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gen Böhm von Bawerk
심심해서 실리콘 밸리 AI/ML research scientist 취업관련 질문…
좋은 연구실을 고르는 방법 (박사 졸업생이 생각하는)
연구실 컨택할때 꼭 알아두면 좋을 것들
좋았던 교수님이 변하셨다
학부 졸업하고 입학하는 새내기에게 주는 팁 아닌 팁
SPK와 비SPK의 차이가 어느 정도냐는 질문이 많아서 한마디...
좋은 연구자의 태도란??
외부에서 괜찮은 랩을 알아보는 방법 (장문주의)
김박사넷 로그인을 하면
더 많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0,000명의 김박사넷 유저들과 함께해보세요!
신고하기
신고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추후 김박사넷 게시판 서비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IF뱃지가 일정 개수 이상일 경우
닉네임 수정이 가능합니다.
회원 프로필 완성 후 글쓰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완성하기
댓글 10
William Golding
2021.01.24
목표가 있다면 진학해야죠.
대댓글 0개
William Golding
2021.01.24
목표없이 '그냥 더 배워보고싶어서' 진학하는거면 저는 이해가 안되는거같아용
대댓글 0개
Marcello Malpighi
2021.01.24
군필이면 벌로 안늦음
대댓글 0개
Arne Tiselius
2021.01.24
30넘어서 석사하시는 분들도 많은데 ㄱㅊ
대댓글 0개
David Hume
2021.01.24
군필 재수 하니까 그쯤 가게되던데
대댓글 0개
Eugen Böhm von Bawerk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01.24
군필입니다. 목표는 제가 해보던 공부의 좋은 컨퍼런스에 논문 하나 꼭 내보고 싶어서요.
대댓글 0개
Alexander Calder
2021.01.24
본인 올해 서른이고 이번에 석사 입학 → 군필 감안해도 꽤 늦은 것
친한 소대 후임 (yk 학부 졸) 올해 26살이고 이번에 석사 입학 → 군필 기준 제일 빠른 것
여기서 남의 이해 구걸할 필요 없음
다만 글쓴이나 나처럼 늦은 나이에 초반이랑은 달라야 하는 게 세 가지 있다고 생각함
1.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목표 (학위 따서 뭐 할건지)
Plan A : 적성에 맞아서 박사 진학 (그 이후는 박사 합격하고 생각할 계획)
Plan B : 정출연 취업
Plan C : 대기업 취업
2. 1번이 실패했을 때의 계획 (학위 따고 망했을 때 뭐 하고 살건지)
(본인 예)
Plan A : 잠깐 취준 했었던 직무로 취업 (정규직 신입으로 30대 중반도 심심치 않음)
Plan B : 취준 기간 중 인턴 했었던 직장 계약직 취업 (계약직 → 정규직 전환 비율 높고, 인턴하면서
...
Plan Y : 제약 영업 (어릴 때부터 거친 곳 경험 많이 해봐서 버틸만 하겠다 싶음)
Plan Z : 사교육 (학부 때 과외 경험 많고 한 달에 300까지도 벌어봄)
여기 있는 사람들 대부분 1~2년 늦거나 조금 급이 떨어지는(?) 학교로 진학하거나 조금이라도 실패하면 인생 자체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줄 아는 똑똑하기만 한 샌님들임.
여기 있는 사람들 기준 '실패'가 결코 좆망한 인생은 아님
좋은 선택은 자기가 만들어 가는 것임
대학원 진학하게 되든, 안하게 되든 좋은 선택으로 만들어 가길 진심으로 기원함
대댓글 0개
Alexander Calder
2021.01.24
ㄴ(오타 수정) 글쓴이나 나처럼 늦은 나이에 (진학하는 사람들은 이십대) 초반(에 진학하는 사람들)이랑은 달라야 하는 게
대댓글 0개
Alexander Calder
2021.01.24
spk라는 점, 군필이라는 점 두 가지 모두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엄청 유리한 요소임
파이팅!
대댓글 0개
Andrew Marvell (탈퇴한 회원입니다)
2021.01.25
SPK 군필이면 유학추
대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