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저는 p학부 졸업해서 현재 s통합 1년차임을 밝힙니다. 학부 졸업평점 3.7x이고 SCI 1편 보유중입니다.
저는 연구참여나 졸프를 할 때도 그냥 졸업과정이니까~ 정도로 생각하고 임했어서 논문 관련 경험이 전혀 없는데 여기 글들 보면 많은 학부생분들이 (대부분 국내 논문이기는 하지만) 논문을 쓰셨더라구요.
저는 그런 걸 보면서 대단하고 저런 분들이 대학원을 가야된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분들 의견을 보면 그런 경험은 크게 중요하지 않고 학점이 제일 중요하다라고 말씀하시더라구요. 물론 학점도 중요합니다만, 연구원으로써 일찍이 논문에 관심이 있고 결과까지 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생각합니다.
그래서 고견을 여쭙고자 글 올려봅니다. 고학점 vs 논문경험,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둘 다 잘하는게 좋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3:7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Wallace Clement Sabine*
2020.11.26
지나가다 궁금한건데 1저자이신가요?
2020.11.26
전 학점 vs 논문이 7:3이라고 보는데요...
2020.11.26
둘의 기여도를 단순비율로 나타내려면 각 팩터를 이용한 기여도가 선형적으로 반영되고, interaction이 없는 다행식으로 표현돼야할텐데... 그럴리가 없으므로 공허한 토론입니다. 각자 생각하는 함수의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뭐든 대충 맞는 범위가 있겠죠.
2020.11.26
Wallace Clement Sabine 네 당연히 1저자입니다.
Voltaire 허허 네 그런 전범위적인것을 따져서 rating한 비율이 궁금했는데 고견 감사드립니다. 그런 대충 맞는 범위에 대해 여쭙고자 올린 글입니다.
Albrecht von Haller*
2020.11.26
"여기 글들 보면 많은 학부생분들이 (대부분 국내 논문이기는 하지만) 논문을 쓰셨더라구요." 이 부분이 약간 이상한데 보통 논문이라고 하면 당연히 해외 저널이죠. 국내 저널중에 sci인 것도 별로 없고 있어도 IF가 최하위권이니까요.
2020.11.26
목적이 뭐냐에 따라 다른 것 같긴한데, 보편적으로 학점은 서류에서 필터링될 수준 (사견으로는 3.5/4.0 선?) 아니면 큰 하자 없다고 보고 연구실적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논쟁이 큰 의미 없는 이유는 보편적으로 연구실적이 좋은 사람들은 학점이 보통 좋습니다. 학점은 3.3 이런데 탑저널 있고 그런 경우가 엄청 적다는 거죠. 물론 학점이 연구성과와 비례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요.
2020.11.26
ㄴ 제 기준이 다소 낮을 수도 있겠네요. sci나 if기준 수준은 미미하라도 introduction부터 conclusion까지 자신만의 글을 썼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2020.11.26
ㄴ네 저도 사실 이런 논쟁에 대해 큰 의미가 없는 것 알지만 위엣 글에 학점도 준수하신 분이 연구 성과도 있는데 그에 무조건 학점이다! 라는 댓글이 보였고 공감수도 높아서,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여쭌 것입니다.
2020.11.26
저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저도 컨택을하고 입학할때 느꼈는데 논문 경험을 교수님들이 실제로 높게 쳐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들어가서도 남들보다 빠르게 아웃풋을 낼수도 있고요.
2020.11.26
2020.11.26
2020.11.26
2020.11.26
2020.11.26
2020.11.26
2020.11.26
2020.11.26
2020.11.26
20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