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안녕하세요. 고등학생인데 질문 있습니다

2025.03.28

8

1657

헛소리인지 아닌지 냉정하게 평가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기존의 표적 항암 치료는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리간더를 통해 약물을 종양세포로 전달하거나,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비교적 높은 표적 특이성을 기반으로 하여 효과적인 치료 전략으로 자리잡아 왔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면역 회피, 약물 침투의 한계, 내성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해 효과가 제한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종양 세포 표면에 발현된 특정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면서, 동시에 외부 항원을 융합하여 해당 세포를 면역계가 비자기(foreign)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즉, 단백질 설계를 통해 바인더와 항원 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분자를 제작함으로써, 종양 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저는 이에 대한 탐색적 시도로, AlphaFold와 RFdiffusion 기반의 구조 설계 도구를 사용하여 신경내분비암에서 과발현되는 DLL3 수용체에 결합하는 소형 단백질 바인더를 설계하고, 여기에 **HPV16 E7 유래의 면역원성 epitope(예: RAHYNIVTF)**를 GSGSG linker를 통해 융합한 단백질을 구조적으로 모델링해 보았습니다. 해당 구조는 in silico 상에서 안정적인 접힘과 epitope의 표면 노출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지만, 생체 내 발현, 안정성, 면역 활성화 가능성 등은 전혀 검증된 바 없으며, 아직은 개념적인 수준의 시도에 불과합니다.

혹시 이와 같은 접근이 이론적으로 의미가 있을지, 혹은 구조적·면역학적 한계로 인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향일지에 대해 전문가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게시판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이라면 삭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3.28

바이오쪽 내용이라면 브릭에 물어보는게 나을지도..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3.29

잘못된건 없는데 글 타이틀에 고등학생인데는 필요없는 말 같아요 흑백요리사의 안성재가 말하는 식용꽃같은 느낌이랄까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3.29

외부 항원을 주입, 융합시키면 종양 세포에 상호작용하기도 전에 바로 면역 작용이 일어나지 않을까요?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