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이번학기 복학후 내년 유학을 준비하려고 하는 학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나중에 스위스나 독일 쪽에서 일하고 싶어서 유럽 쪽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여러 학교중 eth가 가장 맘에 들어서 eth 기계과 석사과정을 지원해보려고 합니다
혹시 eth 석사과정 학점이 어느정도가 되어야 합격을 기대할 수있을까요?
제 학점은 총점 3.9 전공 4.1 정도이고
연구실은 이번에 학부생 인턴으로 시작하기로 햇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2.01.30
학부는 서울댑니다!
이기적인 마키아벨리*
2022.01.30
유럽은 PI와 컨택해야하는 것으로 압니다. ETH면 당연히 서울대 수준의 대학의 학점에는 별 관심 없을겁니다.
대댓글 9개
2022.01.30
석사과정 지원의 경우도 pi와 컨택해야되나요?
이기적인 마키아벨리*
2022.01.30
입학이 중요한 게 아니고 석사 논문 지도교수를 찾아야할텐데 제가 아는 교수는 기초지식 테스트를 위해 면접도 보고 웬만하면 석사생 잘 안 받으려 합니다. 그쪽 분야는 아니라 다를수도 있습니다.
IF : 1
2022.01.30
ethz 석사를 컨택을 한다고요?? 박사도 아니고.. 거기는 랩에 들어가는 개념이 아니라 석사가 코스웍만 밟는 학부 5학년 개념인데요 랩은 막학기에만 들어가는데
IF : 1
2022.01.30
ethz 뿐 아니라 epfl이나 독일대학들도 마찬가지로 알고있는데 (mpi intern으로 석사가는경우 제외)
2022.01.30
혹시 eth 석사과정에서 요구하는 학점 수준 아시나요?
이기적인 마키아벨리*
2022.01.30
댓글에도 적었지만 제가 이해하는 '석사 입학'은 당연히 석사 지도교수를 고르는 것까지 의미했습니다. 제 주변에서 유학의 목적이 확실히 있는 사람은 다 미리 컨택하고 갔습니다. 그냥 무작정 가서 되는 사람 아무나 고를 생각이면 상관 없겠지요.
2022.01.30
입학도 못햇는데 컨택이 가능한가요?
eth 중에서 특히 가고 싶은 랩이 있는데 연락을 드려봐야겟군요
IF : 1
2022.01.30
음.. 제가 예전에 ethz에 있었는데 여기는 석사는 선컨택 금지인 연구실이 많습니다. 글쓴이분과는 과가 달라서 좀 다를지 모르겠지만.. 일단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ethz 프로그램 구성이 1년 코스웍(코스웍만 듣는거임. 학부 5힉년이라고 보면 됨) 6개월 랩로테 6개월 연구실인턴 이런식으로 돌아갑니다. 과마다 다를수는 있겠지만요. (1.5년 코스도 있고 2년 코스도 있어서)
학교에서 원하는게 랩로테 후에 연구실을 정하는거리 이를 따르는 연구실이 많습니다.
IF : 1
2022.01.30
대놓고 금지라기 보다는 저는 일단 입학전에 컨택 하는사람을 본적이 없고 (컨택 한다 해도 1.5년 뒤에 들어갈간데 너무 이른것아닌지요?) 연구실 홈페이지에도, 또 저희 연구실 왔던 사람들을 봐도 랩로테 이전에 먼저 들어오는 사람을 본적이 없습니다. 저는 석사로 있었던것도 아니고 글쓴이분이랑 과가 달라서 과마다 다른지는 모르겠네요;;
2022.01.30
ETH는 석사는 따로 지도교수님 연구실에 출근하는 게 아니라 학부생처럼 수업 듣는 거로 아는데 따로 컨택할 필요가 없지 않나요?
대댓글 4개
2022.01.30
네.. 저도 이렇게 알고 잇어서 코스웍 위주로
2022.01.30
아마 학점은 충분할 것 같습니다
2022.01.30
그런가요..
eth같은경우 gre점수가 합격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나요?
아니면 lor이 큰 영향을 미칠까요?
어차피 여기서 글쓴이분만큼 기본스펙 좋은사람 없을거에요.
선배들통해서 잘 준비해보세요. 제가볼때도 다이렉트박사도아닌 석사면 충분히 대부분의 학교는 다 가실수있지 않을까싶네요.
2022.01.30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스위스쪽은 정보가 너무 적어서요 ㅠㅠ
다들 미국 박사만 가더라고요
2022.01.30
그게 한국학계 내에서 미국대학 출신들을 선호하는게 커서 그 아래사람들도 똑같이 그렇게 느끼는것같아요.
물론 미국이 전세계 잘하는사람들 모이는곳이긴 하지만, ETHZ EPFL은 전세계 어느대학이랑 비교해도 부족함 없는 좋은학교죠.
그래도 저희교수님은 EPFL로 포닥간다니까 무조건 미국 top5 혹은 대가랩으로 포닥가는게 유리하다고 말씀하시더라고요.. 전반적인 학계 분위기 때문에 어쩔수없는것같아요.
그래도 EPFL ETHZ 캠브리지대학, 옥스퍼드대학 imperial college London 델프공대, Politecnico di Milano 이런곳들 나와서 교수하시는분들도 꽤있는것같아요. 이번에 카이스트임용된 황보제민 교수도 ETHZ에서 학위받으신것으로아는데요.
2022.01.30
유럽쪽에서 일하고싶으시면 그래도 유럽쪽대학나오시는게 좋아보이긴해요. ㅎㅎ
저희분야 대가중 한명도 EPFL인데, MIT학사하고 EPFL에서 박사하고있는 학생도 있고.. 전세계적으로 볼때는 충분히 인정받는 명문대학일거에요. 한국에서 잡구하실거면 미국에서 학위받는걸 추천하지만, 나중에 외국에서 일하고싶으시면 유럽이든 미국이든 무관할것같네요.
이기적인 마키아벨리*
2022.01.30
4.2로도 차석 힘들걸요... 제가 4.19로 10여년 전에 k에서 3등 졸업했었습니다. 뭐 정확한 등수는 없었지만 졸업식날 3번째 상 받았으니 맞겠지요.
2022.01.30
기계과 아니신것같은데.. 기계과 교수님들이 학점을 드럽게 안주시는데, 저도 학부 10학번이였는데 제가알고있던 수/차석 학점이랑 조금 다른것같네요
이기적인 마키아벨리*
2022.01.30
제 위에 2등하신 형이 기계과셨고 같은 학교로 같이 박사 갔었습니다.
이기적인 마키아벨리*
2022.01.30
아 물론 수/차석이 학과 단위를 말하는거라면 전 잘 모릅니다.
청승맞은 프란츠 카프카*
2022.02.17
스위스에 일하고 싶어서 에테하를 갈 필요는 없습니다. 에테하 교수들도 보면 mit 등 미국대학 출신이 엄청 많아요.
2022.01.30
2022.01.30
대댓글 9개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대댓글 4개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대댓글 10개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