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업보지 뭐 ㅋㅋㅋ
니들이 선택한 방법이다. 악으로 깡으로 버텨라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4
- 자기들이 잘못한건 아시네요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0
- 랩실구성원들과 이 사안에 대해서 허심탄회하게 얘기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교수님께 보여드리는 방법밖에 없을듯하네요. 그래도 교수님께서 어른이시니 학생들이 진심으로 반성하고 변화하려는 태도를 보이면 "한번쯤"은 더 기회를 주실지도 모르죠.
교수님의 호의에 감사할 줄 모르고 지들이 잘나서 호사를 누리는 줄 아는 일부의 무개념 학생들 때문에 대학원 생활 최고의 복지라고 할 수 있는 지도교수의 지원과 관심을 제발로 걷어차버렸으니 안타깝네요.
랩실구성원들에게 알리세요. 당신들이 누려온 혜택과 특혜들은 스스로가 특별하고 뛰어나서 아니라 그냥 운좋게 좋은 교수님을 만난 덕분이라고. 태어나고 보니 금수저집안 아들이더라, 태어나고 보니 선진국 국민이더라 수준의 그냥 운빨로 누리는 거라고요. 한가지 차이점은 부모와 국가는 개망나니 자식이라고, 범죄자 국민이라고 그들을 버리지는 않지만, 교수는 감사할 줄 모르는 학생은 내치면 그만이라는 겁니다.
"호의를 배풀면 그게 권리인 줄 안다." 라는게 정말 시대를 관통하는 명대사라는 생각이 드는 시점입니다.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3
- 교수님 메일 씹기, 스승의 날 교수님 생일 무시, 지나가다 만나면 인사하기 싫어서 마스크 쓰고 무시, 회의비나 사무용품비 필요할 때만 교수님 방에 가서 카드 달라고 하기 등등... (다같이 회의비 써도 교수님은 안 모시고 갑니다)
실화인가요?... '메일 씹기'부터 이미 어질어질한데...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34
- 근데 이거 진짜 실화임..? ㅋㅋㅋㅋ 와 이런 폐급 대학원생들도 존재하는구나..ㅋㅋㅋ;; 교수님한테 평생 연락드리면서 명절마다 뭐좀 챙겨드리십쇼..;;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3
대학원 과정 진짜 정신적으로 힘드네요;;
2021.07.26
78
58423

*긴 글 주의*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하고 있는 어느 동네 누구입니다.
이건 거의 개인 일기장에나 쓸 법한 내용인데요.. 답답하기도 하고.. 끝도 없이 밀려드는 생각을 정리하여 다시 화이팅할 겸.. 익명의 힘을 빌려 어딘가에 털어놓기도 좀 그런 내용을 써봅니다.
저는 어렸을 때 무능력한 아버지의 가정 폭력으로 경제적/정신적으로 꽤나 힘든 시간을 보냈어요. 제가 초등학교 고학년때쯤이었나.. 직장을 잃고 난 열등감 때문이셨을까요? 위협을 가한다고 본인을 자해하여 피바다도 여러번 보았고, 집에 경찰이 자주 왔던 것 같네요. 보통은 두려움을 느낀 제가 문자로 몰래 했던 신고였거나, 물건이 부숴지는 소리에 이웃에서 시끄럽다고 신고해서.. 웃긴건 사람이 칼을 들고 있었고 집이 난장판이 되었는데도 '실질적인' 피해가 없었어서 경찰은 아무것도 해주지 않았어요. 우리나라는 아직 사람 하나가 죽어야만 움직이는 경찰들밖에 없는 것 같아요. 어렸던 저는 그 모습에 증오심을 느꼈었고 미친듯이 대단한 사람이 되어야지 하면서 공부를 시작했어요 (유일한 순기능?).
