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논문에서 그 교수님이 한 역할은 자신이 들고있는 비싼장비를 사용해 분석해주고 figure내준것이었음. (좀 클라스있는 장비라 들음)아마 분석만 해준거인듯. 이름도 1저자로 올라간건 아닌거같음.
이런식으로 자신의 비싼장비를 이용해 분석만 해주고 H-index올라가는 경우 있나요? 맞다면 H-index도 조심히 봐야겠군요
H-index높으면 아이디어도 잘내고 실험도 잘하고 지리는줄 알았는데 비싼 기기로 분석많이해 그걸로 index올린거라면 또 막 그런건 아닐 수 있겠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01.25
장비를 사용하게 해주고
그 결과를 분석해주고
피규어까지 만들어줬다면
충분히 공동저자로 들어갈 법 합니다만?
Carl Bosch*
2021.01.25
ㄴ 뭔가 아이디어를 내고 실험을 진행하고 그런 능력이 뛰어난지는 의문일 수 있겠죠? 저런식으로 올린거라면
2021.01.25
저런경우는 장비빨로 올리는거 아님? 그 교수가 실험을 잘 설계하고 지휘하고 아이디어를 잘 내는지는 모를거같음. 분석은 잘하겠지 그 비싼기기로
Robert Hooke*
2021.01.25
네. 그래서 h-index는 공저자 논문까지 다 포함이라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지표입니다.
2021.01.25
그 아무짝에도 쓸모없는것조차 낮으면 얼마나 못한다는거냐?ㅋㅋㅋㅋㅋ
Marcello Malpighi*
2021.01.25
H-index라는게 윗분말대로 공저자포함이라서 정확한 지표는 아닙니다. 다만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지표라는 말은좀 애매하네요. 공저자도 본인의 실적에 포함은 됩니다. 다만, 박사졸업하고 취업시에는 주저자로 쓴것을 위주로 보기는 하죠.
주저자/교신저자가 아닌 공동저자는 본인의 컨트리뷰션을 강조하기 어렵긴 합니다.
2021.01.25
2021.01.25
2021.01.25
2021.01.25
2021.01.25
2021.01.25
2021.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