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같으면 결혼합니다
졸업한지 7년 된 학부생이 박사가 되어 교수님께 연락드리면
25 - 이건 신고감 맞음
고용노동부에 본인 회사 일 시키는 교수님 신고 가능한가요?
20 - 실적 말고 정말 학위 자체만 노리고, 학교 네이밍 꽤나 낮춰서 들어가기전에 4년 졸업 교수님이랑 약속하고 들어가면, 진짜 열심히 하면 못할 것도 없을 것 같네요
좀 불쾌한 질문일 수 있습니다
11 - CVPR oral 경험 한 번으로 교수 임용 가능한 수준인가요?
NCS 본지 한편으로는 교수 임용 가능할텐데, 실제로 그런 사례도 봤고
나는 진지하게 CVPR 오랄은 NCS 본지급 난이도라고 생각함.
16 - 솔직히 데이터는 100개중에 1개 잘나온거 체리피킹할 수도 있고 잘나오게 측정하기+플랏하기로 조작은 아니지만 얼마든지 포장가능하고 그렇게 논문내는사람들 수두룩함. 논문 읽을때 그걸 캐치하고 비판적으로 읽을 줄 아는게 실력이고, 데이터는 좀 비판적으로 보되 그 논문의 아이디어를 눈여겨 봐야지.
요즘 상위 저널들 데이터 의문이 많이 든다
29 - 윗분말대로 논문들을 볼때 좋은건 좋게 보고, 또 안좋은건 안좋게 보는 법을 기르는게 좋습니다.
저도 그런시기를 겪었지만, 오히려 적당히 알고 논문한두편써보고나서 우쭐해질때가 가장 위험할수도있습니다. 저도 딱 글쓴이분같은 시기에 학회가서도 다 아는것처럼 굴다가 지도교수님한테 여러가지 조언을 받기도 했고요. 지금 자리에 와보니 제가 그때 얼마나 부족했었는지도 알게됐습니다.
재현성이 어렵다고 그 논문의 가치가 떨어지는건 아니기도 하고요. 재현성이 안좋으면 왜 안좋을지, 혹은 그 샘플은 왜 좋은성능이 나왔을지, 그럼 어떻게 할지 등등을 고민하는게 좋습니다. 또한 많은경우 레시피의 가장 핵심인 부분을 고의적으로 숨기기도 합니다.
요즘 상위 저널들 데이터 의문이 많이 든다
9 - 등두드리는거, 악수도 포옹처럼 상황에 따라 기분 나쁜 스킨쉽이 될수도 있죠.
본인이 기분이 좋지 않았는데 좋게 포장 할 수도 없죠.
어차피 그냥 여러 학생중 1명이니, 이메일 하나 파서 교수님한테 직접적으로 본인의 경험과 의사를 전달하고 사과를 받는게 가장 좋은 시나리오라고 생각하내요.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1 - 그냥 넘어가도 될일같은데 굳이싶음.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2 - 외국살다온 교수인가보지;; 여긴 무슨 씹선비들만 있음?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1 - 동성이면 넘어가도 될듯하나 이성이라면 교수가 문제 있는거지. 원래 문제 많은 애들 집단이긴 한데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8 - 에휴 졸업식 끝나고 한번했다고 ㅋㅋ 사회생활 참~ 잘할듯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2 - 사회생활은 저걸 그냥 넘긴다고 잘하는게 아냐
터진 입이라고 진짜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8 - 내 학생 졸업하는 졸업식때 포옹 한번 하는게 그렇게 문제임????
저걸 불쾌하다고 받아들이는것도 난 이해를 못하겠다 ㅋㅋ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8
통계학과 잘 어울리든 공대 공학은 어떤게 있을까요?