그러다보니 집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성취감, 높은 점수로 선생님들께 받는 사랑과 친구들의 부러움이 정신적으로 어긋나있던 저한테는 학업의 원동력이 되었네요. 자식이 사회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본 아버지는 그걸 막으려고 온갖 짓을 다하셨죠. 참고서 살 돈도 없어서 학교 선생님들께 받았던 교육용 교재를 버리고, 고등학생 때 잠 못자도록 설치고, 유흥업소로 본인을 데리러오라고 하셨을 땐 정말 돌아버릴 뻔 했네요. 그돈이면 학원을 다닐 수 있었을 텐데 말이죠? 정말 오기로 버텼어요.
감격적으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대학에 합격했어요. 그래도 생각이 좀 성숙해진 저는 저같은 학생들을 위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고, 학생 개개인을 볼 여력이 되는 교수라는 직업을 희망하게 되었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했고, 다행히 학과 공부가 저랑 잘맞아서 재밌었고, 성적도 꽤 잘 받은듯요. 아 저 집에서는 당연히 대학 합격하자마자 동생들과 어머니를 데리고 그럴듯한 구실과 함께 뛰쳐나왔지요. 이때 진짜 새로운 세계를 만난 듯 행복했었는데 ㅋㅋㅋ
그러고나서 최상위 대학의 연구실로 진학했어요. 와 그렇게 거지같이 살았는데 내가 여길 오다니 처음엔 감격스러워서 다녔는데...
한 숨 돌릴 틈도 없이 치열하게 살았던 까닭일까요, 아니면 원래 연구실이라는 게 참 사람 힘들게 만드는 걸까요. 요새 진짜 힘드네요. 공부를 못하게 만들 때에는 그렇게 공부를 하고 싶어서 미친 듯이 매달렸던 제가 무기력해진 모습을 보면 예전 모습과 너무 달라서 자괴감도 들어요.
출발선이 너무 다른 친구들과 제 처지가 비교되어서 씁쓸한 때도 있었고, 특히나 '학부' 학벌로 은근히 사람 차별하는 지도 교수님 행동에 상처도 많이 받았던 것 같아요. 정작 신생랩에서 랩 셋팅 다했던 건 저인데 말이죠.. 참 저한테는 없는 아버지라는 존재처럼 의지했던 사람이고 존경할 부분도 많은 분인데 다시 생각해보니 열받네; 교수님들이 유학하던 그시절은 칭찬 이런거 없었다고 칩시다.. 저한테는 수고했다는 말 한마디가 왜 그렇게 어려우실까요.. 뭐 물론 당신 마음엔 안들겠지만...;; (대략 연구실에서 의욕 떨어지는 포인트들~ 이하 생략 ~ 뭐 다들 연구실 빡치는 포인트들 하나씩은 있잖아요? 없으면 참 축복받은 사람ㅋㅎ)
예전에 못받았던 사랑을 이상한 데(?)서 찾지 말자..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탄탄하고 멋진 사람이 되자.. 생각은 하면서 엄습해오는 무기력함과 믿었던 사람들에 대한 실망감 등을 머리에서 지울 수가 없네요.
이런거에 상처받는 내가 아직 너무 나약한 건가.. 스스로 고민도 많이 해보았고, 원래 제가 지향했던 인간상과는 반대의 사람들이 오히려 더 잘되는 걸 보면서 (뭐 정치질해서 자신의 입지를 다지던가, 남들 일은 신경도 쓰지 않고 본인 일만 잘한다던가) 가치관이 흔들릴 때도 있었어요. 저 과정을 몇년 반복하다보니 이제는 저게 똑똑한 것 같기도..;; 제 성격에 사탕발림이나 지나치게 이기적인 행동 등은 흉내내기도 어려운데 이게 다행인건지 안타까운건지 구별이 안될 지경이에요 ^^;
정말 열심히만 하면 제 꿈을 이룰 수 있을 것 같은데, 설령 직업에는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그냥 제 스스로 후회 없는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싶은데 그게 참 어렵네요. 연구 처음 시작할 때 논문이 눈에 들어오던 그 뿌듯함과 첫 논문을 쓸 때의 기쁨은 어디로 간 것일까요..
