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pk대학원은 많이 다른가요?

2019.12.22

6

6096

서성한에서 공대 다니는 학생입니다

저는 박사까지 하려고 생각중인데, 많은 사람들이 말하길 유학이 제일 좋고, 유학을 목표로 자교석사까지는 좋지만, 국내박사할거면 spk를 가라고 합니다

저는 딱히 학벌에 대한 미련도 없고, spk대학원을 간다고 해도 제 학벌은 서성한이라고 생각하는데, 사람들이 spk를 가라고 하는 이유는 뭘까요?

좋은 교수님이 spk에 많이 계시다는건 알고있지만, 자교에도 좋은 교수님이 없지는 않은데 어떤 큰 차이가 있길래 그 많은 사람들이 타교대학원을(특히 s는 타교출신 차별이 심하다던데) 추천하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19.12.22

이공계 대기업 정출연 교수, 외에 회계사 의학전문대 변호사 변리사 뭘하던 SPK설포카 출신인지 아닌지 나눠서 봅니다. 특히 이공계쪽 대기업, 정출연은 대학원 학벌도 봅니다.

2019.12.23

서울대는 뭐 말할필요없고, 카이스트와 포스텍 주위로 지난 30년간 자리잡은 연구소들이 몇십개에요. 그 인프라들은 쉽게 좁혀지지 않아요. 연구환경이 다르다는 말입니다. 졸업 후에도 국내에서는 spk와 그 아래정도로 학위구분을하죠

2019.12.23

음...

2019.12.23

서포카연고서성한급 학생들에게서 대학 수학 능력 차이는 정말 조금 있을지언정 연구 수행 능력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가능하면 SPK 대학원으로 가라는 주위의 목소리는 해석하면 이말입니다.
가능한 더 양질의 연구환경에서 연구하라.
오해하시면 안됩니다.
SPK가 더 좋은 환경일 확률이 높을 뿐이지 무조건 그런 것은 아니거든요.
뒤늦게 박사과정 중에 깨달은 점이지만 서포카연고서성한급 환경이라면 1순위 교수님, 2순위 연구 분야 고려하겠습니다.

2019.12.24

연구에 관심있으면서도 기본적인 학부 지식이 탄탄한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 SPK대학원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SPK자대생이 아니더라도 자기가 평점이 높고 해온 것이 많을수록 자대보다 진학 선호도가 높은 곳이 SPK 아닌가요! 항상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그만큼 우수한 인재들이 모인 집단이며 더 많이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019.12.27

전 교수가 맞는게 더 중요해요. 사람한테 자신을 맞출 수 있는 사람이라면 잘하는 교수한테 맞춰서 최고의 지도력을 바탕으로 한 학위 과정 및 연구가 되겠죠. 그런 사람들은 SPK에 있을 거고요.

서성한 정도 교수만 되도 자기가 학위 따고 살아가는데 크게 영향없다고 전 봅니다. 교수랑 더 잘 맞으면 스트레스 받는 에너지를 더 연구이 투자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학생차이가 많이 난다고는 하더군요. 디스커션이 되어 서로 도움이 되는 친구들이 많다는 거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