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들 나이는 동년배이신데 DGU교수님이 citations 두배, h-index 두배입니다.
(두분 다 연구는 되게 잘하시는 것 같습니다.)
평소에 네임밸류는 전혀 중요치 않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K버리고 DGU 가는 판단 내리기가 너무 힘듭니다. 네임밸류 안보면 DGU 가는게 저는 당연히 맞다고 보는데, 당장 친구들도 다 그건 좀 아닌거같다고 하니까 판단이 안서네요... 부모님이나 문과친구들은 처음들어본다고 그게 주변사람들 인식이 그런건데... 하니까 미치겠습니다
참고로 K는 석박이고, DGU는 석사입니다. DGU 석사 마치고 K 가고싶었던 랩 박사로 다시 써보고싶다는 생각도 드는데, 지금 석박 버리고 나중에 다시 쓰면 디메리트가 있을까봐 또 걱정됩니다. 디메리트가 있다면 DGU에서 박사까지할거같습니다.
1) 이거 DGU 가는게 맞는 판단일까요?
2) K 안갔다가 다시 K박사 지원 가능한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Karl Ernst von Baer*
2020.10.16
저라면 kp에서 k가 원하는 연구실이 아니라 p를 간다면 k가 그렇게 아깝다는 생각이 안 들 것 같은데 dgu라면 아깝다는 생각 정말 많이 들 것 같아요. 하지만 간판도 간판이지만 글쓴이분도 저렇게 말하는거면 dgu도 좋은 랩실이라는 거니깐 k를 버리고 연구분야를 까라가는게 맞는것 같네요.
Karl Ernst von Baer*
2020.10.16
ㄴ까라 x 따라 o
2020.10.16
K가 고려대가 아니라 카이인가요? 그럼 k 버리는 건 너무 이상해보이는데..
2020.10.16
동년배에 h인덱스 두 배 차이면 너무 큰데요...? 분야가 다르면 한 분만 논문 잘나오는 분야인게 아닌지 알아보시는게.. 그런게 아니고 혹시 gdu 네임드 연구실이면 (ex. 조재필) gdu가 추천드립니다.
Henryk Sienkiewicz*
2020.10.16
dgu 갔다가 미국 박사 추천요. 굳이......
George Andrew Olah*
2020.10.16
윗분들 의견 감사합니다!
Galileo) 네임드까지는 아닌거같습니다. 언급하신분 봤는데 어마무시하시네요. 확실히 그정도는 아닙니다. 다만 동년배에 두배차이는 맞고 논문은 DGU교수님이 더 내기 어려운쪽 같습니다.
Upton Sinclair*
2020.10.16
P에는 그 분야가 없나요?
George Andrew Olah*
2020.10.16
P는 많이 안알아봤네요... S컨택하느라 바빠서 P는 지원을 못했네요 ㅠㅠ
2020.10.16
글씨요?
................%%%%%%
2020.10.16
자연대 같으면 두랩 석사 박사들 아웃풋 보고 가셰요
공대도 그러는 경우가 더 많아요
2020.10.16
단순 H index나 total citation 비교는 공저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지도교수 선택에 큰 의미 없음. 교신저자 논문을 봐야함.
연구분야등이아니라 저 수치만 보고 랩선택은 말도안되는 얘기임.
George Andrew Olah*
2020.10.16
Fredrich Schlegel) 교신저자 논문은 뭘 보면 되나요? 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인용수 높고 좋은 저널에 들어가있는게 중요한거란 말씀이신가요?
Paul Langevin*
2020.10.16
ㄴ 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그 교수가 직접 컨트롤한 논문이니, 교수의 논문지도력을 판단하기에 좋거든요
실제로 나중에 이력서쓸때 쳐주는 논문은 주저자랑 교신저자로 쓴 논문들이에요. 공저자 논문들은 그냥 양채우기용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6
202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