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조현병환자는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묻지마 살인사건 중 많은 사례가 조현병환자의 망상에서 시작되곤 합니다.
아즈매와 마음 건강
16
- 혹여나 마음 따뜻한 친구들이 공격적인 댓글에 대해 나를 대신해 변론해주느라 애쓸까봐 하는 말이지만 마음만 고맙게 받겠다. 세상에는 소수지만 자신의 언사에 받을 타인의 상처에 무감각하거나 즐기는 이도 있는것 같다. 우리가 반대 댓글로서 그들의 공감능력을 일깨워줄수는 없다. 안타깝지만 그의 인생 아니겠는가.
아즈매와 마음 건강
24
- 세상에 소름 끼치네.
이런 사람이랑 깉은 랩 쓸까 겁난다.
상태도 졸라 심각한거 같은데 그 예전 누구처럼 랩에 불지를지 누가 암?
전문직이라는 것도 망상 아님?
아니 예초부터 대학원은감?
아즈매와 마음 건강
23
- 오우 망상증환자가 쓴 글인줄 알았음 응원도 안 눌렀지.
다른 글은 이 글에 비해 점수도 안 올라 감. 다들 속은걸 아는거지.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16
- 일반적인 경우라면 말씀하신대로 학부생 글쓰기는 교수 첨삭 단계에서 95%가 바뀌는게 정상이고, 그래서 학부생이 SCI 1저자를 가저가는 일이 잘 없습니다. 몇년 간의 phd grind, 그 이후 몇 년간의 faculty grind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보통 학부생이 개발과 실험을 했더라도, 그 내용을 지시했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1저자 역할을 하곤 합니다. academic reporting에 조금 더 훈련되어 있기도 하고, 결국 저자는 내용을 이해하고 그 내용을 글로 쓰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글쓴이께서는 교수님과 둘이 연구를 하신 것 같네요. 교수님 입장에서는 1저자나 교신저자나 똑같은 main author이기에 개발과 실험에 수고한 학부생에게 1저자 role을 주시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회를 찾는 것, 그 기회를 잘 잡는 것, 지도 교수로 하여금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게 만드는 것, 모두 본인 실력입니다.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과 겸손한 태도를 가지시되, 그 자세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역할을 하시길 바랍니다.
학부연구생 sci 논문 이게 맞나요
19
너무 못하는 것 같아서 관둬야하나 고민하는 샌애긔 원생들에게
2021.08.05
30
45818

대부분은 성급한 고민이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저도 멘탈 쿠크다스여서 원생 시절 학회장 다과 중에 쿠크다스는 쳐다도 안봤던 사람으로서(서로 아무 상관 없음)
아래의 점들을 같이 생각해보셨으면 해서 글 적습니다.
1. 무엇보다, 나 스스로의 중심을 잡아야 합니다.
대학원은 장기레이스입니다. 배우는 과정이고, 또 시행착오 그 자체입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좀 실수해도 되기 때문에 학생인겁니다. 특히 신입생이라면 더 그렇죠.
그런 과정에서 자기 스스로의 중심이 없으면 외부 자극이 들어올 때 많이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교수님의 질책이 들어온다면, '교수님한테 이것때문에 혼났어'가 아니라, '교수님이 말한 이런 점이 객관적으로 부족하긴 했으니까 보완해봐야겠다' 이런 식으로 생각해보세요. 같은 일을 겪었어도 후자처럼 주도적으로 생각했을 때 다시 시작할 의지가 더 많이 생길겁니다.
처음엔 교수님이나 사수가 쥐여주는 일을 하겠지만, 그것의 주인은 나입니다. 한스텝 한스텝 눈치보기보다 어떻게 진행하면 더 좋을지 계속 고민하고, 온전히 내것으로 만들려고 해보세요.
긴 과정인만큼 나를 흔드는 상황은 참 많이 생깁니다. 그럴 때마다 내가 주도적으로 하는 연구, 내가 하는 일이 있다는 건 꿋꿋이 갈 길을 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2. 그럴 때일수록 단기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단기적이고 실현 가능성 있는 목표를 잡고, 하나하나씩 이루어나가 보세요.
내일은 이 논문을 읽고 요약하는 자료를 간단히 만들고 집에 가야겠다라던지, 공정을 바로 다음 스텝까지는 빼보겠다던지,
아니면 키워드 다섯 개는 확실히 공부하고 가겠다던지 등등 뭐든 좋습니다.
학부 4학년에서 석사 1년차가 되면 아무래도 성취의 경험을 하는 빈도가 뚝뚝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뭐든 좀 되어가는 느낌이 들어야 즐겁고 멘탈케어에도 이로우니, 단기적 및 실현 가능한 목표 설정을 추천합니다.
3. 객관적인 기준과 목표를 마련하세요
보통 내가 너무 못한다고 생각할 때 기준은 막연합니다. 그냥 논문도 슥슥 읽어야 될 것 같고 뭐든 시키는 건 다 잘 해야될 것 '같다'는 막연한 본인 생각인 경우가 많아요.
내가 어느 부분에서 부족한지, 뭘 더 해야하는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해보세요. 대학원때부터는 그런걸 친절하게 내게 알려주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면 대충 맞습니다.
그러나 기준을 잡는답시고 '선배들은 다 잘하는데', '동기는 다 잘하는데'처럼 생각하는건 삼가세요. 반대로 지금 선배들이 본인처럼 실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그 사람들에게 문제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선배들이 지금 하는 일이 그 연차때 내 미래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조금씩 진행해 가세요. 평균적으로 보통 그렇게 됩니다. 어지간한 선배들도 1년차땐 실수 많이 했습니다.
선배나 동기가 잘한다면 왜 잘하는지를 옆에서 보고 배우세요. 어쩌면 모범답안이 가까이에 있어 행운일수도 있습니다.
누구는 잘하는데 왜 나는... 이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그렇게 보고 배우는게 훨씬 큰 도움이 됩니다. 시간이 6개월이나, 1년이나 지났는데 나 너무 못한다... 생각한다면, 자책할 시간에 바로 움직이세요.
4. 간단하게 생각하고, 정말 많이 토론하세요.
연구실험도 다른 일들과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풀릴수록 더 좋은 솔루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나의 현 상황을 파악하고 남들의 생각과 상황을 파악함에 있어서, 연구와 실험에 관해 정말 많이 토론하세요.
그러면 나는 미처 몰랐던 선배의 노하우가 어느새 술술 나오기도 하고, 말하면서 정리도 많이 됩니다.
올림픽 배구 8강전에서 김연경 선수가 지고있는 상황에 동료들에게 말을 많이 하라고 했던 것처럼,
말을 많이 해야 혼자 연구실에서 괜히 움츠러들지 않고 계속 텐션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더운 날씨에 내일도 고생하세요.
그리고 여러분 스스로 생각보다 여러분은 잘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명예의전당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75
30
31133
명예의전당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154
35
40446
-
102
28
20901
명예의전당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67
60
34695
-
143
25
44406
명예의전당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76
19
31368
고전인기
대학생/대학원생 세금 관련 팁73
3
54306
-
244
43
77337
고전인기
대학원 웬만하면 오지마라 (장문)136
54
166563
-
151
27
50949
-
193
37
49389
-
152
78
6227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에서 드리는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533
kairi kaist ai 인턴 최종 결과
15
- 한양대 대학원도 서울캠 에리카 캠퍼스 다르게 생각하나요??
14
- 카이스트 반수 서울대
21
- S대 AI대학원 컨택됐는데 카이스트에도 지원하려고 합니다.
1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8.05
2021.08.05
2021.08.06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