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과lab에서 반도체 전공했다고 하면 기업에서 반도체 공부 한 사람으로 평가하는지, 아니면 비전공자로 보는지 궁금합니다.
어떠한 선택이 더 나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1.05.20
안녕하세요. 포항공대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삼전에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도움이 되실까하여 답변을 드립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상관없습니다. 반도체 회사라하면 하이닉스랑 우리회사 두 군데 생각하실텐데 어디가더라도 물리과 엄청 많아요... 다만 물리과가 절대적인 수 자체가 적어서 많이 없어보일 수 있으나 학교 선배들 찾으면 엄청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 전체로 봐도 반도체 비전공자도 엄청 많아여요. 반도체 라고 딱 찍어서 전공 할 만큼 반도체라는게 작은 개념이 아니라 엄청나게 다양한 분야가있고 세부적으로 나뉘어져있습니다. 그래서 물리학처럼 기초학문이 많이 필요하며 고체물리쪽은 말 할 필요도없고 광학도 많이 들어옵니다.
그리고 전전을 가시게되면 아마도 회로설계나 이런쪽으로 유리하실거에요.
대댓글 3개
2021.05.20
아 댓글에 빠졌는데 저는 물리과입니다
2021.05.20
물리과 출신 님께서 답변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혹시 실례가 안된다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사실,,,제가 원래 관심있는 연구실이 있는데 자성체쪽 연구실 입니다. (강상관계, 양자자성체, 위상물질 실험+연구)
주위에서 자성체쪽 랩 절대 가지 말라 하여, 취업을 고려하여 반도체쪽을 타겟으로 생각하는 중입니다.
자성체 랩에서 석or박 할시(같은 고체물리 카테고리라도) 반도체와는 거리가 있는데, 이경우 기업에서 어떻게 인식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물리학과가 전자과보다 졸업자들 수가 적은게 사실입니다.
기업에서 물리학과 뽑을때 출신대학이나 대학원을 많이 보는지, 아니면 세부전공분야를 많이 보는지 궁금합니다.
더이상 시간끌지 않고 진학을 해야하는데, spk는 지원하지 못하였고, 차선책으로 자대나 과기원을 고려중입니다.
학부는 서울중상위고 과수석이라 좋은 방향으로 진학하고싶은데, 나이가 있는지라 더이상 진학시기를 늦추기 어렵습니다. 조언 한말씀 부탁드려도 될까요? ㅠㅠ
바쁘실텐데 죄송하고 감사드립니다
2021.05.21
일단 기업이 목적이면 박사 졸업한 선배들 위치를 보면 됩니다. '선배가 삼성에 가 있다 -> 취업이 쉬워짐.' 이 성립하는데 그게 박사는 경력직으로 상시채용이라 추천제도로 많이 입사하게됩니다. 그리고 희망 타켓도 정하고 지원을 하게되는데 이 때 선배들 도움이 절대적입니다.
예전에 비해 전공 적합도를 많이 중요시하나 아직도 끈 이론 하시는 분도 회사에 들어옵니다(물론 학벌이 좋습니다). 실제 회사에 반도체 전공자보다 비전공자가 훨씬 더 많은것도 약간의 기본만 있으면 와서 따라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학벌 같은경우에도 안보지는 않죠... 추천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좋은 학교 사람들이 후배 추천해서 많이 뽑으니까여. 그런데 꼭 좋은학벌만 있는건 아닙니다. 제 생각에는 입사에 가장 중요한건 시기입니다. 결국 회사가 많이 뽑을 때 지원하는게 중요한데 그게 내 졸업과 같은시기인지는 알 수 없죠.
그리고 추가하자면 산학장학생 제도를 적극 활용해보세요. 미리 취업 확정하고 다니기때문에 마음도 편하고 업무도 미리 익힐 수 있습니다
2021.05.20
반도체 만드는데 반도체학과에서 배운 지식뿐 아니라
생각보다 엄청 많은 전공들이 필요합니다
물리과랩가셔도 좋아요
심지어 광학랩이나 통계랩가도 삼전 잘만 갑니다
대댓글 1개
2021.05.20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분야를 좁게 볼 필요가 없겠네요 감사합니다!
방정맞은 제인 오스틴*
2021.05.20
Fundamental 한 이론에 관심있는 반도체 전공하는건 비추입니다. 노잼일듯.. 차라리 응집물리를 하세요
대댓글 3개
방정맞은 제인 오스틴*
2021.05.20
*관심있는데
2021.05.20
감사합니다. 응집물리에 관심이 있습니다. 대신 학과 교수님께서 말씀하시길, 물리과에서 반도체 연구시 좀더 근본적인 원리 위주의 접근법을 취하며 전자과랑 조금 다르다 하셔서 질문을 올려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방정맞은 제인 오스틴*
2021.05.21
응집실험 (고체실험) 에서 다루는 대상에 반도체가 있는 것은 맞으나, 반도체를 전공한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응집에서 주로 다루는 대상은 저차원 물질, 초전도체, 자성체, 전하/스핀밀도파 등등이구요.
2021.05.20
대댓글 3개
2021.05.20
2021.05.20
2021.05.21
2021.05.20
대댓글 1개
2021.05.20
2021.05.20
대댓글 3개
2021.05.20
2021.05.20
202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