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재료공학과는 반드시 윗라인 대학으로...가라

John Milton*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08.25

17

11854

ㅅㅂ 이건 내 경험인데 난 인서울 중하위권 대학 중 하나 다니다 서포카로 튀는 놈이다.

내가 여기 학교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으로 있을 때 일이다.

학부연구생 시절 박사한테 SEM 원리를 물어봤는데 답변 못하더라... 근데 그 사람 실적은 엄청 좋았음. 근데 학문적으로는 아는게 ㅈ도 없더라. 세미나 들어와도 학부생이 질문했는데 답 못하는게 수두룩...

나중에 얘기들어보니까 재료공학 특성상 연구가 노가다가 되는 경우가 엄청 많은데 진심 공장이라 생각하면 될정도로 연구실에서 노가다 엄청 뛰더라... 근데 본인이 쓰는 논문 지식도 잘 모르면서 좋은 곳에 논문냄... 교수빨로... 데이터 가져오면 교수가 캐리해주는 케이스

코스웍은 거의 개판수준으로 진행... 어떤 학기는 전부 세미나로 수업 ㅋㅋ 


이런 현장을 목격하니까 윗대학으로 너무 튀고 싶더라..

특히 재료공학과는 이런 경우 많으니 제발 나중에 물박사소리 안듣고싶으면, 지도교수빨 소리 안듣고 싶으면 좋은 곳으로 튀어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0.08.25

나도 재룐데 교수 캐리 논문 잘 받아묵고 있다 물박사? 지도교수빨? ㅋㅋ 더 잣같은데 걸려서 캐리고 나발이고 논문하나 없이 졸업하는 거보단 나을듯 기만이긴하지만?

SEM원리 좀 몰라도 걍 마 대충 찍음되지 뭘 재료논문읽기도 바쁜데 분석장비원리까지 캐노
Johannes Brahms*

2020.08.25

ㄴ화가난지잡대
Allvar Gullstrand*

2020.08.25

저도 논문잘찍어내는 사람보고 단순히 교수빨이라고만 말하는건 기만인것 같은데.. 논문잘쓰는것도 스킬이라서,,
그래도 sem 원리는 아예장비안쓰는 기계과인 나도 아는 상식이라고 생각되긴하는데... 컨포컬 현미경이나.. 학부때 배우지않나
John Milton*

2020.08.25

걍 코스웍을 아예 안한다는거에 소름돋았음. 학부연구생들한테 공부 다 쓸모없고 일이나 배우라고 하고... 리얼 현타오지게 오더라구 ㅋㅋ 근데 결국 나중에 포닥가서 뽀록나긴 하드라...
Robert Frost*

2020.08.25

근데 코스웍 너무 몰두하지 말라는건 미국 탑 공대 교수들도 Quora에 많이 글 남김. 재료공학 아니라서 잘 모르겠지만 SEM이 자기 분야가 아닌가보지. 박사 과정 중에는 자기 분야 아니면 잘 모름. 그리고 포닥때 뽀록났다고 했는데, 사실상 skp 포함해서 학교 관계 없이 대부분의 박사들이 포닥 때 진짜 실력 뽀록남.
John Milton*

2020.08.25

너무 몰두하지말아야되는겅 공감이지만 코스웍 전부가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되는 형태가 소름돋았을 뿐임... 교수들 수업 아예 안하고 수업 시간에 랩미팅하는 곳도 많드라구...
John Milton*

2020.08.25

Sem은 글구 걍 학부 3학년때 배우는 기본 장비라 모르면 소름 수준이야 재료공학에선

2020.08.25

응 지방에 있어도 너보단 논문 많이 써서 큰 돈을 벌거야

2020.08.25

타대출신인갑지 배우는거 사용하는 장비 다 다른데

내가 말하고 싶은 핵심은 지도교수빨이 절대 무시못함. 논문펑펑찍어내고 퍼지지만 않으면 돼

자신이 물박사임을 인지한다면 벗어나면 됨. 굳이 강한 환경에서 버티겠다고 확실히 좋은 환경있는데 이상한데가서 뒷바라지하다가 정신병걸리지말고.

