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기사 읽은거 맞음?
결국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 개선하고
직급과 직무 우선주의인 직무급제 시행해서 정년 늘려도 경영부담 안되게 바꾸고 실력과 직무에따라 임금 더 받게 바꾸겠다는 기사인데 저걸보고
석사=박사라고 결론내는거임?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30 - 팩트는 MDPI 들고 석사졸업해도 잘한거임 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6 - 환경주의자 LGBT 이런거 좋아하시나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3 - AI를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동의합니다 과학 기술 발전 과정 중 소외된 부문들에 대해 눈을 돌릴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2 - 동의합니다... 언젠가부터는 필요에 의한 발전이 아니라 작성자님 말씀처럼 '발전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5 - 정말 공감합니다.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사람 입장에서 인문학적인 지식도 많이 알아야되는거 같아요. 뭐든 “왜”가 빠진 발전은 결국 파멸을 불러 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4 - 과학기술이 발전해온 양상을 살펴보자면, 사실 과학에 인류 전체의 복지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이 가미된 건 극히 최근 들어서의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장 칼세이건의 저서 코스모스에서도, 고대 과학자들이 인류의 안녕을 고민했다는 언급은 없었죠. 때문에 인간이 과학이라는 행위를 하는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미지에 대한 탐구와 이해 그 자체에 가깝다고 봅니다. 오히려, 이 당시 사람들의 행복과 심신의 안정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은 종교인이 아니었을까 해요.
고대를 지나, 인류사의 여러 시점에 과학자들이 등장하죠. 데카르트, 오일러,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수많은 사람들이 과학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그것은 인류의 행복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학문적 호기심과 성취욕에 의한 업적으로 보입니다.
중세를 넘어 근대로 오면, 과학이 인류 전체를 위한 학문이라는 교과서적인 말에 의구심을 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방직기의 자동화를 필두로 이루어진 산업 혁명은 인도를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시켰고, 이후의 극적인 산업화는 러다이트 운동이 촉발될 정도로 노동자들을 곤궁하게 했죠. 그런가하면 하버 보슈라는 인간은 살상용 독가스를 만들고는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물론 인류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들도 다수 있지만, 그러한 예시들이 인류가 과학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성을 대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히려 누군가의 이권을 위해 추구되는 경향이 강하죠. 기술 자체는 가치중립적이라는 말들도 많이 합니다만, 이는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담기는 의미가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어떠한 문맥도 없이 고유한 의미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건 그냥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2 - 깨시민인척 하지만 본인의 능력 부실을 저주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세상을 저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는 점 잘 알았습니다.
부족한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비슷한 사람들과 즐겁게 살아가시면 됩니다. 다만 이상한 신념을 구구절절 설파하며 정상인들의 노력하는 사회를 병들게 하지말아주세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5 - 출연연같은데는 잘모르지만 일반적인 기업에서는 정반대인거같은데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1 - 학부입결을 왜 여기에 물어보시는지... 굳이 답하자면 학과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포스텍과 연고대 입결차이 꽤 크고, 졸업 이후 차이는 그보다 더 크다고 봅니다. 서카포/연고 라는 인식이나 순위가 괜히 만들어지고 유지되는게 아니긴 합니다. 하지만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연고대 선호도가 올라간건 사실입니다. 예전이 9:1이라면 지금은 7:3 정도의 체감이네요.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8 - 어떤 이유로 이런 등신같은 소리를 하시는지...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3 - 요즘은 학부만 놓고 보면 SK YKP가 맞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20 - 학부생들 댓글 재밌네요 ㅋㅋㅋ 취업 할 때 되면 정신 차리겠죠~ SKP랑 YK의 취업문 자체가 다르다는 걸 학부 저학년들은 알 리가 없으니...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2
학부 인턴과 석사 진학 관련 도와주세요!
2025.02.10

학점은 4.0, 전공은 4.1이구요
성적 장학금 한번
수상경력 한번
대외활동 2회
토익 900
현재는 유럽으로 교환학생을 와있습니다.
국숭세단에서 학부를 하고 있고 연구실 경험이 아직 없습니다
석사를 희망하는데 스펙이 많이 부족한 것 같아서 어떻게 입시 전략을 해야할지 의문입니다.
다행히 학점은 다 들어서 학부연구생을 한다고 하면 4-2부터 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저희 교수님들은 학기중에 학부연구생은 많아야 자대 석사희망자 한두명 정도만 뽑아서 자대에선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제가 걱정인것은
1. 다른 대학교도 마찬가지인지 알 방법이 없는데, 마찬가지라면 4-2에 어차피 어디서도 학부연구생을 하지 못하게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어떻게든 이때라도 연구실 경험이 없으면 너무 늦을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2. 만약 운이 좋아서 타대나 정출연에 학부연구생 컨택이 되어도 한국에 돌아가면 빨라야 여름방학부터 연구실 경험을 쌓을 수 있는데 그 전이나 비슷한 시기에 대학원 입시가 진행되기 때문에 연구실 경험을 경력으로 작성할 수 있는지가 의문입니다.
3. 에기연, 키스트, 크리스 등의 기관에서 학위연계로 석사진행까지 하는 것이 어떠한지 객관적인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연구가 직접 대학교에 소속되는 것과 어떻게 다르게 진행되는지, 스스로 어느정도 성과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해 차이가 있는지 등)
4. 저의 스펙으로 과기연, yk 등의 대학원에 가는것이 얼마나 어려운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디서는 티오가 남는다고 하고 어디서는 어렵다고 하고... 물론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래도 대강 인기랩 기준으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68 19 25320 -
272 25 31449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2 82 3483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30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5 - 도대체 교수님은 저놈을 왜 박사시켜주는건지 모르겠습니다
3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9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7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9 - 인공지능 분야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8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3 - 지거국 석사 월급..
9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6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번아웃 교수님
7 - 개꿀박사 이게 맞는걸까요?
14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11 - 개빡대가리 선배 때문에 힘듭니다
9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25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30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5 - 도대체 교수님은 저놈을 왜 박사시켜주는건지 모르겠습니다
3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9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7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9 - 인공지능 분야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8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 고민
56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3 - 지거국 석사 월급..
9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6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개꿀박사 이게 맞는걸까요?
14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11 - 개빡대가리 선배 때문에 힘듭니다
9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25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