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공1저자 관련

2025.04.23

7

565

공동1자자와 단독 1저자에 대해 연구자분들께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가령 AFM 단독 1저자 vs AM 공동1저자 (공1저자 3-4명중 첫번째)
넷컴 단독 1저자 va 네이쳐 자매지 공동 1저자 (마찬가지로 세네명의 1저자 중 첫번째)

여러분의 선택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4.23

닥후

2025.04.23

닥후2

2025.04.23

닥후입니다. 무엇이던 1저자인게 중요합니다

2025.04.24

넷컴과 네이처 자매지는 진짜 한끝차이인 경우가 많습니다. 에디터나 리뷰어 운으로 결정되는 수준도 많아요. (둘다 게재해봤습니다)
단독주저자가 훨씬 임팩트가 큽니다.
오히려 벨런스맞추랴면 단독주저자 논문의 퀄리티를 더 낮추셔야 할겁니다. 임용시장 서류평가에서도 공동주저자는 n빵이 됩니다. 쉽게말해서 if30 논문의 3공동주저자는 if10 논문의 단독주저자와 비슷하다는 거죠. 물론 이렇게 단순하게 계산은 안되지만 대충 그렇다고 보시면됩니다

2025.04.24

닥후. 단 점수는 다른 자잘한 걸로 채우기…

2025.04.24

저도 후자요. 근데 논문들이 다 공1이면서 맨 앞 것이 거의 없으면 안되고 섞여있으면 괜찮아요

2025.04.25

공동 1저자 수가 많다고 해서 연구능력이 떨어진다볼 수 없음. 여러 공동 저자 중 맨 앞 저자면 오히려 높게볼수도 실적이외의 것들까지하여.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