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턴 두 곳에서 해보신 분?

2022.03.26

9

1073

동시에 학부생 인턴 두 군데서 해보신 분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선량한 박경리*

2022.03.26

양다리 쉽지 않지 ㅎㅎ

대댓글 1개

2022.03.26

해보신적 있나요?? 가능하긴 한가요

2022.03.26

만약 진학 목표가 확실한데, 두 랩실 중에 고민하는 거라면 사전 탐방 느낌으로는 뭐 가능할지도. (단기간으로 끊어서 2개 랩 인턴을 따로따로 해 볼 시간적 여건이 없다는 가정 하에)

근데 진짜 딱 자기가 진학할 랩 사전탐방 용으로나 할만하지, 그거 말고는 얻을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을듯. 연구 참여는 고사하고 스펙적인 부분, 경험적인 부분 아무것도 건질 수 없음. 그냥 랩 분위기만 확인하는 정도.

그리고 저렇게 동시에 2개 인턴하려는 거면 아마 둘 다 자대랩 같은데, 걸리면 미운털 박힐 각오는 해야될거임

대댓글 5개

재밌는 한나 아렌트*

2022.03.26

+ 나중에 CV에 쓰지도 못할듯.

2022.03.26

정말 몰라서 그러는데 저게 왜 미운털 박힐 각오를 해야 하는 일인가요....?
학생이 능력이 좋아서 두 개 랩에서 인턴 오퍼를 받았고
둘 다 관심이 있어서 시간을 쪼개 인턴 생활을 하는 건데.. 오히려 대단한 일 아닌가요??
(저 글쓴이는 아닙니다)

2022.03.26

정말 몰라서 그러는데 저게 왜 미운털 박힐 각오를 해야 하는 일인가요....?
학생이 능력이 좋아서 두 개 랩에서 인턴 오퍼를 받았고
둘 다 관심이 있어서 시간을 쪼개 인턴 생활을 하는 건데.. 오히려 대단한 일 아닌가요??
(저 글쓴이는 아닙니다)

2022.03.26

학생 능력이 좋아서 오퍼를 받았다라.. ㅋㅋ 우선 인턴 기회가 주어졌다고 저걸 능력이고 보는것 자체가 웃음벨이네요. 랩 들어간것도 아니고, 막말로 인턴이나 학연생은 랩에 자리가 있고 학생 참여의지만 높으면 거절하는 교수님 거의 없습니다. 막말로 그냥 그 때 랩이 엄청 바쁜 시즌이 아니고, 자리도 좀 있고 하면 그냥 받아주시는거죠. 우선 인턴으로 그걸 능력이라고 생각하는게 너무 신기한? 발상같네요.

그리고 제가 말했듯이 분야가 전혀 다른 두곳을 번갈아 가며 출퇴근하는거면 아마 자대일 가능성이 높겠죠? 아니면 적어도 한 학교 내에 있는 두 랩일 수도 있겠네요. 그런데 랩 입장에서 학생 인턴을 받아주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랩에서는 학부생 인턴 받는 것 자체가 엄청난 희생입니다. 더군다나 인턴 월급까지 주면 그냥 손해보면서 받는거죠. 랩 구성원들, 석박사들은 본인 실험하기도 바쁜데 인턴 챙겨줘야해, 자리도 줘야해, 실수하거나 뭐 잘못하면 그거 다 처리해야해.. 솔직히 말해서 랩인턴은 그냥 교수님의 선심이에요. 같은 연구자로써 그래도 좀 도와주고싶다는 선심이죠, 그걸 가지고 능력이 좋아서 뽑았네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애초에 박터지는 랩들은 인턴같은거 없어도

또 교수님은 그냥 랩에 출근하라는 허가만 내리신 거지, 결국 인턴을 알려주고 경험을 시켜주는건 다 석박사들 몫입니다. 근데 왜 그 사람들이 자기 희생하면서 봉사에 가까운 행동을 할까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그냥 선심입니다. 막말로 교수님이 인턴을 들여도, 석박사들이 '지금 너무 바쁘고 시간 여유가 없어서 인턴을 도저히 못 챙겨주겠다' 라고 교수님께 말한다 해도, 교수님도 그냥 알겠다고 넘어가실겁니다. 본인 연구와 랩 구성원들의 연구보다 중요한건 없으니까요. 그럼에도 인턴 챙겨주고, 실험, 테크닉, 연구 개념들을 알려주는건 그냥 같은 학생으로써 도와주고 싶은 동정심 때문이겠죠. 딱봐도 학부생이 인턴까지 하면서, 열정 있는 모습으로 애쓰는데 그걸 차마 무시할 수는 없으니까 본인들

2022.03.26

없는 시간 쪼개면서까지 챙겨주는거죠.

그런데 두 랩을 동시에 번갈아 가면서 다닌다.. 이건 앞서 말했던 선심을 베푸는 교수, 그리고 랩 구성원들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가 아닌겁니다. '본인은 여기 랩 들어올 생각이 없고, 그냥 대충 둘러보면서 스펙이나 쌓을겁니다' 라고 말하는게 뻔히 보이는데, 대체 누가 그런 인턴을 챙겨줄까요? 그래서 제가 첫 댓글에도 적었듯이, 이런식으로 인턴을 하는거면 랩 분위기 정도만 확인하는것 말고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습니다. 혹여나 본인이 랩을 2군데 다니고 있다는 사실을 랩 구성원 분들이 알기라도 하면 정말.. 그분들은(교수님 포함)화가 나겠죠.

자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건 SPK제외 서울 중위권 대학에 해당되는 이야기인데, 자대 랩에서 인턴하겠다하는 학생 쳐내는 교수님 없습니다. 본인 학교 학생들 최대한 지원해주고 싶은 마음에 흔쾌히 기회를 주시는거죠. 물론 걔중에는 자대 랩에서 CV쌓고 더 좋은 학교로(SPK) 진학하는 목적의 학생도 다분히 있습니다. 교수님도 그걸 아시지만 학생 잘 되라는 마음으로 받아주시는 거고요. 하지만 아무리 경험쌓고 더 좋은 랩으로 가기 위해 인턴을 하는거라도, 최소한의 예의는 있어야죠. 두 곳 인턴을 동시에 하는걸 들키면, 앞서 말한 '본인은 여기 랩 들어올 생각이 없고, 그냥 대충 둘러보면서 스펙이나 쌓을겁니다' 을 광고하고 다니는 것과 뭐가 다르나요?

2022.03.26

저는 연구실 인턴을 두 곳에서 했습니다. 그런데 동시에는 안했습니다. 1년하고 마친후 다른 대학에서 1년을 했습니다. 동시에 한다면 그거는 협력 연구?나 interdisciplinary 필요성이 있을때 그렇게 2곳의 소속에서 지도교수 2명으로 할 수 있겠죠. 근데 그거는 석사나 박사때 이야기고 rare한 케이스입니다. (제가 본 것은 kaist medical bio 와 전산학 두 지도교수를 하면서 연구실 소속이 2개 였음, 극히 일부) 인턴은 한곳에 집중하는게 좋습니다.

대나무가 높게 뻗을 수 있는 이유는 가지를 많이 치지 않아서입니다. 한곳에 집중해도 인턴때 배워야 할 것이 많습니다. 물론 다양한 경험도 중요하지만 한가지에 깊게 경험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그 인턴 길을 걸어간 사람으로서, 동시에 하는 것보다 한곳에 인턴을 끝나고 다른 곳으로 가길 추천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동시에 하지말라고 말을 했지만, 그러나, 제일 중요한 건 본인의 상황입니다. 그것이 시너지를 내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그렇게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