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학부연구생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어느정도인가요?

2025.02.04

5

2298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재학중이며, 곧 3학년 올라가는
AI (멀티모달) 분야에 관심있는 학생입니다.

전공과목들은 잘 수강중이며 학점은 4.2/4.3으로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관심있는 분야가 Ai인데 반해 2학년동안 기른 역량은 개발자로서의 부분이 큽니다.

본격적으로 Ai 학회 지원 등 관련 공부는 이번 3학년부터 시작할 것 같은데,
결국 지금은 정말 기초적인 통계학, 선형대수, 파이썬 밖에 다루지 못합니다.

Nlp도 cv도 제대로 모르는 상황에서 멀티모달에 관심이 있다는 거 부터가 참 스스로도 웃기지만, 진로는 꽤 확고한 것 같습니다.
다만 이런 상황에서 교수님이 과연 저를 학부연구생으로 받아들여주실지는 의문입니다.



서론이 길었습니다...

학부 인턴은 역랑을 기르는 곳인가요?
아니면 길러진 역량을 바탕으로 연구를 하는 곳인가요?

우선 교수님에게 컨택을 드려야할지,
그리고 학기중에도 학연생 병행이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멋진 연구생 선배님들이 꼭 답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2.05

저도 답변이 궁금하여 다시 오려고 댓글 남깁니다

2025.02.05

기초가 없으면 안 되지만 기초가 어느 정도면 좋습니다 정도로 보면 될 것 같아요. 학부연구생은 학습의지를 가지고 있고 열심히 하려는 모습을 보이면 됩니다.

2025.02.05

기초가 부족한 상태에서 원하는 게 너무 많으신 듯 해요. 멀티모달이든 뭐든, 관심분야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쌓아보세요

2025.02.07

학부생을 대하는 교수님의 생각에 따라 달라지긴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많은 것을 바라진 않습니다. 보통 자대 학부생이면 '들어와서 공부해봐라'라는 느낌이시더라구요. 이제 2학년 마치시는 거면 아직 전공 수업도 제대로 안들어갔기 때문에 더 그러실겁니다.

물론 그렇다고해서 공부하러 가는 곳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기초적인 공부는 최대한 빠르게 끝내고 연구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하셔야합니다.

추가로, 목표가 있고 그 목표가 크다고 생각된다면, 그 큰 목표를 받아 줄 수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받아보세요. 여기서 질문하는 것 보다는 교수님께 면담 받는게 훨씬 더 도움 될 겁니다.

2025.02.09

연구를 위한 역량을 기르는 곳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익힌 전공을 되돌아보면서, 필요한 배경지식을 쌓고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을 경험하는 곳입니다. 그러다가 준비가 되면 연구도 해보는 거고요. 그러니 연구생이 된다면 능동적으로 선배님들 따라다니면서 어떻게 연구를 하시는지 보고, 모르는 것들을 찾아보고, 교수님께 적극적으로 무엇을 배우고 있으며 이런저런 것을 해보고 싶다고 말씀드리고 이야기를 나누어보시면 됩니다.

교수님께는 가능한 빨리 컨택하는 것이 무조건 좋습니다. 학부연구생 관련해서 면담하고 싶다고 메일 드린 후 답변이 오면 가서 지금 드는 궁금증을 다 교수님께 여쭤보세요. 결국 교수님과 이야기해보면 다 알게 됩니다.

본인만 전공공부와 병행할 여유가 있다면 학기중에도 계속 할 수 있습니다. 학기중이라고 못 하게 하는 경우는 별로 못 봤습니다.

맘편히 바로 컨택메일 보내시면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