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학교 옮기세요. 30대 초반이면 안 늦었습니다. 동아시아 학생이 많아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이 많다는걸 글쎄요....
중국이 많다라면 이해가 될거같은데... 학교가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와서 펀딩 이슈로 단 한번도 실험에 제한이 있었던 적이 없는데 의아하네요. visiting도 갈 수 있다는 보장도 없을 뿐더러 결국 제한된 시간에서 해야되는거라 데이터 나올지도 의문이구요.
학교를 잘못 온 것 같습니다
11 - 방송나와서 국민들에게 관심을 받게끔 하는 사람도 필요로 하죠. 그래야 여론이 받쳐주고 그분야 연구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죠.
그런데 박사학위 받고 3개월도 안되서 논문 피인용수1개 밖에 없는 사람이 교수되는건 말이 안되죠. 비교할껄 비교하세요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43 - 장점이 없는 것보단 나음
학위 안주고 년차채우고 내쫓는 교수도 봤음
실적 없어도 일찍 졸업시켜주는 연구실 좋은 곳인가요?
29 - 로보틱스, 김씨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23 - ㄱㅈㅇ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9 - 이런건 진짜 실명박제해야됨 대학원에서도 그랬던 인간들 계속 그러는듯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1 - etri 선연출신인데, 솔직히 학부연구생 필요없어도 실장님이 의무감으로 뽑는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학부인턴동기들 야근이 일상이라고 하시는데, 어느팀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원내에서도 꽤나 유명한 하드워커였고, 당시에는 여자친구(현 와이프)와 떨어져지냈어서 매번 저녁식사하고 9-10시에 퇴근했습니다.
그러다보면 당연스럽게 우리 실뿐 아니라 늦게까지 일하는사람들은 많이들 알게됩니다. 그중 학부연구생이 있는건 정말 한번도 못봤습니다.
에트리가 워낙 규모가 커서 제가 당연히 다 알지는못하고, 분명 실력없는 분들도 많지만 반대로 실력 훌륭한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저도 여러가지 불만족스러워서 나온케이스고 에트리의 여러문제점들을 김박사넷 혹은 하브넷에서도 공유하지만, 이런식으로 일반화 하는 말에는 공감하기가 어렵습니다. 솔직히 학부생들이 전반적인 큰그림 못보시면서 본인의 실력을 유독 높게평가하는 경우일수도 있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됩니다 ㅎㅎ
그리고 제가 있던 실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인턴들은 솔직히 말해서 하는것없이 그냥 적당히 놀다가 돈벌고 가는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원내에서도 디자인 하는사람이 차라리 도움되지, 학부생들 와봤자 신경만써줘야하고 귀찮다는 평이 정말 많았고요. 본인 주변에 얼마나 열심히하는 사람들이 많았는지 모르고, 얼마나 잘하셨던 학부인턴생들이였는지 모르겠어서 어느 실인지도 궁금하긴 하네요.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7 - 논문을 썼으면 후순위 공동 1저자죠. 아이디어와 실험도 중요하지만 논문의 질을 결정하는건 논문의 흐름과 논리입니다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5 - 아니 논문 80%를 본인이 썼는데 뭔 후순위 공동저자임 ㅋㅋ 무조건 맨앞자리 1저자지
다들 간과하는게있는데 실험이나 아이디어가 중요한게 아니고 논문을 직접 '작성'한 기준으로 기여도가 정해지는거임
80% 쓴 본인이 공동1저자 퍼스트, 석사후임이 그 다음임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2 - 이게 이상적이라고 할 수는 있어도, 현실적으로는 이렇게 되면 같이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이 없겠죠... 앞 1저자는 주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11 - 공공기관이나 공시면 면접이나 입사 시 서류점수 불이익을 걱정하시진 않으실거같고, 어디 가서 저 박사 받았는데 동국대입니다 라고 할때 면전에서 무시하는 사회성 박살난 사람들은 그다지 없습니다. 속으로 좀 무시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사회생활 경험 많고 성숙한 사람들은 학교 간판이야 부질없다는 걸 알기때문에.. 다만 작성자분을 싫어하는 사람이 뒷담화를 할 때 학벌을 가십거리 삼는 정도는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이공계도 졸업 최소 요건만 채우면 졸업 가능합니다. 랩 출근해서 연구활동을 안하면 학위논문 쓰는게 불가능해서 그렇죠. 제가 아는 몇 경제학과나 경영학과 친구들은 비슷한 이유로 연구활동을 하기는 했습니다.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14 - 그리고 이곳은 대부분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모이는 곳이고, 많은 사람들이 수업 이외 연구활동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학위를 수여받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박사학위는 단지 수업을 잘 들었다고 수여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로 아무도 답하지 못한 질문에 대답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했음을 인정받는 것이라 여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위 자체의 의미보다는 학위과정동안 어떤 연구를 하였고, 그 연구가 기존 연구자들에게 어떻게 인정받았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죠.
작성자분의 의도가 그렇다 생각되지는 않지만,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학위라는 장식만 받고싶다고 오해를 살 여지가 있어보이네요.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12 - 글쓴이가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면 정말 심각한 수준임. 치팅을 옹호하는 스탠스로 니가 문제 제대로 제출마지 그랬냐고 강변하고 앉았네. 공부 더럽게 못 하는 애들 공통 특성인 듯.
