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공지능 버블? 때문에 고민?

2022.03.21

9

4115

닷컴 버블이 온 거 처럼 인공지능도 버블이다?
원래 잘나가는 산업은 인기가 있기에 당연히 버블이있는 법.
버블이 낀다는 것은 사람의 관심이 많고 돈을 많이 들고 온다는 방증.

# 그래서 인공지능이 산업에서의 미래는?
버블이라서 걱정이된다? 버블이면 버블인 산업속에 분명 보물이 있다.
그중 하나가 테슬라다. 많은 사람들이 과거를 토대로 이야기를 한다. 누구나 할 수 있는 말들을.
나는 나의 업계의 기술과 경영의 관점에서 얻어진 경험의 통찰로 보았을 때, 테슬라는 자율주행에 더욱더 최강이 될것이다.
그 외에 인공지능이라는 기술은 우리산업 속에 더 퍼지어 마치 '전기'와 같은 것이 될것이다.
그래서 많은 젊은 이들은 인공지능이 거품이 아니냐, 지금 이 기술은 나의 분야나 케리어로 쌓는게 해가 되지않을까 하는
걱정은 안해도 된다.

# 인공지능을 연구의 관점에서?
우리가 흔히 인공지능 core를 연구한다하면, iclr,icml,aaai와 같은 곳에 내거나, 확장된 응용분야 vision으로서는 cvpr,iccv,eccv가 있겠다. (nlp: naacl, acl, emnlp)
이러한 분야에서 연구하시는 분은 그냥 쭉 이대로 달려가시면 된다.
이러한 인공지능을 메인 주제로 삼지 않더라도 도메인 성격이 강한 분야라 할지라도 늘 deeplearning을 어떻게 적용시킬지
생각해야한다. 가령, 바이오정보, 화학공학 기계공학등. 이미 많은 시도들을 하고 있다.

# 이미 인공지능 기술은 다 나온거 아니야?
머 성능도 어느정도 나오고, 내가 할 일은 끝난거 아니야?
BERT, GPT-3 정도 나왔으니 머... 내가 할 일이 있을까
작년이던가 사이언스에서 선정한 선정한 최고의 연구 성과는 딥러닝을 이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이였다.
아직 먹거리는 많다. 그리고 많은 industry에 대한 application 문제도 있고, general purpose에 대한 문제도 많다.

# 젊은이들이여.
해서, 이 인공지능이란 광활한 과학과 기술의 바다에 뛰어들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3.21

먹거리는 아직 많은데 그만큼 연구하는 사람들도 갑작스럽게 많아졌으니까요.. 정출연이나 학교쪽에서 자리는 사실상 포화상태라고 보는게 맞긴하죠. 산업쪽에서는 니즈는 계속 있을듯하지만, 과연 최근 인공지능학과를 포함 컴싸, 그리고 다양한 학과에서 인공지능을 걸친 사람들의 숫자에 비해서 충분할지는 두고봐야할듯 할것같네요.

2022.03.21

그러면 ASIC for AI 이런거는요 AI accelerator 같은 하드웨어는 어떻게 생각하심 AI의 발전과 같이 수요가 증가?

대댓글 1개

2022.03.21

저는 하드웨어 쪽에 시각이 넓지 못합니다.
허나, 제가 소프트웨어를 위에 올리면서 경험한 기준으로 보았을 때,
AI accelerator 같은 하드웨어는 딥러닝과 더불어 발전할 것입니다. 마치 NVIDIA의 GPU가 부상하는 것처럼요.
지금 많은 연구실에서 GPU니 deep learning workstation이니 하면서 a100/v100 몇억짜리를 구매하는 것을 보면서 그렇게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중국 정부 인공지능 및 관련 사업 예산을 보니 대단히 크게 잡혀있고 그러한 돈의 흐름은 당연히 하드웨어 쪽에도 흘러갈 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아무리 deep learning model for specific-task이 작아져도, 그 모델들이 모이면서 complicated and heavy 해지므로 당연히 좋은 성능의 병렬연산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 부분은 관련 전공자님께서 보신다면 답변해주시면 좋겠네요)하지만, 그 AI accelerator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2022.03.21

개인적으론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이의 기대치가 너무 다른게 걱정됩니다. 돈 대주고 사업 진행하는 건 AI 비전문가가 많은데, 이쪽은 거의 SF 영화 수준을 기대하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
나중에 비전문가의 기대치가 낮아지면서 수요가 함께 줄어들지 걱정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3.21

이미 역사적으로 그랬던 적이 있어서 더욱 그렇죠

2022.03.21

아직 학부생이라 잘 모르겠지만
당장 주변에 보면 심하리만치 열광이라 좀 고민이긴해요..
당장 주변에 국비교육, 정부지원 AI특강, 학부생을위한 AI 특강 등등 특강도 거의 AI쪽으로 열리고...
지금 학교 연구실 인원도 AI쪽이 다른데에 비해서 3배나 많은데..
당장은 인공지능관련 인력이 품귀한데 한 4~5년뒤엔 진짜 발에치이는게 관련 전공자일것같아서 걱정이네요

2022.03.21

내용과 별개로 반증과 방증은 구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정 반대의 의미가 됩니다

대댓글 1개

2022.03.21

오 몰랐어요 알려줘서 고마워요.

2022.03.22

저도 탑컨퍼 네개 내본 나름 AI리서처 초짜이긴한데 솔직히 거품 너무심해요. 그리고 탑컨퍼 논문들도 쏟아져나오는터라 논문의 가치가 점점 떨어지는거같네요. 저는 솔직히 길면 십년 짧으면 5년정도 보는데 어떻게생각하시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