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원자 많을수록 인건비를 별로 안주나요..?

2021.08.19

11

1918

지원자가 많은 랩실은 첫학기 다 제가 부담하고 그이후는 성과에 따라 월 70정도 줄수잇다고...(학비지원ㄴ)

다른곳은 지원자가 없고 학비지원 가능하다고 하셨어요...구성원도 적은편

님들이라면 어디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1.08.19

많은분들이 대학원은 돈보고 가면안된다고 하지만
빚내면서 학교다니면 연구에 집중이 될까요?
잘생각해보시길

대댓글 3개

2021.08.19

네임이 좀 차이나는데(예를들면 한양대와 시립대 정도 차이) 석사 학위는 별 의미없을까요..

2021.08.19

지원하실 때 본인의 연구 실적을 정량, 정성적으로 기재할 수 없는 회사가 아니면 의미 없습니다.

2021.08.19

구체적인 이름을 안알려주셔서 모르겠지만, 윗 댓글대로 대학원은 돈보고 가는 것이 아니긴 한데, 최소한 빚 없는최소한의 보장은 받고 가시는게 좋습니다.
빚갖고 시작하면 연구에 집중안되고, 오히려 돈에 더 미쳐집니다.

학교 수준이 크게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후자를 추천드립니다. 연구에만 집중될 수 있는 환경이 먼저입니다. 당장의 생활비부터 걱정돼면 알바 해야하나 고민됩니다. 알바도 교수님 허락하에 받아야하며 4대 보험 가입이 안되는 알바만 해야하다보니 알바로써 가치도 적고, 시간도 많이 소모해서 연구에 집중안됩니다. 알바를 교수님 몰래 하다가 4대보험 가입되어있으면 그거 문제삼고 인건비 다 반환해야하고, 4대보험 가입안되어있더라도 졸업이 상당히 불리합니다. 지도교수님은 졸업 논문 괜찮다 하지만 다른 심사위원분들이 거절하면 문제가 생기지만, 다른심사위원분들이 다 괜찮다하더라도 지도교수님이 거절하시면 문제가 안됩니다. 그래서 이걸로 졸업 유예될수 있어요.
그래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인건비(빚없이 생활할 수 있게)는 받아야 합니다.
만약 본인이 연구의 뜻이 엄청 높고, 집안 형편이 괜찮다면 당연히 전자가 지원해주는 혜택이 적더라도 유리하겠지요.
직설적인 게오르크 헤겔*

2021.08.19

지원자 많다고 인건비 적게 주는 건 말이 안 되죠. 그냥 교수가 연구비가 부족한 것임.

2021.08.19

혹시 한양대 미자공임?

대댓글 1개

2021.08.19

아녀 다른학교임다

2021.08.20

제가 학부인턴부터 박사과정까지 거의 9년동안 연구과제 관리를 해봤는데, 연구과제에서 학생인건비 항목이 따로 있고, 과제 작성시 연구 수행할 인력풀을 적어서 작성합니다. 사람이 많다는 것은 인건비와 더불어 연구하면서 쓸 재료비 또한 포함하기 때문에 연구 과제가 어느정도 되지 않는다면 사람을 많이 뽑을 수가 없습니다. 인건비를 적게 주면서 재료비를 늘린다고 해도 한계점이 있죠. 저는 대략 그 한계점이 학비 전액지원+추가 인건비 없음 상태라고 봅니다. 그래서 교수가 지원자가 많다고 인건비를 적게 준다고 하는건 그냥 과제가 부족한겁니다. 인건비를 적게 주는 것이 문제가 아닙니다. 재료비를 걱정하면서 실험하게 되면 인건비보다 더 한 스트레스가 옵니다.

대댓글 3개

2021.08.20

입학하고 랩실 생활했을때 bk사업 명목으로 월 80정도밖에(학비지원 안됨) 못주신다고 하셨어요...실험실에서 따로 나오는 돈은 없는거같구요 ㅠ 일은하는데 인건비는 못준다는게 잘못된거죠?

2021.08.20

BK사업은 인건비+연구활동비를 지원하는 과제입니다. 사업 내에 재료비가 없죠. 보통은 BK사업에 학과 예산으로 나오는 연구조교 또는 교육조교활동을 통해 학비를 모두 충당할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BK로 나오는 80만원 월급으로는 등록금을 채울 수 없죠. 과제가 충분하면 과제 인건비도 나올텐데 그게 아니라면... 학비지원이 안된다고 하시는 것에서 좀 마음에 걸립니다. 저는 그 연구실 재정상태에 살짝 의문이 드는데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인건비가 문제가 아닙니다. 사람 많이 굴려서 그런 것이라면 얼마 안되는 과제 재료비를 BK보조로 뽑은 인력을 갈아넣고 성과를 내려고 하시는 것처럼 보이는데... 실제 연구실 인원이 적다면 정말 과제가 얼마 없다는 것이고, 연구실 인원이 많다면 인력을 갈아 넣어 성과를 내려고 하는 랩이라 어느 경우에도 랩생활이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2021.08.20

대학마다 BK지원금액을 사용하는게 약간씩 상이하여 통일되있지 않습니다.
해당 학교에서 그렇게 밖에 안된다고 하면 그게 맞을겁니다.

1. 과제가 없을 경우엔 나름대로 챙겨려는듯
2. 과제가 있음에도 그렇게 주면 탈출각

전자의 경우에는 교수님 최신 실적에 교신저자와 주저자만 따졌을 때 연구가 얼마나 되는지 비교해보세요.
BK 사업됐으면서도 등록금 지원 안하는 건 참 아쉽네요.

저라면 학비지원가능한 구성원 적은 대학원가겠네요.
어차피 전자도 과제가 없는 상황이라면 사실상 업무량 큰 차이없을거에요. 오히려 한 학기마다 사업계획서 꾸준히 작성해야하는 짜증남도 생기겠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