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바쁘고 잘나가는 교수일수록 메일 더 잘보는거같음..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2.23

16

7018

그냥 내 경험통계학이긴한데 그럼

최근에해봤던거중에 S대교수랑 칼텍교수한테 같은내용으로 메일보내봤는데(물리분야관련) 칼텍교수는 6시간만에 칼답해줫는데 S대교수는 한달째 안읽음 (걍지운듯)

이건 단적인예고 일반적으로도 보면 누가봐도 바쁭교수들은 메일답장 잘하고 널널해보이는 교수들이 메일을 잘 안읽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다정한 박경리*

2025.02.23

알수없음. 그건.

대댓글 5개

2025.02.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내 경험통계학이라 말햇잖음.
다정한 박경리*

2025.02.23

경험쓰는건 자윤데 통계라고 할만큼 모수가모인것도아니고 모수를 무시할만큼 좋은 모델인것같지도 않아서...

2025.02.24

인성따라 다름

2025.02.24

본문은 아무말이나 던지는데 대댓글은 극한으로 논리적이네

2025.03.02

내 경험적 통계상 이딴글 쓰는 애들중에 학위과정 제대로 하는 애 없음

2025.02.24

바쁠수록 중요한 일만 하고 나머지는 정리하는듯

2025.02.24

일반적으로 바쁜 사람일수록 효율적으로 일처리 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그런거 같아요. 널널한 사람일수록 일처리도 느리고 또 느긋한 마음에 미루기도 하고 그러는거 같고요

2025.02.25

일면식도 전혀없는 세계적 대가에게 메카니즘 자문편지에 바로 상세한 답멜이 와 감동했던 기억이.

2025.02.28

성향차이인듯
교수들 메일보면 과장해서 카톡마낭 오던대 ㅋㅋㅋ..

2025.03.01

나도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객관적으로 더 능력있는 교수가 더 메일 자주 확인하고 답도 바로바로 해주더라

2025.03.02

정반대일 수 있어요.

이메일이 너무 많으면, 모두 읽지 않아요. 선별적으로만 읽어요.

그리고 카톡이나 왓츠업으로 업무처리 하지요. 이메일을 쓸 여유가 없어요.

2025.03.02

저도 경험해 봤어요. 하루 일과의 시작을 메일 읽기로 하신분이 제 석-박사 때 교수님이셨어요. 짧더라도 메일 회신은 미루지 않으셨어요. 주변의 지인들 말씀들어보면, 어느 책임교수님은 카톡과 메세지 등 '메일 확인부탁드립니다'을 알려드려도 행여나 언제 보냈냐는 둥 말씀도한다곤 하죠. 비교는 되겠지만, 그래도 성향(?) 차이인 듯요. 정말 하소연 들어보면 읽기 싫은 메일도 있나? 생각이 드네요. 적어도 읽었으면 질문적 내용이라면 적어도 적어도 회신을 주는 건 교수로서 예의인 것 같아요. 꼭 교수가 아니더라도 몇일이 걸리더라도 회신을 주는 것 예의인 것 같다고 생각듭니다.

2025.03.04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긴 한 것 같아요.

2025.03.04

그건 교수님 성향에 따라 다를 뿐임
바쁜 성향의 교수도 메일 답장 잘 안 하는 경우 많음

2025.03.04

그냥 대부분 일반기업이랑 똑같은거같음 바쁘고 잘나가는 사람일수록 시간의 소중함을 더 잘깨달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