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있는 연구실이 있어 인턴 후에 해당 연구실로 진학까지도 생각해볼까 하는데 거기 있는 지인이 사람이 너무 많아 교수님께 잘 지도받기가 어렵다고 하더라구요. (교수님 1분, 포닥 선생님 1분, 대략 석사박사 학생들 합쳐서 25-30명 정도) 물론 교수님은 제가 느끼기에도 그렇고 연구실 내외적인 평가 상 정말 대가이시고 훌륭한 분이십니다.
물론 진리의 사바사 케바케이고 저부터 열심히 하는 것이 중요하겠으나 연구실에 사람이 많은게 대학원 생활에 큰 영향이 있을지요 ㅠㅠ
연구실의 적정 학생 수는 또 몇명 정도라고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자상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1.06.15
드라이랩의 경우 10명 넘으면 안좋다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6.15
그렇군요! 아무래도 신분 특정 우려가 있어 자세히 더 말씀드리긴 어려우나 드라이랩입니다 ㅜㅜ
2021.06.15
웻 랩도 10명 넘으면 당연히 꼼꼼하게 지도 못하지요.
그래서 논문 실적을 볼 때 단순히 일년에 논문 몇 편 나오는가 가 아니라 사람이 몇 명인데 논문 몇 편이 나오는가가 사실 더 중요합니다.
자기가 방목 당해도 잘 헤쳐나갈 능력이 되고 혼자서 하는걸 좋아한다면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세심한 지도를 받으면서 성장하고 싶다고 생각하면 크게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대댓글 1개
2021.06.15
능력은 모르겠지만 ㅠㅠ 혼자서 헤쳐나가면서 공부하는 상황에 익숙하긴 합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명석한 카를 마르크스*
2021.06.15
너무 많으면 내부 정치질이 시작되서 안좋습니다. 적정선은 7~8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6.15
감사합니다 다행히 밖에서 보기에는 랩 구성원 분들 다 좋아보이시긴 했는데 ㅠㅠ
2021.06.15
방목형에 잘맞고 활발한 디스커션에 잘 적응한다면 20명정도도 좋더라구요. 10명 이하 랩실에 있어봤는데 너무 사생활이 없었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6.15
그런 측면도 있군요... 고려하겠습니다
방목형 자체가 싫은 건 아닌데 제 능력부족으로 교수님의 적절한 지도기 없으면 잘 성장하지 못하진 않을지 그건 걱정입니다
물론 일단 나중에 지원하게 된다면 붙고 생각해야겠지만요
시끄러운 버트런드 러셀*
2021.06.15
신생랩으로 첫학기 3명부터 시작해서, 박사졸업즘 되니 17~19명정도 숫자 유지되는 랩입니다. (교수님 4년차부터 15명이상유지)
신생랩이라는 특수성을 배재하더라도, 교수마다 다르겠지만 적은인원수가 교수님한테 직접 지도받기에는 용이합니다. 하지만 어차피 숫자가 많아지면 프로젝트별로 사람이 갈리게되고, 그 안에서 사수/부사수 개념이 잘되있으면 석사입장에서는 배우는데 큰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여기에 랩바랩이 들어가져서, 교수의 지도의지, 연구실분위기 등 다양한 환경이 좌우되지만, 숫자가 많다고 무조건 지도교수의 지도를 못받는건 아닙니다. 하다못해 본인이 스스로 위클리 연구결과들을 교수님께 메일로 보내면 이뻐서라도 잘 지도는 해줍니다. 본인 하기 나름인것도 잇죠.
대댓글 1개
2021.06.15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신분 노출 우려때문에 자세히 말씀드리긴 어려우나 학부 전공과 약간 다른 쪽인 연구실이라 나중에 들어가게 되면 초반부에는 납짝 엎드려서 배우기에도 벅차지 않을까 걱정이긴 하네요 ㅠㅠ
2021.06.15
50명인 랩도 있습니다. 여긴 회사 운영을 해가지고...바쁘긴 하더라구요
대댓글 1개
2021.06.15
헛... 거의 연구실계의 머기업이네요 ㅋㅋㅋㅋㅋ 힘내십시오 ㅠㅠ
2021.06.15
장점 : 체계가 잡혀있어 뭘 하던 간에 도와줄 사람이 있음. 인프라를 본인이 이용할 수 있다면 '오히려 좋아'임. 행정직원이 있는 경우 잡무가 많이 줄어들어 연구 외에 소비하는 시간이 적어짐. 석사의 경우 포닥/박사과정의 지도를 더 많이 받는데, 본인의 사교성이 좋다면 더 많은 걸 얻어갈 수 있음.
단점 : 석사의 경우 지도교수보다는 포닥/박사과정의 지도를 더 많이 받을 가능성이 큼. 지도교수 만나기 힘듦 (반쯤 신). 내가 뭘 하는지 남들이 잘 모름(그러다 보니 게을러 질 수 있음). 파벌싸움 있을 수 있지만, 소위 말하는 높은 급의 대학원에서는 그런게 적은편이긴 함(랩바랩).
p.s) 회사를 운영하는 대형랩은 말리고싶다.
대댓글 3개
2021.06.15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동일랩에서 박사를 하면 이야기가 달라질까요??
IF : 5
2021.06.15
교수에게 지도받는게 꼭 포닥이나 박사한테 지도받는 것보다 우월한건 아니예요. 물론 약간 최종단계로 지나가야되는 스텝이긴 하지만... 큰 랩이면 교수의 세세한 지도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특히 석사생에게 필요한건 그런 세세한 지도죠. 전 석사라면 꼭 나쁘지만은 않다고 생각해요. 박사면 약간 반반?
2021.06.15
박사라면 교수님 지도를 더 많이 필요로 하는데, 교수님 시간을 n등분해서 받는다고 생각한다면 그 부분에선 분명히 큰 단점이죠. 하지만 연구는 교수님과 학생 둘이서만 하는게 아닙니다. 주변의 여러 인프라나 사람들과 함께 해야되는데, 이 부분에서는 장점이 됩니다. 대형랩이면 인기랩일 확률이 높은데, 교수님께서 학계에서 저명하시다면 협업도 수월하게 될 가능성이 높구요.
장단점이 확실하니 본인이 어떤 환경에서 더 잘 할 수 있는지 생각 해 보는게 좋습니다.
2021.06.15
대댓글 1개
2021.06.15
2021.06.15
대댓글 1개
2021.06.15
2021.06.15
대댓글 1개
2021.06.15
2021.06.15
대댓글 1개
2021.06.15
2021.06.15
대댓글 1개
2021.06.15
2021.06.15
대댓글 1개
2021.06.15
2021.06.15
대댓글 3개
2021.06.15
2021.06.15
2021.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