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4-1까지 마친 학점은 전체 3.6/4.5 전공 3.7/4.5 입니다. 토익은 795점 가지고있습니다.
우선... 집안의 형편이 좋은편은 아닙니다. 학부 다닐때에도 계속 학자금대출 받았습니다. 이러다보니 대학원 진학에 뜻은 있는데 돈도 생각을 하지 않을수가 없네요. 생활비같은 기초적인 생활을 걱정할 정도는 아닙니다..
그런데 학점이 또 좋은편이 아니라 spk는 생각을 못하고있고요 그아래 ist, 혹은 kist학연과정을 통해 연,고대에 진학을 하고자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학연과정에 대해서 안좋은얘기가 너무 많이 들리네요... 박사까지 생각중이라 랩과 교수님 선택이 정말 중요한데 안좋은 얘기가 많아 고민이 됩니다.
IST중 랩 두곳에 컨택을 해 보았다가 실패하였습니다. 제 학부 전공과 다른 분야로 넘어가려고 하는데 교수님들께서 기초 지식이 없는점을 이야기 하시더군요. 학점도 크게 한몫 한것같긴 합니다.
말이 좀 다른쪽으로 샌것같습니다... 이런과정을 겪다보니 학연과정에 관심이 가게 되었는데요. 학연과정을 신청시에 소속 대학은 어떻게 정해지는것인지, 일을 하면서 제 논문은 언제 쓰는것인지 이런것들이 궁금하고 걸립니다. 혹시 잘 아시는분이 있으신가요? 아니시더라도 여러분은 학연과정 어떻게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Hunayn ibn Ishaq*
2019.08.09
학연 과정은 여러가지 장단점이 함께 있습니다. 안좋은 소문이 어떤 건지 구체적으로 적어 주시면, 제가 생각하는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Frederick Gowland Hopkins*
2019.08.09
@Hunayn 아무래도 가장 크게 와닿았던건 교수님께 제대로된 지도를 받기 힘들고 그로인해 질좋은 논문을 쓰기가 힘들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공감도 많이 되었던 내용이구요
2019.08.09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많은 경우가 자신의 학업보다는 일에 치여삽니다. 그 환경에서 좋은 논문은 기대하기 힘듭니다.
Hunayn ibn Ishaq*
2019.08.09
ist 두 군데에서 기초가 없어서 탈락했다면, 저는 글쓴님에게는 학연을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말씀하신대로 학연은 논문 지도를 잘 받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장점도 있습니다. 전공 과목에 대한 기초가 있는 학생은 좋은 장비가 있는 출연연에서 학교 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Hunayn ibn Ishaq*
2019.08.10
정상적인 방법으로 대학원에 입학할 능력이 없는 학생이, 정원 외로 입학하기 위해 학연생을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글쓴님이 이런 경우인 것 같은데, 이 또한 학연생을 권하지 않습니다. 능력 없는 학생이 학연생이 되면, 논문을 못쓰는 것은 자신의 부족이라고 생각지 않고 학연 제도의 잘못이라고만 탓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Hunayn ibn Ishaq*
2019.08.10
제가 아는 고려대 교수님은 학연생을 싫어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 이유를 물어 보았는데, 학연생은 학업 성취도 등을 보았을 때 수준이 낮다고 하셨습니다. 기초가 없는 학생이 많다 보니, 생기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Frederick Gowland Hopkins*
2019.08.11
@Hunayn 아무래도 그렇군요 6개월정도 학부를 더하며 기초를 좀 쌓고 풀타임으로 재도전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9.10.09
6개월 더 한다고 합격한다는 보장도 없고 어차피 박사과정 한두해 하는것도 아닌데 들어가서 기초부터 열심히하면됩니다
그리고 일과 학업이라는게 명확히 분리되는것도 아니고 일반과정으로 들어갔다고 과제일 없는 것도 아닙니다
지도교수에 따른 영향이 제일 큰 듯 합니다
저는 모든 기회는 다 트라이 하시고 그 과정에서 지도교수를 신중하게 선택하는것이 더 현명한듯 합니다
2019.08.09
2019.08.09
2019.08.09
2019.08.09
2019.08.10
2019.08.10
2019.08.11
2019.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