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다 보니 학교만큼 실험이 많이 없을거 같기는 했지만, 제품 개발 때문에 제품에 영향을 미치는것들에 대해 조사를 해야되서 매일 같이 논문만 읽고 있는거 같아요.
2달 가까이 다니고 있지만 실험을 제대로 해본게 10번도 안될거 같습니다.
저는 석사 졸업 후 취업이 목적이라 산학과정을 선택한거 였는데, 실험을 주체적으로 할 수 없는거에 대해서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학교에서 대학원을 보내면 교수님과의 discussion도 많을거 같고 실험도 많이 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 인턴과정을 그만두고 학교에 있는 대학원으로 돌아갈까 생각중인데요.
브릭, 김박사넷을 통해 올라온 공지로 대학원 이메일을 보내시는건지? 아니면 다들 직접 찾아보시고 교수님꼐 대학원을 들어가고 싶다고 이메일을 보내시는건지 알수 있을까여?
기업에서 1달뒤 부터는 시험이 들어갈꺼라고 하시긴 하는데 대학원때 실험을 직접 그려보기도 하고 실패도 해봐야 한다고 들었는데 여기서는 박사님과 부장님의 명령에 따라서 실험을 하는거라... 그럼에도 기업에서 산학을 하게된다면 경력으로 인정해주는 장점이 있긴한데 끝까지 버티면서 하는게 나을까...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IF : 5
2022.03.08
석사가 학교에서 대단하게 뭔가를 할거라고 기대하시는 것부터가 현실과 동떨어져있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 학교든 연구소든 회사든 어디든 처음 온 학생이 처음부터 뭘 안다고 덜컥 실험을 시킬 수 있을까요.
대댓글 4개
2022.03.08
맞는 말씀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제게 무언가를 맡기는것 부터가 말이 안되긴 하죠.
하지만, 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은 체계적일꺼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주말 상관 없이 나가서 직접 실험을 해볼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보니 흔들리는거 같습니다.
IF : 5
2022.03.09
정말 놀랄만큼 체계적이지 않습니다. 제가 회사에서 많이 듣는 말이 "학교에선 잘 안이렇죠?" 인데 더해요 ㅋㅋ
그리고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누군가의 관리 하에 실험하는 것을 권합니다. 안전때문이기도 해요. 처음부터 너무 주말까지 달리면 금방 지칩니다.
2022.03.09
2달이 지나면서 저는 실험 하나 마음대로 못하는데 주변 대학원 친구들을 보면 주말에 나갈정도로 치열하게 실험도 하고 공부도 하더라고요.
교수님께서 과제를 하나씩 주시면서 그거에 대해서 결과를 뽑아볼려고 실패해도 계속 다른 방법으로 실험을 하면서 성장해 나가는걸 보니 저는 여기서 단순히 정해진 결과값만 가지고 실험을 하는거다보니 대학원 졸업후 차이가 너무 크지 않을까 아는 생각이 들어서요
혼자 2달동안 아무것도 하는게 없어서 조급해지는건지… 아니면 다른곳들도 처음에 다 이러는건지…
IF : 5
2022.03.09
전 저 혼자 실험하는데 1년 걸렸습니다. 복잡한 실험인데다 제가 못해서 그러긴 했지만...
근데 큰 틀에서 봤을 땐, 정말 현실적으로 말씀드리면 석사한테 그렇게 아주 많은걸 기대하지는 않아요. 아직 조급하게 생각 안하셔도 되지만 좀더 잘 지켜보세요.
2022.03.08
대댓글 4개
2022.03.08
2022.03.09
2022.03.09
202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