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이 없는 논문을 학회에 투고해도 될까요?

2025.06.10

24

2561

산업체에서 재직중인 직장인입니다

제가 진짜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있는데
제가 연구소에 있는 것도 아니고 대학원에 재학중인 것도 아니라서
이 아이디어가 말이 되는지 안 되는지 확인해보고 싶습니다

미친 척하고 학회에 논문을 내도 될런지요?
'이런 것도 논문이라고 썼냐?'는 혹평듣고 웃음거리가 될까요?

학부 때 배운 역학공식으로 계산해보니 가능성이 영 없는 건 아니더군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2025.06.10

공학적 관점에서는 실험, 시뮬레이션이 없으면 리젝/데스크 리젝 받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2025.06.10

논문 내는건 자유, 그런데 그런 논문들 때문에 리뷰 퀄러티가 떨어지고 연구하는 분들이 힘들어집니다…

대댓글 2개

2025.06.10

리뷰가 뭔가요?
학회에 대한 펑판인가요?

2025.06.10

논문을 내면 그 논문을 실어줄지 말지 결정하는 과정을 리뷰라고 부릅니다.

2025.06.10

그런걸 논문이라고 부르지 않습니닼

2025.06.10

내고 싶으면 내는 거죠. 이론 논문은 수식적 증명만으로도 가능한 케이스들이 있습니다.

2025.06.11

아카이브 ㄱㄱ

2025.06.11

내는 건 자유죠
웃음꺼리도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기가막히게 좋은 아이디어는 정말 많아요

2025.06.11

고민하시는걸 보니 충분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정말로 이론으로 충분한 분야, 아이디어라면 고민없이 투고했겠죠.

2025.06.11

논문에도 종류가 많습니다. Article, letter, perspective, review article, ... 하고싶으신 건 그나마 perspective에 가까운거같네요

2025.06.11

numerical study라도 해보세요..

2025.06.11

학부때 배운 계산으로 계산이 된다면 그걸 파이썬이나 matlab으로 짜서 시뮬레이션 직접 하시면 되는거 아닌가요?

대댓글 2개

2025.06.12

좋은 생각인듯. 특히 코딩 잘 몰라도 아이디어만 잘 집어넣으면 그래프까지 만들어줄텐데

2025.06.12

*지피티에 넣으면

2025.06.11

시뮬레이션 가상으로 해볼 수 없나요? 안되면 아카이브 올리고 그다음에 이론 중심 한국저널에 letter 로 내보세요

2025.06.11

Sure why not?

2025.06.11

이론물리 하는분들은 실험없이 이론으로 논문내시고, 인용수도 많습니다. 아인슈타인도 특허청직원일때 논문냈는데, 안될게 뭐있겠습니까

2025.06.11

한전 써 보세요.그럼 아실겁니다.

2025.06.13

일단 학회에서 구두발표 정도는 해보시는걸 권장합니다. 그 이후에 타 연구자들과 의견을 공유해보면, 본인의 아이디어가 좋은 논문의 초석이 될지, 아니면 낭설에 불과할지 확인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물리학회에 가면 아이디어만 늘어뜨리는 식의 발표도 많아요.

대댓글 1개

2025.06.13

아, 많지는 않습니다.
뭐 첨언하자면 본인의 의견을 공유할수 있는 자리가 있다면 논문을 쓰기전에 학회나 워크샵에서 "구두로" 먼저 토론해보는게 굉장히 좋은 방법입니다.

2025.06.13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한다는 것은 연구자가 세운 가설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나 증거를 제시하기 위한 행위입니다. 이는 곧 그 연구자가 세운 가설에 대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논문에 제시된 방법을 다른 연구자가 수행하더라도 100% 똑같은 결과가 아니더라도 비슷한 결과가 나와서 비슷한 해석이 가능해야 합니다. 만약에 어떠한 아이디어가 말이 되는지 안 되는지는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될텐데요? 실험과 시뮬레이션이 불가능하다면, 스스로 한 번 고민해보세요. 어떠한 근거로 이러한 아이디어를 생각했는지. 그리고 그 근거는 어떠한 이론, 어떠한 실험적 유증이 있는지. 그 아이디어에 대해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설명이 가능한지.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추후 진행했을 때, 어느 정도의 신빙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한 근거도 제시할 수 있는지.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내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어떠한 아이디어를 썼고, 이 아이디어는 어떠한 근거로 나오게 되었고, 이 아이디어를 증명하기 위해 어떠한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객관적인 증거를 얻었고, 그 결과 이 아이디어에 대한 신빙성은 얼마나 된다는 것입니다.

2025.06.14

논문 절차에 대한 감이 아예없으신 듯 보입니다.

논문 작성 -> 저널 선택후 투고 -> 에디터가 1차 판단 -> 리뷰어가 내용 평가 -> 평가반영본 재투고 -> 통과시 출판사에서 게재.(대체로, 이러함)

여기서 에디터가 너무 터무니없으면 리뷰어에게 돌리지 않고 리젝줍니다. 에디터 통과 후가 본격적인 심사인데, 관련전문가들이 보고 평가합니다.

논문을 쓰는 것은 자유이나, 출판사에서 게재해 줄지 의문인데, 출판사에서 게재해 주지 않으면 출판 자체가 안되니, 일기장에 쓴 것이랑 다를 바가 없습니다.

2025.06.15

헛힘 빼지 않기위해 목표 저널 에디터에게 의도를 연락해보세요. 안된다면 안된다고 얘기해줄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6.16

아이디어가 새어나가면 어떡해요?
특허 먼저 내고 논문내면 될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