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기1차에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생명쪽으로 지원을 하였습니다.
사실 서류도 통과하기 힘들 거 같은데 일단 면접을 준비는 하고 있습니다.
주변에는 거의다 화학공학을 전공하신 분들이라 생명쪽으로 지원하신 분 들은 면접에서 어떤 질문들 받았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저는 과가 특이해서 분자생물학, 생화학, 세포생물학을 들었고 열역학 유체역학도 전공으로 들었습니다. 이수과정표에 나와있는데 열역학과 유체역학도 물어볼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08.05
stay... 수많은 생화공 중에서도 생명은 제발.... 거기 멈춰....
대댓글 5개
2021.08.05
헉..혹시 이유 여쭤봐도 될까요...?
2021.08.05
생화공 중 생명 쪽은 안그래도 실험이 많고, 생물 쪽이다 보니 더 힘겹습니다. 실험이 많다보니, 재료비 많이나가서 인건비도 적은 편이고 새벽 출근, 주말 출근하는 생물 랩도 많아서... 생화공을 좋아하시는거라면 다른 배터리나 이런데도 좋아서. 물론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거 하는게 좋죠
2021.08.0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촉매쪽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2021.08.06
촉매 하시는 분들도 카이스트에 몇 없지만 김박사넷 확인 잘 해서 가시고, 생명 쪽보단 훨씬 나은거 같아요. 생명 쪽도 본인이 잘 할 자신 있으면 좋을 거에요. 근데 전 자신이 없네요... 그리고 촉매는 개인적으로 배터리 보다도 연구하기엔 좋다 생각하는데, 미래 전망은 아무도 예측 불가니깐요.
2021.08.0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혹시 촉매가 연구하기 좋다 생각하시는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2021.08.29
촉매는 말 그대로 반응물을 product로 만들게 도와주는 거죠.. 일반 생명랩실에선 cell harvest부터 시작해서 배지까지 일일이 손으로 직접 만들어야 합니다. 제가 봤을 땐 실험에 이용하는 과정부터가 현저히 줄겠네요 촉매쪽은
2021.08.05
대댓글 5개
2021.08.05
2021.08.05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