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생은 원생을 서포트하고 석사는 박사를 서포트? 하는식의 고 학력으로갈수록 하는 일의 중요도가 커지는 시스템입니다.
이런 점때문에 아무래도 연구실 논문이나오면 교수님을 제외하고 박사가 1저자에 위치하고 그뒤로 석사, 학부생이 2,3,4저자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래서 석사로 졸업하게되면 1저자인 논문이 졸업논문외에는 거의 없는거 같습니다.
현재 이분야로 석사 진학을 원하고 있는데 물론 석사로 1저자논문은 아무도 안쳐준다고하지만 그래도 없는거보단 있는게 낫지 않나 싶어 고민중에 있습니다.
이렇게 박사가 1저자에 위치하는점이 이런류의 실험위주의 연구실들의 공통적인 특징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지금있는 실험실의 단점인지, 아님 실험위주의 연구실의 특징인지 알고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Melvin Calvin*
2019.07.28
석사로 1저자논문은 아무도 안쳐준다고 누가 그러던가요...? 요즘 대학원들이 석사졸업요건이 SCI 1저자 한편이 대부분이니 이런 의미에서 보편적이니까 의미없다. 라는 얘기라면 그럴싸한데.. 막말로 요즘 개나소나 1저자로 SCI 내고 다녀서 없으면 좀..
2019.07.28
Melvin Calvin 님 아 제 설명이 부족했나보군요
네 그런 뵤편적인 의미에서 말한것이구여
제가 궁금한것은 박사 독식?의 시스템이 현재있는 실험실의 단점인지
비슷한 분야의 실험연구실의 공통적 특징인지 입니다.
René Laennec*
2019.07.28
논문에서 1 저자는 가장 idea 를 많이 제공한 사람이고, 논문에서 없어서는 안될 사람이 됩니다. 그래서 1저자가 논문을 주도적으로 작성하게 됩니다. 반면, 보조적인 역할을 하거나 다른 사람으로 대체 가능한 사람이라면 1 저자가 될 수 없을 것입니다.
그 박사가 1저자의 위치에 있는 것은 그 만큼 실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서이지, 실험 위주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만일 박사라서 항상 논문의 제 1 저자라고 한다면, 그 연구실에 문제가 있는 것이지, 모든 실험 위주의 연구실이 그렇지는 않아요.
Melvin Calvin*
2019.07.28
우선 저같은경우 분야는 화학입니다. 랩바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저희는 철저하게 논문이 나올 때 그 논문에 기여를 가장 많이 한 사람에게 1저자를 주고, 비슷하게 기여했으면 공동1저자 주고 기여순으로 나열합니다.
석사생이 새로 들어와서 박사가 초반에 도와주고, 이후 석사가 진행했다고 하면 1저자는 석사이고 박사는 1저자가 아닌 2, 3저자 줍니다. 기여에 따라서 공저자까지도 가능할수는 있겠지만요.
또한 글쓴이 분이 말씀하시는것처럼 연구실 분위기 자체가 학부가 석사를, 석사가 박사를 서포팅하는 문화라면 저자가 저렇게 나오는게 당연합니다. 제가 있는쪽은 석사도 개인토픽 2~3개 들고 실험해서 서포팅의 개념이 아니기에 1저자가 나옵니다.
2019.07.28
해당 연구실의 시스템이 옳다 그르다를 떠나서, 제가 생각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꼰대 기질이 있는 박사의 경우, 밑에 후배들에게 죽도록 실험만 시키고 본인은 자리에 앉아서 아이디어 구상만 하고 데이타만 긁어 모은다. 그리고 많은 데이타를 교수에게 보여줌으로써 마치 본인이 많은 일을 한것처럼 포장하고, 후배들은 마치 일을 하지 않은것 처럼 보이게 만든다.
2. 최악의 경우 석사기간동안 1저자 논문을 단 한 편도 못쓸 수 있다. 본인이 총명하고 명석하여, 논문이 될만한 아이디어를 선배와 공유하게 되는순간, 나는 그 아이디어에 대한 실험을 내가 진행하였으나, 논문은 집필은 선배가 하여 1저자를 선배가 먹는 엿같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연구실:
아이디어 구상 당시에 1저자를 누가할지 실험 배분은 어떻게 할지 모두가 공평하게 합의가 이뤄진 상황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누가 1저자도 못먹는 실험에 열정을 바쳐서 실험을 하고 싶겠는가.
2019.07.28
우리나라 실험실에서 종종 발견되는 고질적인 조직문화. 피라미드 형태로 학생들을 배치해버렸기 때문에, 교수입장에서는 관리하기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하지만, 몇몇 우리나라 연구인들은 연구하는 사람들은 모두가 평등하다는 기본적인 전제를 망각한듯 합니다. 연구책임자 (주로 교수)만 그 연구실을 대표하고, 조직의 성격상 연구원들의 포지션을 분화 시켜놓을 수는 있으나,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연구원들의 서열은 실제로 존재하면 안됩니다. 그에 따른 부작용은 윗댓에서 설명해 드렸구요.
2019.07.28
2019.07.28
2019.07.28
2019.07.28
2019.07.28
2019.07.28
2019.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