로 많으나, 석사생이 쓰는 경우는 많이 보지 못하였습니다. 이는 타대의 경우 박사생들이 있고, 자대의 경우는 신생랩이라 석사생밖에 존재하지 못하여 그런 듯합니다.

집안 사정 때문에 박사까지는 생각이 없고(마음 한켠으로 미국 박사를 진학 후, 테슬라 같은 곳에서 일해보는 꿈이 있는데, 꿈에 지나지 않으니까요.)

석사로 끝나는게 현실적인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보았을 때, 대학원 네임벨류보다 자대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것이 옳을까요? 아무래도 주변 친구들은 자대보다 서포카를 준비하는 듯하긴 합니다만. 다들 학부생이여서 제가 생각하는 요소까지는 생각하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1.09.09

탑티어 논문인지 아닌지는 어찌 아셨나요? IF가 다는 아닙니다.

대댓글 2개

쇠약한 아담 스미스*

2021.09.09

보통 인공지능 탑티어 컨퍼런스를 낼때 탑티어라고 많이 하죠.

2021.09.09

글 수정하였습니다! 다시 읽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021.09.0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석사생이 탑티어 논문을 내는것은 흔한일은 아닌것고
신생랩 교수님과 석사생 의지가 대단한것 같고,,,
연구실 분위기가 그러면 동료 석사들도 따라갈려고
하는게 맞는데,,, 탑티어 논문 기회가 있는 랩 같네요
쇠약한 아담 스미스*

2021.09.09

좀더 디테일을 알면 동일분야 타대랩과 비교해서 조언도 드릴 수 있을 텐데, 일단 이것만 보고는 모르겠네요

대댓글 1개

2021.09.09

글 수정하였습니다!

IF : 2

2021.09.09

답정너 질문이네요. 신생랩 가고 싶으셔서 장점만 생각하시는 거 아닌가요? 석사가 탑티어에 게재하는 건 정말 대단한 일인 것도 맞고 지원도 빵빵하게 잘 해주는 곳인 거 같아요. 지도교수님이 나쁜 사람이 아니라는 가정 하에 많이 배우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럼 이제부터 본인 스스로를 생각해보세요.
1. 같은 양의 지도 및 지원을 받았을 때 나 역시 탑티어 저널에 게재할 수 있는가? 본인의 역량을 생각해보세요.
2. 지도교수님이 승진평가에 필요한 실적을 만들기 위해서 학생을 데리고 논문을 거의 떠먹여주듯이 써서 탑티어 저널에 게재를 했다고 쳤을 때, 그 지도나 푸쉬를 견뎌낼 수 있을까? 교수가 공짜로 논문을 주지 않아요. 이름 넣어주는대신 엄청 빡세게 굴립니다(괴수라는 뜻이 절대 아님. 공저자로써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뜻임).
3. 내가 자대든 타대든 괴수랩이 아니라 인기랩 기준으로(신생랩 포함해서) 고를만한 학생인가? 양쪽에서 서로 데려가려는 학생인건지, 아닌지를 생각해보시라는 뜻입니다.
대학원생은 대부분 거기서 거기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이라도 더 성실하고 정직하고 더 재능있는 학생을 교수들은 원합니다. 기업에서도, 학계에서도 마찬가지에요. 이것은 자기객관화 능력을 포함합니다. 가스라이팅을 해서 글쓰신 분을 후려치겠다는 뜻이 아닙니다. 자기객관화를 했을 때 본인이 교육, 금액, 교수의 시간 등을 투자할 만한 사람인지, 혹은 그러한 사람이 될 수 있는지 평가해보시고 원하시는 랩에 지원을 하시면 됩니다.

대댓글 4개

쇠약한 아담 스미스*

2021.09.09

저는 여기에는 약간 반대. 학부생 시점에 자신이 어떤 가치를 가진 사람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자기객관화는 대학원 등의 트레이닝 과정의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게 맞다 생각합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들어요.

IF : 2

2021.09.09

아담스미스님 말씀에 일부 동의합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명백하게 한계가 있더군요. 누구는 석사 때 SCI 2편을 주저자로 게재시킬만큼 잘 따라오고 누구는 KCI도 겨우 씁니다. 똑같은 시간, 똑같은 금액, 똑같은 지도 혹은 모자란 친구에게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는데도요. 그러면 잘하던 친구들이 기가 꺾이더라구요, 같은 석사고 같은 일하고 같은 돈받고 실적도 더 많이 내는데 교수님는 저 사람에게 더 많은 팁을 주고 나는 뭐지.. 이러면서요. 상대적 박탈감을 주게 될 정도로 수준이 낮은 학생을 어디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까요? 공부도 재능입니다. 학교, 환경이 주는 메리트도 분명히 있지만 본인의 한계가 어디인지, 어느 정도의 능력을 가졌는지를 스스로 잘 파악해야 신생랩 교수가 괴수가 아니라는 가정 하에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고 봅니다.

2021.09.09

글 수정하였습니다. 다시 한번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F : 2

2021.09.09

석사까지만 하실 거면 타대학도 생각해보시고 가급적이면 인원 많고 취업이 보장되는 곳으로 가시는 게 좋겠습니다. 박사를 가실 것도 아닌데 공부 많이 시키고 연구 위주로만 돌아가는 신생랩이 글쓴 분께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인원 많은 랩을 권하는 이유는 회사처럼 돌아가는 랩일 경우가 많으므로 회사 생활을 미리 경험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기 때문입니다. 물론 정신나간 사람들도 있겠지만 연구실 사람들 사이에서 북적대면서 연구 + 생활 면에서 배우는 것도 많습니다.
혹시라도 박사과정을 해외로 가고 싶으시다면 아무래도 자대 석사하면서 추천서 받기에 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연구 욕심이 많은 교수님이셔서 박사까지 국내에서 하고 해외로 포닥가라고 잡으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원하시는 타대학원 쪽에서 해외박사로 진학한 분들이 있는지 홈페이지를 통해서라도 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글쓴분 스스로의 문제입니다. 어느 환경에서든 꿋꿋하게 연구하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하고, 석사만 하고 취업할 때 교수님과 안 싸우고 좋게 나와서 향후 박사를 파트로라도 갈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도록 신뢰를 받는 것도 중요합니다. 엄청난 연구성과를 보이지 않더라도 성실하게 생활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2021.09.09

ai top tier(ai, vision, nlp)면 iclr, icml, aaai, cvpr, iccv, eccv, acl, naacl, emnlp, and etc 이런 곳이겠죠?ㅎㅎ
석사생이 탑티어 내면 대단한겁니다! (그러나 kaist와 snu에 적당히 보입니다..)
그런데 연구비가 많다고 실질 인건비도 full max로 주신다고 보장을 받으신건지요
위 질문이 자대 vs 타대 인데
타대에 대한 정보가 없어 비교 할수없을거 같네요!

2021.09.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거기 학생이 탑티어에 논문 냈다고 좋은 연구실이라 판단하는것도, 자기가 따라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아닌것 같네요

2021.09.09

또한 이번에 석사생이신 분이 1저자로 탑 티어 논문에 개재한다고 합니다
-> 논문이 심사 통과해서 publish 된거는 아직 확정 안된 것 같은데요? 그럼 안가는게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9.09

통과확정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