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nalytical modeling하는 분들은 지도교수님한테 많이 배움?

정직한 정약용*

2021.04.16

5

1242

경계조건 설정을 어떻게 하고, 어떤 식으로 수식을 유도해나가는지? 이론랩에서 이론전공한 교수 밑에서 연구하는 애들은 물론 교수랑 디스커션하며 배우겠지? 아닌가?
난 실험랩이라..

우리 교수님은 박사/포닥 때 간단한 열역학을 기반으로 한 수식 전개나 했지, 더 세세한 모델링은 다른 분들이 했음. 그래서 교수가 되어 랩을 꾸리시며 연구하는 토픽들도 이미 정립된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결과값을 설명하는 성향을 보여.

수식이해는 되고, 유도방법은 타논문에 읽어보면 눈으로 따라갈 수 있고, 물질을 디자인하기 위해 어떤 variable을 가지고 놀지는 안다만, 부끄럽게도 모델이 존재하는 복잡하고 새로운 물질을 처음부터 세세하게 analytical modeling은 줄은 몰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IF : 5

2021.04.16

실험랩이었는데 나도 그렇게 세세한 실험조건은 지도받지 못했음. 선배한테 물어봐서 참고하거나 레퍼런스보고 시행착오 거쳐서 찾았지.... 시간 들이고 힘 들이는 수밖에 없는거같음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1.04.16

어짜피 지도 교수는 자기가 학위때 세세한 모델링을 하고 졸업 논문 작성하고 졸업했을 텐데, 그런 부분을 교수가 되어서 학생에게 모두 지도해야한다면 교수가 박사학위 하나 더 받는 것과 같다고 생각함. 어짜피 박사학위라는 것이 그 특정 주제에 대해서는 지도교수보다 본인이 더 전문가가 되었을 때 받는 것이라고 생각함.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