인공지능으로 시험문제를 푼 대학원생, 학부생이 못마땅한 교수들
10
학부졸업후 취업할지 대학원갈지 고민입니다 지거국학생입니다
2021.01.17

공부하면서 이동현상(유체,열,물질)이라는 과목을 재밌게 들었고 가르치시는 교수님께서는 유변학을 전공하시고 계셔서 현재는 랩실이 어떤지 궁금하여 학부연구생을 들어가서 생활하고 있습니다.(따로 연구는 안하고 구경만 하고 저는 제 공부 하고 있습니다)
이때까지 전공을 공부하면서 전공자체가 나랑 아예 안맞는건 아니고 그냥 성실히 공부하면서 화공공부가 나름 재미는 있었고 특히나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부분을 좋아했었던 것 같습니다.
요즘 코로나때문에 취업도 어렵고 동기들도 서류에서 광탈하는것을 보면서 취업말고 석사를 하는것이 문득문득 머리속에 떠오르는데 어떻게 하는것이 바른 선택인지 쉽지않는 선택인것 같습니다.
단지 그냥 정립된 이론들을 습득하는것은 좋아하지만 또 그것을 토대로 문제를 푸는것은 좋아하지만 대학원이라는 곳은 정립된 이론을 바탕으로 스스로 미지의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것이라서 들었기에 저랑 성향이 맞을지 안 맞을지 고민이 많이 되는것 같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실험수업 결과레포트를 쓰는것을 좀 힘들어 했던것 같습니다.(아무리 쓰려고 머리를 써도 A4 한장반 또는 한장이었습니다)
저는 안정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공기업을 가고싶은 마음도 있지만 연구원으로서 사기업 취업하는것도 나쁘지는 않을것같은데 여기계신 분들께 의견을 여쭙고자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75 25 79300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93 10 8179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54 39 9848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하며 느낀 한국 학계의 가장 큰 암덩어리
160 - 첫 논문 작성할 때 레퍼런스 정리 꿀팁 (+a)
239 - 지거국 자대 석사중인데 학부연구생 런치는거 흔함
46 -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116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99 - 연구실 사람들과 교수님께 쌓인 한 어떻게 하시나요
16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아 2탄
23 - 연대 의과대학 서류 합격했는데 면접 준비 어떻게 하나요..
7 - 대학원 학벌 vs 성과
4 - 연대 대학원 서류 탈락했는데 재수해도 가망 없을까요?
7 - 박사과정 중인데 현타가 좀 쎄게 오네요
5 - 마음 급한 학부생 살려주실 의인 찾습니다.
5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꿈, 목표 의식이 없는 남편 (조언 부탁 드립니다)
33 -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6 -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8 - 저희 교수님은 제가 싫은거겠죠
19 - 교수님이 타대생 안뽑았으면 좋겠다..
13 - 이마트 정용진 회장한테 뭔가 사기 당한 거 같음.jpg
6 - 석사 논문 마무리 원래 힘든가요?
12 - 왜 편애차별 당하는 사람한테
8 - 고려대 물리학 대학원 구술시험 보신 분 계신가요?
6 - 1저자와 교신저자에 관해서?
14 - 국립대랑 사립대 중에 믿을 만한 곳은 어디인가요?
11 -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23 - 인공지능으로 시험문제를 푼 대학원생, 학부생이 못마땅한 교수들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하며 느낀 한국 학계의 가장 큰 암덩어리
160 - 첫 논문 작성할 때 레퍼런스 정리 꿀팁 (+a)
239 - 지거국 자대 석사중인데 학부연구생 런치는거 흔함
46 -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116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99 - 연구실 사람들과 교수님께 쌓인 한 어떻게 하시나요
16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아 2탄
23 - 연대 의과대학 서류 합격했는데 면접 준비 어떻게 하나요..
7 - 대학원 학벌 vs 성과
4 - 연대 대학원 서류 탈락했는데 재수해도 가망 없을까요?
7 - 박사과정 중인데 현타가 좀 쎄게 오네요
5 - 마음 급한 학부생 살려주실 의인 찾습니다.
5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양대 학부 정도면 미국 top 10 석사 가능할까요?
13 - 학부 졸업 후 미국 석사 지원 준비 시에 할 만한 것이 있을까요?
10 - UC 데이터 사이언스
13 - 컴퓨터 아키텍처 쪽은 미국 대학원을 가야하나요?
11 - 꿈, 목표 의식이 없는 남편 (조언 부탁 드립니다)
33 -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8 - 저희 교수님은 제가 싫은거겠죠
19 - 교수님이 타대생 안뽑았으면 좋겠다..
13 - 석사 논문 마무리 원래 힘든가요?
12 - 1저자와 교신저자에 관해서?
14 - 국립대랑 사립대 중에 믿을 만한 곳은 어디인가요?
11 -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23 - 인공지능으로 시험문제를 푼 대학원생, 학부생이 못마땅한 교수들
13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17
202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