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에 들어온지는 약 4개월 되었는데 교수님도 저를 그렇게 신경 쓰시지 않으시고(사실 연구실 오피스 들어오신걸 본게 손에 꼽습니다.) 외국인이 많은 랩이라 한국인이 너무 적어 그 분들이 대부분 업무 처리를 하느라 너무 바쁘십니다. 저도 뭔가 연구를 하고 싶은데 잘 모르는 상태에서 혼자 실험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항상 어떻게 하면 될까요 ? 혹시 배울 수 있을까요? 하지만 고민해보자고 할 뿐 '이걸 해봐라' 하는 것이 전혀 없었습니다. 혼자 논문 찾아서 읽고 밥먹고 집에 가는 것이 일상입니다. ㅜㅜ 계속 이 랩에 있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지지치고 나오고 다른 것을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다른 학연생 분들 혹은 학연생을 하셨던 분들은 어떠셨는지 여러모로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1.06.22
외국인 많은 연구실은 바로 나오시길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1.06.22
학기 중엔 전공공부에 신경쓰라고 하셔서 학점 챙기라고 배려해주시는거구나 했는데 겨울방학 1개월 그리고 종강 후 약 일주일 덜 되었는데 제가 여기서 뭘하나 싶습니다... 교수님께 말씀드리고 나오는게 좋을까요 ?
2021.06.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구실 연구실적이 좋은편이고 랩 졸업생 취업루트가 관찮으면 그대로 랩입학 해도 무방함
대댓글 1개
2021.06.22
alumni에 대한 정보가 많이 없습니다. 제가 들어가기 얼마 전에 삼성에서 새로 만든 곳에 들어가신 분, 현재 랩에서 박사 졸업 하시고 ph.D 하고 계신 분 말고는 따로 정보가 없습니다. 하지만 advanced material 등 유명 저널에 논문도 쓰시고 과제도 많이 가져오시긴 한 것 같습니다.(일전에 진학에 관해 박사님께 여쭤보니 현재 과제도 많고 제가 들어와서 석사 졸업하기 전까지는 과제가 부족하진 않을거라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졸업생 정보가 너무 없는 것과 외국인이 너무 많아 추후 입학했을 때 업무에 밀려 연구를 못하게 될 까 걱정입니다. 너무 일찍 랩에 들어온게 아닌지 후회스럽네요...
IF : 5
2021.06.22
저라면 다른 랩 더 찾아보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6.22
지금 나온 뒤에 어학실력을 늘린 뒤에 4학년 1학기 정도에 다른 곳 컨택해서 여름방학 때부터 인턴으로 들어가는 것이 베스트일까요 ?
울적한 빌헬름 뢴트겐*
2021.06.22
이런 글에서 정보를 얻으려면 현재 학부, 학과나 기타 스펙을 적어주셔야 합니다.
본문과 완전히 같은 상황인데 학교가 지방대인 것과 서울대인 건 차이가 너무 큽니다.
대댓글 5개
2021.06.22
제가 잘 몰랐습니다. 현재 지거국에서 재료공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학점은 3점 중후반 대 입니다. 다른 스펙은 딱히 없습니다. 혹시 조언을 조금 구할 수 있을까요 ?
울적한 빌헬름 뢴트겐*
2021.06.22
연구주제를 제시할 능력이 있는 사수가 없는 게 아쉽네요. 연구주제가 없는 상태로 자유방임으로 냅두는 건 자율이 아니라 그냥 성장을 지체시킬 뿐인데..
2021.06.22
정확합니다...연구주제를 제시해주고 어떠한 방향으로 실험을 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해준다면 그 부분을 공부하고 실험을 하고 싶은데 막연하게 이쪽 분야를 하고 싶어서 왔으니깐 고민해보자 하고 끝나버려서 여기에 계속 있어야하나 생각이 듭니다. 아무래도 여기는 그만 두고 다른 스펙(어학 능력 등)을 쌓고 다른 랩에 컨택하는 것이 바람직 하겠죠?
울적한 빌헬름 뢴트겐*
2021.06.22
결론만 말하자면, 학교가 지방대라면 어느 연구실을 가도 연구실 사수는 주제를 제시할 능력이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교수에게 직접 지도받아야 하는데, 여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들어온 지 3년 이내인 신임교수입니다. 학생이 아니니 랩세팅을 할 필요도 없고 아이디어와 연구분야에 대한 조언을 듣는 데에는 가장 적합합니다.
2021.06.22
사실 대학원 진학을 같은 학부 교수님 랩(현재 있는 랩은 다른 학부입니다.)으로 가려고 했습니다. 부임하신지 이제 4년차 되시고 석사 졸업생을 두 명 배출했는데 둘다 정출연으로 보내셨습니다. 연구활동도 활발하시고 무엇보다 논문도 정말 잘 봐주십니다.(정말 열정이 넘쳐 9 to 9으로 연구실을 운영하십니다..., 또한 현재 이 랩실에서 석사 과정을 진행 중인 선배들의 논문 성과가 자대 내에선 탑티어, 교수님 말씀으로는 spk와 견주어도 밀리지는 않는다고 하실정도로 정말 좋습니다.) 혹여 대학원에 진학하게 된다면 이 교수님에 가는 것이 좋은 선택일지 아니면 더 높은 SSH라인이나 조금 욕심 부려서 ist 혹은 yk 쪽으로 진학을 하는게 좋은 선택인지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이 교수님도 정출연에 계시다가 교수로 임용되신 분인데 원생 시절 엄청난 노력을 하셔서 정출연에 들어가신 분이더라구요. 그래서 본인 랩 원생들이 엄청난 양과 질의 논문을 쓸 수 있도록 하신다고 들었어요. 혹여 박사까지 생각한다면 더 윗 라인 랩으로 가는게 좋겠죠 ?
2021.06.22
네 박사까지 하실거면 가능한 가장 높은 학교를 추천드립니다.. 장기적으로 봤을때 연구인프라, 네트워크, 타랩과의 공동연구기회, 지도교수의 인맥 등등 여러가지 면에서 더 좋을테니까요.
2021.06.22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 진학이 100% 확실시 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언해주신 것을 바탕으로 심사숙고해서 최상의 선택을 해보겠습니다.
2021.06.22
대댓글 1개
2021.06.22
2021.06.22
대댓글 1개
2021.06.22
2021.06.22
대댓글 1개
2021.06.22
2021.06.22
대댓글 5개
2021.06.22
2021.06.22
2021.06.22
2021.06.22
2021.06.22
2021.06.22
대댓글 3개
2021.06.22
2021.06.22
2021.06.22
2021.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