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학회 구두 발표 경험(포스터발표 1번)이 없는 석사 과정 학생입니다. 신생랩이라서 같이 입학한 석사과정 동기들만 있어서 이런 사소한 건 물어볼 곳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학회 경험이 많진 않지만 학회에서 구두로 발표하는 학생들이 멋있고 저도 해보고 싶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발표하고 이러한 연구가 어떤 저널에 발표되었다는 이야기를 꼭 하셔서 저도 구두발표를 하려면 좋은 곳에? 논문을 내야지만 할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분야는 바이오(화생공)고 제가 가는 학회는 학생들 발표 시간이 따로 있긴 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1.28
글쎄요. 논문이 어떠 저널에 이미 투고된 내용을 발표했기 때문에 그런 것 같은데요? 현재 진행 중인 연구를 가지고 발표하시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2025.01.28
아닙니다. 원래 19세기부터 학회 발표는 논문과 더불어 자신의 최신 과학적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였습니다. 현재에도 패러다임 전환이 매우 빠른 CS분야는 아직도 그렇게 하고 있구요.
하지만 현재 의학/자연과학분야에서는 정량적 실적으로 저널에 정식 출판된 논문만 인정을 해줍니다. 이 논문으로 교수자리도 잡고, 회사도 취직하고 하니 모두 논문 출판에 목을 매는 것이죠. 경쟁이 심화되고, 결국 점점 학회에서는 진짜로 자신이 현재 연구하고 있는 따끈따끈한 내용은 발표하지 않게 되어 버렸습니다. 학회에서 모든것을 발표해버리면 논문에서의 신규성이 사라지고, 또 경쟁 랩에서 방법론을 따라할 수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지금 대부분의 학회에서 발표되는 내용들은 안전하게 미리 투고되거나 출판된 논문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게 된 것입니다.
2025.01.28
아무상관없음 수준만 적절하다면 발표가능
2025.01.28
그냥 구두발표로 선정되기만 하면 됩니다. 다만 말씀하신 케이스는 학회측으로부터 따로 초청을 받은 케이스로 보이네요. 보통은 본인이 학회에 발표한 내용을 발전시켜 저널에 투고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저널에 게재된 논문을 같은 소사이어티 학회에서 발표해달라고 초청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케이스가 아닐까 싶네요.
2025.01.29
논문이 아직 안나왔어도 가능해요 저도 석사 졸업전에 안나왔지만 나올 내용으로 구두발표 했어어요.
2025.01.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아직 논문 작성 단계라서 논문은 언제 나올 지 모르겠지만 이번 학기에 구두발표는 한 번 도전해 보겠습니다
2025.01.29
여러경우가있으니 일반화는 어렵죠. 컨퍼런스 풀페이퍼로만 제출해서 accept된것이 구두발표주는곳도 있고(흔히말하는 탑컨퍼), 같은 출판사(예, IEEE)에 투고된 논문중 구두발표를 할수있는 기회를 줄수도있고, 학회규모가 작은곳은 abstract만 제출하고 이것이 채택되면 구두발표해주는곳도 있습니다. 윗에서 크릭님이 말하시는건 두번째나 세번째에 해당되는 겁니다. abstract만 제출할때도 online publish되는지 안되는지 확인해보셔서 copyright 문제 없도록 철저해야됩니다. 가고자하는 학회에따라 갈릴듯합니다. 그외에 포스터세션같은건 또 다른개념이고, 학생들 팀끼리 challenge하는 세션도 있고, Late breaking Work라는것도 있고 다양합니다.
2025.01.30
교수랑상의
2025.01.30
어느 정도 진도에서 구두 발표 신청을 하느냐, 어느 정도 학회에 신청을 하느냐, 이런 문제는 지도교수랑 상의하기 바랍니다.
본인이 ‘이 정도면 괜찮지 않을까?’ 해서 제출하고 심지어 구두발표에 선정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지도교수와 상의하고 의견을 물어야 합니다.
2025.01.30
학생 세션이 따로 있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습니다
2025.01.30
논문이랑 상관없이 학회에 등록만 하면 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아요
2025.01.31
CS 및 AI는 페이퍼 제출 후 피어리뷰 거친후 통과된 논문 중에 소수의 논문만 선별해서 구두발표해요
2025.01.28
2025.01.28
2025.01.28
2025.01.28
2025.01.29
2025.01.29
2025.01.29
2025.01.30
2025.01.30
2025.01.30
2025.01.30
202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