남은 남이고 나는 나여야지
자신도 객관화하기 까다로운 판국에 남 분석할 시간이 있나? 그 단편적인 것을 보고 이 사람보다 내가 월등하며 여기 환경은 반드시 윗라인 보다 쓰레기임을 아는가? 라는 거다.

서울대고 보면 졸업요건 겨우 채워나가는 사람들. 교수가 캐리안해줘서 혼자개고생해서 번듯이 성장해서 나가겠냐? 아님 대학원까진 들어왔지만 졸업은 겨우해서 나가는 거겠냐?

모른다는 걸 인지하고 배우는 자세가 중요한거지. 그 박사가 SEM에 대한 답변을 못하였고 그거에 대해서 공부해서 이해했다면 이미 한단계 진화한 것이고 보완된거겠지. 그래서 졸업해서 그 사람뭐하나 찾아봤더니 번듯하게 교수하고 있고 그럼 뭐 또 자기 생각대로 교수캐리해서 번 실적으로 운좋게 교수하고 있네 넘겨짚기를 하고 살거냐.

더 좋은 곳을 찾는 건 맞지만 교수캐리할 정도 SEM 원리 답변 못함 세미나 형식 코스웍으로 환경 안 좋다 운운할 정돈 아님. 막말로 그 사람이 SEM원리를 완벽하게 이해를 못해서 입을 안 여는 걸 수도 있고
Hans Spemann*

2020.08.25

나였으면 타대가기전에 어떻게 논문 그렇게 잘써서 내는지 직접 물어보고 노하우같은거 잔뜩 알아갔을텐데 글쓴이는 sem 원리 술술 말못한다고 꼬투리잡고 으스대고 앉아있네. 뭔 직업이던간에 건방지게 살면 어차피 롱런 못한다.
Johannes Brahms*

2020.08.25

구글링 한번만해도 나오는 자료를 후배가 물어봤는데 몰랐으면 스스로 멍청함을 부끄러워하고 찾아볼생각을 해야지 지잡새끼들 당당하네 여기 지잡이 절반인듯
John Milton*

2020.08.25

아니 박사 4년차가 SEM 원리를 모른다는거에 소름 돋았음... 위에 분들도 그런 경우 허다한가보네 화이팅 하세요

2020.08.25

박사 4년차에 실적도 좋으면 아무리 코스웍 전공지식과 논문쓰는건 다르다지만 대답 못한게 "몰라서" 라기보다는 "설명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느라" 라고 생각하는게 맞지 않나요...?

2020.08.25

ㅋㅋ 우리교수님도 나한테 시키는 거 중에 작동원리나 체계 몰라서 왜 분석 못했는 지 안 나오는지 태반이다. 설명 좀 상세히 해달라고 매번 그런다.

그리고 교수님이 되묻지 그럼 ㅇㅇ은 ㅁㅁ이라서 그런거면 이것을 다른 재료와 수치를 비교해서 확실히 좋다고 할 수 있는지 물어보면 바로 대답못하고 한 멍때리고 있다가 하루죙일 생각해서 답변을 정리하곤한다. 질문의 예리함과 내가 다 안다고 생각했지만 100%다알지 못했음을 깨닫고는 침묵을 하고 더 발전을 하게 되지.

내가 완전히 이해했다고 자부하는 거 후배한테 주절주절하잖아? 그럼 자기 기초배우고 외우고 할거많아 바빠죽는데 tmi라고 기피하는 선배가 되곤한다.
John Milton*

2020.08.25

음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귀찮아서 대답안한건가

IF : 5

2020.08.25

윗라인 코스웍은 빵빵할거라고 생각하는건가...

2023.08.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EM 원리 걍 위키만 찾아도 나오고 그 학년이면 당연히 알아야 하는걸 질문쳐하고있으니 얼탱이가 없던거같은데 ;;
자기를 븅신호구 자기대신 위키 찾아주는 사람으로 아나 생각들엇을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