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대학원 진학

취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1.12.20

9

1562

ssh 주전공이 컴퓨터인 4학기끝낸 학부생입니다. (군필)
평소에 전혀 관심이 없던 분야에 입학을 하여 방황을 하다, ps및 ml쪽에 관심이 생겨 정기적으로 공부를했습니다.
수리과학에 관심이 많아 수시일반전형으로 입학을 하였고, 수치해석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졸업이후에도 학업에 전념할만한
공부에 대한 흥미가 있어, 대학원 진학을 위해 현재부터 해야할 사항에 대해 질문을 올립니다.
일단 저의 2학년까지의 활동및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점: 3.8/4.3
-국가우수 이공계 장학생(4년)
-성적우수(2회)
-sw maestro 12기 수료 (추시 개발 담당 및 어플 배포)
-mlops 및 aiops 인턴십 6개월 (2022 상반기 예정)
-ml 학회 임원 활동(1년) (그 외 ps나 개발관련 동아리활동 다수..)

사실 ml 말고 개발쪽에 더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지라, 3학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어떻게 학부생활을 보낼지 감이 안옵니다.
학점이 부족한듯 하여 학점을 메꿔야 할지 (자대는 가기 싫기 때문에), 아니면 ml관련 논문이나 대외활동등을 더 해야할지 (kaggle, programming competition등등의 대회는 준비중입니다.)
방향성만 대략적으로나마 잡아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1.12.20

남은 학점 가능한 잘 받으시고 연구실 인턴해서 논문 실적 쌓을 수 있으면 좋겠네요.

대댓글 3개

2021.12.20

입시도 입시지만 대학원이 본인한테 맞을지를 경험해보는 관점에서도 연구실 인턴은 필수입니다.

2021.12.20

추가로 SW 마에스트로, 각종 장학금, ml 학회 등등은 별로 도움은 안될겁니다.
다만 학부가 좋으셔서 학점, 연구경험만 챙기시면 국내 대학원은 크게 무리 없을 것 같네요.
취한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2.20

연구실 인턴이라... 감사합니다.

2021.12.20

ssh에 4.3이면 후배님이시군요.
위의 대부분은 개발자 우대용 스펙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2학년에 저 정도의 스펙을 가지고 있다는 건 대단하다고 생각하고, 기타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학점도 잘 관리되어 있으니 전혀 문제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번에 3.5x로 SPK CS 대학원 붙었습니다)
AI 쪽을 확실히 공부해보고 싶으시다면 학연생을 추천드립니다. 지금부터 착실하게 준비하시면 졸업할때쯤 SCI 한편 정도도 충분히 바라보실 수 있을 것 같네요. 자교에선 ㄱㅁㅇ 교수님 연구실이 학부생 친화적인 환경이니 컨택을 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꾸준히 SPK 교수님들께 컨택을 해서 학부인턴 자리를 얻는 것도 나쁘지 않고요.

대댓글 4개

취한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2.20

감사합니다 선배님
내년 하반기에 복학을하고 학부연구생 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좋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2021.12.21

실례지만 저도 같은 라인인데 3.5에 기타 스펙이 어떤지 알수있을까요? 저는 3.6인지라 찾아보니까 가능성이 낮다고들 얘기하더라구요

2021.12.21

시험이 이제 끝나서 이제 답변드리네요. 저는 학부연구생을 오래 해서 논문 1저자가 있는 상태입니다. 그 외에도 기업체 AI 경진대회 및 인턴은 충분히 써먹으실만하고요.
그리고 AI 모집이 아닌 CS 모집은 같은 랩이라도 컷이 약간 낮습니다.. ㅎㅎ 잘 알아보고 지원하셔요
튼튼한 그레이스 호퍼*

2021.12.21

첫번째 s인거면 이번에 새로 부임하신 교수님도 한번 살펴보길 바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