집에서는 제가 무너지면 저희 가족들도 다 무너질까봐 힘들단 얘기도 하기 쉽지 않고.. 그렇다고 제 치부를 주변 연구하는 동료들에게 드러내기에는 그냥 하나의 가십거리가 될까봐 별로 그러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냥 신뢰를 주게되면 그만큼의 기대를 하게되니까.. 기대를 안하는 게 '웬만한' 인간 관계에서 마음이 편하더라고요. 다 그렇다는 건 아닙니다. 오랫동안 제 곁에 있어 준 연인이랑 종교가 아니었으면 이미 전 자존감이 바닥을 치고 연구실 때려쳤을 듯~
휴 다시 힘내봐야겠죠?
그냥 어딘가에 털어놓아야 제가 과거에서 벗어나서 미래로 갈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같은 느낌?ㅋㅋ
긴 글이었지만 혹시라도 이 글을 읽으시는 대학원생분들은 아 저렇게 살아온 애도 대학원은 힘들구나 작은 위안이나마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아 제발 힘 좀 내자!!!!!!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하고 있는 어느 동네 누구입니다.
이건 거의 개인 일기장에나 쓸 법한 내용인데요.. 답답하기도 하고.. 끝도 없이 밀려드는 생각을 정리하여 다시 화이팅할 겸.. 익명의 힘을 빌려 어딘가에 털어놓기도 좀 그런 내용을 써봅니다.
저는 어렸을 때 무능력한 아버지의 가정 폭력으로 경제적/정신적으로 꽤나 힘든 시간을 보냈어요. 제가 초등학교 고학년때쯤이었나.. 직장을 잃고 난 열등감 때문이셨을까요? 위협을 가한다고 본인을 자해하여 피바다도 여러번 보았고, 집에 경찰이 자주 왔던 것 같네요. 보통은 두려움을 느낀 제가 문자로 몰래 했던 신고였거나, 물건이 부숴지는 소리에 이웃에서 시끄럽다고 신고해서.. 웃긴건 사람이 칼을 들고 있었고 집이 난장판이 되었는데도 '실질적인' 피해가 없었어서 경찰은 아무것도 해주지 않았어요. 우리나라는 아직 사람 하나가 죽어야만 움직이는 경찰들밖에 없는 것 같아요. 어렸던 저는 그 모습에 증오심을 느꼈었고 미친듯이 대단한 사람이 되어야지 하면서 공부를 시작했어요 (유일한 순기능?).
그러다보니 집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성취감, 높은 점수로 선생님들께 받는 사랑과 친구들의 부러움이 정신적으로 어긋나있던 저한테는 학업의 원동력이 되었네요. 자식이 사회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본 아버지는 그걸 막으려고 온갖 짓을 다하셨죠. 참고서 살 돈도 없어서 학교 선생님들께 받았던 교육용 교재를 버리고, 고등학생 때 잠 못자도록 설치고, 유흥업소로 본인을 데리러오라고 하셨을 땐 정말 돌아버릴 뻔 했네요. 그돈이면 학원을 다닐 수 있었을 텐데 말이죠? 정말 오기로 버텼어요.
감격적으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대학에 합격했어요. 그래도 생각이 좀 성숙해진 저는 저같은 학생들을 위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고, 학생 개개인을 볼 여력이 되는 교수라는 직업을 희망하게 되었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했고, 다행히 학과 공부가 저랑 잘맞아서 재밌었고, 성적도 꽤 잘 받은듯요. 아 저 집에서는 당연히 대학 합격하자마자 동생들과 어머니를 데리고 그럴듯한 구실과 함께 뛰쳐나왔지요. 이때 진짜 새로운 세계를 만난 듯 행복했었는데 ㅋㅋㅋ
그러고나서 최상위 대학의 연구실로 진학했어요. 와 그렇게 거지같이 살았는데 내가 여길 오다니 처음엔 감격스러워서 다녔는데...
한 숨 돌릴 틈도 없이 치열하게 살았던 까닭일까요, 아니면 원래 연구실이라는 게 참 사람 힘들게 만드는 걸까요. 요새 진짜 힘드네요. 공부를 못하게 만들 때에는 그렇게 공부를 하고 싶어서 미친 듯이 매달렸던 제가 무기력해진 모습을 보면 예전 모습과 너무 달라서 자괴감도 들어요.