2025.02.11

2021년에 중경외시 통계학 학사-자대 통계학 석사를 마치고 여론조사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입니다(여론조사 회사에서 일하게 된 계기는 취업이 빨리 되고, 정치 이슈에 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
연구 분야는 남들처럼 데이터 분석 입니다
뭐 솔직히 먹고 사는 것에 지장은 없다만 통계학 석사를 밟으면서
내가 특별한 재능이 없거나, 특정 분야의 특별한 성과를 내는게 아니라면 수학과 물리학을 최소 해당학과 전공기초 분야 수준으로는 알아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학부 때부터 기술결정론에 심취한 사람이라 언젠가 반드시 공학을 제대로 배워보자, 특히 이왕 배울거면 미국이나 해외로 나가서 제대로 배워보고 경험을 쌓아보자(그린카드 이런 것을 못 받더라도) 다짐해서
한번 공학 박사 과정을 제대로 밟아보고자 합니다
물론 통계학에서 가장 편하게 갈 수 있는 공학은 산업공학, 그중에서 최적화 부분이다만, 뭔가 너무 쉬운 길만 고르는게 아닌 거 싶어서
여기 계신 이공계 전문가 분들계 고견을 구합니다(최적화가 싫다는게 아닙니다, 다만 최적화만 파면 뭔가 새로운 융합의 시대에 적응하는게 아닌가 싶어서...)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32 48 7448 -
25 18 3975
드러내고 학벌주의자인 교수들도 있긴함 김GPT 38 30 10679
연구에 정내미가 다 떨어졌는데 김GPT 13 8 6227
통계, 데이터 사이언스 석사 김GPT 3 4 9521
문과 학부 나와서 공학 박사 중인데 김GPT 2 6 7547
통계학과 이학박사인가요?? 김GPT 0 3 1479
몇년 후 통계학 박사 진학 관련 고민 김GPT 0 9 4666
지거국 박사 김GPT 2 19 2817-
316 68 89744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62 12 14231-
64 29 3118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연구-교육에 열정을 잃은 공대 교수님들께 드리는 시니컬한 메세지...(ㅂㄷㅂㄷ)
392 - 약탈적 학술지에 세 번 게재했다고 죄인인가요?
31 - 대학원 네임벨류 순위가 궁금합니다.
34 - 교수님에게 들이박기
20 - 지방대생이 카이스트 ai 석사 붙었다고
65 - 카이스트 반도체공학 대학원 문의드립니다.
4 - 혹시 다른 분야도 RnD 예산 삭감 또 들어갔나요?
3 - 졸업한지 7년 된 학부생이 박사가 되어 교수님께 연락드리면
40 - 고용노동부에 본인 회사 일 시키는 교수님 신고 가능한가요?
21 - 나도 논문에 이런 그림 넣어보고 싶다
33 - 교수들은 연구할 시간이 없나요?
14 - yk ssh
3 - 대학원 전용 인트라넷 같은 것은 없나요?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좀 불쾌한 질문일 수 있습니다
20 - 나는 진지하게 CVPR 오랄은 NCS 본지급 난이도라고 생각함.
13 - 어느 정도 높은 저널에 못내면 실패한 연구인가요?
15 - 요즘 상위 저널들 데이터 의문이 많이 든다
20 - 연구실 석사 졸업요건
10 - 포닥 처우개선에 관하여 교수님께 드릴 베스트는 뭘까요?
8 - 학교를 두 번 옮기는 경우도 흔한가요?
11 - 대학원 신입생의 각오
9 - 2저자, 1저자 각각 1회 vs 공동1저자 2회
8 -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20 - 대학원 자퇴 고민
10 -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니. 논문실적이 전부는 아닌 듯
13 - 평일 9 to 11, 주말 쉬면 너무 적나요?
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90 - 미국 유학 준비하시는 분들 장학금 정보 공유합니다.
6 - 연구-교육에 열정을 잃은 공대 교수님들께 드리는 시니컬한 메세지...(ㅂㄷㅂㄷ)
392 - 약탈적 학술지에 세 번 게재했다고 죄인인가요?
31 - 대학원 네임벨류 순위가 궁금합니다.
34 - 교수님에게 들이박기
20 - 지방대생이 카이스트 ai 석사 붙었다고
65 - 카이스트 반도체공학 대학원 문의드립니다.
4 - 졸업한지 7년 된 학부생이 박사가 되어 교수님께 연락드리면
40 - 고용노동부에 본인 회사 일 시키는 교수님 신고 가능한가요?
21 - 나도 논문에 이런 그림 넣어보고 싶다
33 - 교수들은 연구할 시간이 없나요?
14 - 대학원 전용 인트라넷 같은 것은 없나요?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하향 지원했어... R1이면 다 좋을 줄 알았는데, 후회됩니다.
20 - Robotics 탑스쿨?
14 - 미국 박사 유학 준비 중인 자연계열 학부 4학년 조언 부탁드립니다.
24 - 석사 학교 고민…
15 - 미박 학교 선택
15 - 어느 정도 높은 저널에 못내면 실패한 연구인가요?
15 - 요즘 상위 저널들 데이터 의문이 많이 든다
20 - 연구실 석사 졸업요건
10 - 학교를 두 번 옮기는 경우도 흔한가요?
11 -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20 - 대학원 자퇴 고민
10 -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니. 논문실적이 전부는 아닌 듯
13 - 평일 9 to 11, 주말 쉬면 너무 적나요?
12
2025.02.11
대댓글 1개
2025.02.11
대댓글 1개
2025.02.11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