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탑3 vs 미국탑10 vs 미국탑20

씩씩한 요하네스 케플러*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1.06.22

8

3208

밑에 SPK 인기랩 vs 미국탑20 글보고 급 궁금해졌습니다.
미국탑20대학원들이 SPK 인기랩과 견줄 만큼 좋은 학교들이 많은가본데요.
미국탑 20 이내의 학교들 간에도 차이가 어느 정도씩은 레벨 차이가 있나요 ?
제목대로 대략 탑3 vs 탑10 vs 탑20 정도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1.06.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top10내에 드는 대학원이라면 학과나 랩을 보고 가시야 되는것 같습니다
행복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1.06.22

그 학교, 교수의 등수보다는 브랜드의 영역
씩씩한 요하네스 케플러작성자*

2021.06.22

박경리, 하이젠버그님 답변 감사해요.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대학원 진학할 때, 기왕이면 더 좋은 학교로..더 좋은 연구환경으로...가지 않나요?
반대로, 서울대생이 서성한 레벨로 다운그레이드해서 진학하지 않고, 서성한레벨이 더 아래 레벨로 진학하지 않는 것처럼, 학과나 랩을 보고 가는 것이 맞지만 학교도 중요시 여거지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결론적으로, 학교/학과/연구분야/교수님/연구환경/실적/등등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진학하는 것이 아닐까 해요.

대댓글 2개

행복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1.06.22

한국에서 한 단계 윗 학교를 가면 연구환경이 급격히 좋아지는 건, 그만큼 한국 대학들 수준들이 상향평준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라 보면 됩니다.

2021.06.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에서도 랩 서치해보다 보면 랩(교수)보고 학부와 상관없이 가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1티어 가면 좋고 갈때도 학과나 랩을 고려해서 가고요, 2티어 내에서 선택할때도 학과나 랩을 보고 가는게 정석입니다
미국도 랩(교수)보고 가는 경우가 더 많다는 이야기 임

2021.06.22

이공계 기준으로 거의 미국 내 분야 top3-5 (UCB, MIT, Stanford, Caltech ..), top10, top15-20, top30으로 주로 분류하는 것 같습니다.
찌질한 존 스튜어트 밀*

2021.06.22

spk 인기랩인데, 석사-유학 목표로 하는곳들이 top20입니다. 대가랩뿐 아니라 해도, 가려고 하는사람들은 많습니다. 물론 학교특성상 과고-전문연이 많아서 유학비율이 절대적으로 많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셋갔는데 한명 top5, 두명 top20입니다.
공허한 장자크 루소*

2021.06.22

스탠포드 하위랩보다 탑20 거장랩이 훨씬 더 대단한 경우도 많아서 (탑20 거장랩 피인용수 10만 넘는경우) 의미는 없긴 하지만 높으면 높을수록 좋죠 뭐. 탑 20만 나와도 한국에서 자리잡는데에는 문제 없습니다 (학벌적으로요. 실적은 당연히 또 열심히 해야겠지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