출발선이 너무 다른 친구들과 제 처지가 비교되어서 씁쓸한 때도 있었고, 특히나 '학부' 학벌로 은근히 사람 차별하는 지도 교수님 행동에 상처도 많이 받았던 것 같아요. 정작 신생랩에서 랩 셋팅 다했던 건 저인데 말이죠.. 참 저한테는 없는 아버지라는 존재처럼 의지했던 사람이고 존경할 부분도 많은 분인데 다시 생각해보니 열받네; 교수님들이 유학하던 그시절은 칭찬 이런거 없었다고 칩시다.. 저한테는 수고했다는 말 한마디가 왜 그렇게 어려우실까요.. 뭐 물론 당신 마음엔 안들겠지만...;; (대략 연구실에서 의욕 떨어지는 포인트들~ 이하 생략 ~ 뭐 다들 연구실 빡치는 포인트들 하나씩은 있잖아요? 없으면 참 축복받은 사람ㅋㅎ)
예전에 못받았던 사랑을 이상한 데(?)서 찾지 말자..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탄탄하고 멋진 사람이 되자.. 생각은 하면서 엄습해오는 무기력함과 믿었던 사람들에 대한 실망감 등을 머리에서 지울 수가 없네요.
이런거에 상처받는 내가 아직 너무 나약한 건가.. 스스로 고민도 많이 해보았고, 원래 제가 지향했던 인간상과는 반대의 사람들이 오히려 더 잘되는 걸 보면서 (뭐 정치질해서 자신의 입지를 다지던가, 남들 일은 신경도 쓰지 않고 본인 일만 잘한다던가) 가치관이 흔들릴 때도 있었어요. 저 과정을 몇년 반복하다보니 이제는 저게 똑똑한 것 같기도..;; 제 성격에 사탕발림이나 지나치게 이기적인 행동 등은 흉내내기도 어려운데 이게 다행인건지 안타까운건지 구별이 안될 지경이에요 ^^;
정말 열심히만 하면 제 꿈을 이룰 수 있을 것 같은데, 설령 직업에는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그냥 제 스스로 후회 없는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싶은데 그게 참 어렵네요. 연구 처음 시작할 때 논문이 눈에 들어오던 그 뿌듯함과 첫 논문을 쓸 때의 기쁨은 어디로 간 것일까요..
집에서는 제가 무너지면 저희 가족들도 다 무너질까봐 힘들단 얘기도 하기 쉽지 않고.. 그렇다고 제 치부를 주변 연구하는 동료들에게 드러내기에는 그냥 하나의 가십거리가 될까봐 별로 그러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냥 신뢰를 주게되면 그만큼의 기대를 하게되니까.. 기대를 안하는 게 '웬만한' 인간 관계에서 마음이 편하더라고요. 다 그렇다는 건 아닙니다. 오랫동안 제 곁에 있어 준 연인이랑 종교가 아니었으면 이미 전 자존감이 바닥을 치고 연구실 때려쳤을 듯~
휴 다시 힘내봐야겠죠?
그냥 어딘가에 털어놓아야 제가 과거에서 벗어나서 미래로 갈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같은 느낌?ㅋㅋ
긴 글이었지만 혹시라도 이 글을 읽으시는 대학원생분들은 아 저렇게 살아온 애도 대학원은 힘들구나 작은 위안이나마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아 제발 힘 좀 내자!!!!!!
감사합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명예의전당
우리 지도교수님..92
28
29578
명예의전당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170
20
30494
명예의전당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97
29
33624
-
169
23
53160
명예의전당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106
20
30094
명예의전당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172
34
35429
고전인기
공식 박사학위 받고 회사생활 소감95
26
57019
-
237
43
72121
-
153
23
56727
-
164
18
52268
-
37
15
23160
-
63
60
7090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29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5
40
- 교수님, 돌아와주세요~
21
25
- 박사를 선택하는 이유
0
21
-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36
13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7.26
대댓글 1개
2021.07.26
대댓글 1개
2021.07.26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