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공대 아름이의 대학원생활에 대해
2021.07.07
32
4410

매일 고민하고 실험해 운이 좋게 SCI를 다수 쓰고 마무리를 하고있다..
나에게는 교수님이 짝지어 줘서 같이 연구를 하는 아름이가 있다..
이 아름이는 자기가 무슨 연구를 하는지 모른다...백퍼...
항상 설명을 해줘야하고.. 챙겨줘야하고.. 가끔은 내 자신이 너무 힘들다..
좀 열심히하라고 왜 모르냐 다그치기라도 하면 왜 그렇게 말을 하냐며 부족할수도 있지 않냐며 오히려 서운하다고 한다....
이게 대학원이냐???
나는 석사과정이지만 연구자로써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교수, 박사님들에 비하면 아주 부족하다)
연구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있다면 정말 행복할거같다... 왜 나만 이야기 하는것같고 나만 아이디어 내는 것 같고... 손해 보는 느낌이 드는지... 내가 잘못하는 건지.... 답답하다
디스커션을 하지못해도.... 실험계획을 제안하거나 설립하지 못해도.... 논문에 자기 이름을 어떻게든 꾸역 꾸역 넣으려고 하는 그 태도가 보인다.... 역겹다 많이 역겹다....
나는 공대 아름이들이 역겹다... 하지만 교수님은 그런 아름이들을 매우 잘 챙기신다... 술 자리엔 항상 옆에 데리고 다니신다... 그걸보고 연구실에 남아 열심히 연구하는 선배들이 참... 이게 대학원이라면 난 석사과정만 한 것을 진심으로 다행이라 생각한다..
아름이가 능력이 없다고 욕하는것이 아니다. 못하는 것은 죄가 아니다. 나도 못한다.
하지만 대학원생이 못하는걸 "난 못해" 라고 인정하고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면 대체 무얼 위해 대학원에 왔는지 의문이 든다... (취업 도피인가...?)
"손해보며 사는게 결국 성공으로 돌아온다" 라는 글귀를 보았다.... 나는 대인배가 아니지만 저 글귀를 믿고 오늘도 손해를 보고 살아보려한다.. 세상 모든 힘든 대학원생들에게 성공이 돌아왔음 좋겠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요즘 대학원생 이상한 애들 많다95
40
26885
김GPT
대학원 생활에서 깨달은 것들51
8
10065
김GPT
한국 대학원생들62
89
7746
김GPT
공대 교수입니다7
10
6090
김GPT
공대생의 어쩔 수 없는 현실13
29
9287
김GPT
소극적인 학생40
15
6813
김GPT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39
33
18079
김GPT
한 대학원 이야기10
23
9680
김GPT
대학원은 어차피 자기 하기 나름12
11
8824
명예의전당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153
49
47472
명예의전당
우리 지도교수님..101
28
35389
명예의전당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91
70
1815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IF : 5
2021.07.07
대댓글 1개
2021.07.07
대댓글 1개
2021.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