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에서 인기랩이라 하는 정도(ncs 꾸준히 나오거나, PRL JACS, AM에 출판 잘 하는 정도)라 하면 굳이 유학가지 않아도, 국내에서 실적 잘 쌓고 미국포닥 다녀오면 어지간한 미국박사보다 낫지 않나싶음
근데 보통 그런 연구실은 자대생 4점대들도 들어가기 쉽지 않고, 타대의 경우 연고서성한+과기원 수석이나 차석정도 아니면 교수가 거들떠보지도 않는 것 같더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0.12.12
물론 최고의 시나리오는 미국에서 대가밑으로 들어가는거지만, 그건 전세계 학생들이랑 경쟁해야하는 거니 뭐...
John Maynard Keynes*
2020.12.12
인기랩 갈 수 있으면 당연히 가고 싶지만... 난 서성한 라인인데 SPK인기랩은 거의 SPK만 뽑아서 학벌 때문에 못가더라고 근데 해외에선 오히려 더 잘봐주는 것 같아
2020.12.12
SPK 인기랩은 뭐 사실 전세계적으로 봐도 상위권이지. 한국 사람들의 비교대상이 항상 눈높이가 높아서 탑스쿨이나 명성있는 주립대와 비교했을 때는 꿀릴 수 밖에 없지만. 글쓴이가 '어지간한 미국 박사'라고 표현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 아닐까 싶은데.
근데 궁극적인 목표가 '교수 임용'이라면 SPK 인기랩을 나오든 미국 박사를 나오든 어려운 건 매한가지인듯. 운 역시 크게 따라줘야 하는 부분이라 확률은 극악인 데 그나마 국내 비SPK 출신보다는 약간 더 높은 정도?
그래서 탑스쿨 박사나 기타 내실있는 학교 출신 박사들은 오히려 국내 리턴보다는 현지 취업이나 현지 교수 임용을 노리는 경우도 점점 느는듯. 한국은 학령인구도 점차 줄어드는 형편인데ㅜ
2020.12.12
John Maynard Keynes
어중간하게 상위 10%정도면, spk에서 괜찮은 랩 컨택할 정도는 되겠지만, 애초에 유학가기에도 애매하고 인기랩 컨택하기도 애매함
그래도 굳이 비교하자면, 자대생 기준 인기랩 가는게 top10 미국대학가는것보다는 쉬울것 같기는 한데, 타대생한테는 top10 시도하는게 더 쉬울것 같기는 하네
2020.12.12
Lester Germer
인기랩까지는 아니지만, 준수한 연구실에서 phd student인데, 막연한 계획으로는 미국포닥하고 미국취업하는 것...
어차피 교수는 바라지도 않음ㅋㅋㅋㅋ
Edward Calvin Kendall*
2020.12.12
우리나라가 공대나 응용학문은 잘 나가서 spk 인기랩이면 세계적으로도 상당한 수준이긴 하지.
근데 자연과학쪽은 ibs 급이 아닌이상, 세계 최고수준이랑 격차 많이 나서... 솔직히 ibs도 교수마다 다르지만, 그닥인 경우도 많기도 하고.
근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 자연과학쪽은 spk쪽도 절반넘게 국박이 임용되는거 보면, 확실히 유학 자체를 적게 가거나(난이도가 높음) 혹은 해외에서 리턴을 안하는 것 같음.
Lawrence Bragg
IF : 1
2020.12.12
예전에는 미박들의 실적이 압도적이었지만, SPK 인기랩들에서 PRL, PNAS, JACS, AM, Nat Comm 같은 논문들이 쏟아지기 시작하면서 최근 미박 보다 국박 후 해외 포닥 들의 실적이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해외에서 처음부터 다 헤쳐나가는 것보단 국내에서 잘나가는 연구실에서 논문쓰기가 쉽기 때문이겠죠.
이런 경우 이점은 (잘풀릴경우에 한해서) 실적이 좋다와 국내에 힘이 되어줄 수 있는 여러 스타 교수님이 있다는 것.. 무시할 수 없죠.
미박으로 나갈 경우에는 탑스쿨로 간다면 실적이 잘 풀리고 말고를 떠나서 해외에 자리잡는 것을 더 쉽게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Edward Calvin Kendall*
2020.12.12
미박 vs spk 인기랩 둘 중 하나 하라고 하면 전자 추천합니다. 전자가 나이는 2-3살 많겠지만, 군대문제+유학준비 고려하면 한국 돌아올때 그냥 익스큐즈 되고요.
어짜피 spk 인기랩 가도 100% 전원 논문 쏟아내는 랩 없습니다. 또 인기라는게, 분야 트랜드 따라 바뀌기도 하고요. 교수가 조교수 부교수땐 열심히 하다가 푹 퍼지는 경우도 있고. 국내 대학 특성상 포닥없이 운영되는 랩이 대다수기 때문에 교수가 퍼져버리면 답 없음. 즉 spk '인기랩' 에서 오는 프리미엄은 가변적이라는 것.
하지만 미국박사에서 오는 프리미엄은 가변적이지 않죠. 미국이 중간에 망하지 않는 이상 취업의 기회가 더 늘어나고, 포닥을 가더라도 훨씬 쉽게 자리 구하고, 실적마저 좋으면 한국, 미국 어디든 교수로 갈 수 있는 조건이 됨.
Gustav Mahler*
2020.12.12
미국 대가랩 가도 꼭 좋다고는 못합니다. 낙동강 오리알 신세 되는 사람 많아요.
2020.12.13
인기랩은 바로 교수 임용되더라
Edward Calvin Kendall*
2020.12.13
Gustav Mahler // 근데 그건 국내 인기랩도 마찬가지죠. 둘 다 낙동강 오리알 됬을때 미국 탑대학은 선택지가 국내탑대학보다 많죠.
2020.12.12
2020.12.12
2020.12.12
2020.12.12
2020.12.12
2020.12.12
2020.12.12
2020.12.12
2020.12.12
2020.12.13
202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