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원래 랩 들어오고 인턴 때 공부할 것과 배울 게 많아 자존감 많이 내려가는 게 맞나요?

2025.02.13

13

824

논문 하나 받으면 깊게 깊게 파야 하는데
제가 그렇게 머리가 좋은 것도 아닌지라 막막하고
당장 다음 주 수요일 랩미팅 때 논문 발표에, 토요일 새벽부터 일요일 저녁까지는 랩 출장 나가서 다녀와야 하고
오늘 배운 기기 두 개는 또 월요일에 잘 배웠는지 테스트 하기로 했슴다...

선배가 알려준 거 까먹거나 빠뜨리면 혼나서 난 왜이러지 또 자책하고

저랑 안 맞아서 제가 많이 유별나게 힘들어하는 건지 아님 원래 초반에 이런 건지

다들 인턴 생활, 랩 초반 생활할 때 저처럼 그러셨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2.13

저도 그랬습니다... 선배한테 혼나고 힘들어서 집가는길에 운적도 있어요
근데 그 기간만 지나면 정말 괜찮아집니다 처음에는 진짜 덤벙거려서 별거 아닌일에도 많이 혼났었는데 지금은 동기중에서 제가 가장 잘하고 랩장도 맡아서 이끌고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2.13

해야 될 건 많은데 시간은 없고, 기대를 충족하지 못해 또 혼나고의 반복,,, 요새 너무 힘드네요
그래도 정말 언젠간 익숙해지겠지 괜찮아지겠지 하면서 버티고 있습니다
2년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으니 안 맞아도 잘 버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요

2025.02.14

초반에는 항상 바쁜 것 같아요.

그리고 제 기준에선 석사 2년은 짧습니다.

처음 한 학기는 논문 읽는 법, 실험 장치와 분석 장비 오퍼레이팅 하는 법, 데이터 Plot 하는 법 등...
다 배웠다 싶으면 1년 지나가고 3학기차부터 실험 기계가 되어서 논문 작성 들어가고 졸업 논문 쓰고...
운 좋았으면 3학기 중에 첫 논문 Submission 할 것이고... 3학기 끝나면 취업 준비해야하고...

정형적이진 않지만 대강의 시간 흐름을 따져보면 처음에 매우 바쁜게 맞고, 그래야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2.16

에고 그렇군요 학부생 조교까지 할 예정이라 첫 학기는 진짜 엄청 빠르게 지나갈 것 같아요
그래도 원래 다들 이렇다 하니 다행인 것 같습니다

2025.02.14

처음이 어렵습니다. (바로 윗분 이야기가 딱 맞아요).

대댓글 1개

2025.02.16

그래도 적응하면 나아질 테니 다행이네요

2025.02.14

인턴 초반에는 다들 힘들어요.. 적응하는데 시간이 좀 필요할 거에요

대댓글 1개

2025.02.16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적응하는 데 어느 정도 걸리셨나요?

2025.02.14

인턴은 그렇지요.
정식 입학 후에도 계속 그러면 문제가 있는 랩이거나 본인이 안 맞는 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2.16

고작 인턴 두 달인데 금방 적응할 수 있을지 ㅜㅜ 걱정이네요 그래도 한 학기는 버티자는 마인드로 다니려고 합니다

2025.02.15

글쓴이님 글 보니 앞으로의 미래가 걱정이 되네요. 저도 컨택하고 싶은 연구실 논문 읽고 있는데 혹시 논문 발표할 때 어떤 식으로 자료 만드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대댓글 1개

2025.02.16

전 피피티로 만들고 교수님이나 랩마다 선호하는 방향이 달라서 확답을 드리기는 어렵네유

2025.02.16

다 그렇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