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k 신소재공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석사과정을 하고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졸업이 점점 다가오면서 지금 연구실에서 석박통합으로의 전환과 spk 연구실 박사과정 컨택을 고민중인데, 산학장학생 등 대기업 박사취업에 있어서 spk와 yk의 차이가 클까요? 현재 연구실에서는 지도교수님이 박사과정 3.5년 졸업을 약속하셨는데 spk는 박사과정을 보통 5년은 하는거 같아 고민이 됩니다. 또 회사에서 spk 박사가 yk박사와 비교하여 갖는 메리트가 있을까요?? 단순히 spk와 yk를 비교하면 spk가 좋지만 사회나가고 돈버는 시기가 늦어진다고 생각하니까 고민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1.21
차이 안큼. spk 학부아니면
대댓글 1개
2025.01.21
그렇군요.. spk에서 근데 4년졸업은 안흔할까요??
2025.01.21
미박도 아니고 애초에 박사를 대학 차이로 취업한다는 생각 자체가 틀림..
대댓글 4개
2025.0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pk랑 yk 이상은 그래도 된다고 봄.
그 상위권 안에서도 다른 세상임
2025.01.25
그냥 대겹이아니라 대겹내에서도 얼마나 좋은 부서를 갈수있느냐에 학벌이 당연히 중요..
2025.01.26
한해애 얼마나 많은 spk yk ssh ist 박사가 쏟아지는데 부서가 달라진다는 헛소리를 하냐 .. 그냥 대통령할 수 있다고 해 ㅋㅋ
2025.01.26
그냥 미박 발끝에도 못미치는 수준임
2025.0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은 이미 상위 1퍼에요,무엇이든 할수있는 방법을 알고 있는 똑똑한 분이세요. 그러니 박사를 하시길 원하시면 전 최대한 높은곳 추천드릴게요. 왜냐면 인생 지금만 살것도 아니고, 취업이 목적이시면 가서도 사람들 만나야죠. Yk 사람들도 있으니 더 높은 spk사람들도 만들어놓으면 결국에는 좋은거죠.
저는 메리트라고 생각하지말고 높이 가는게 당연한거라고 생각했음좋겠어요. 이미 고급인력이시잖아요 거기서 한걸음 더 업그레이드시킨다고 생각하시는게 좋을거구요.
그리고 3.5년이나 5년이나 말이 차이나는것처럼 보이죠. 오늘만 살건 아니고, 오늘만 돈벌건 아니잖아요. 그리고 진짜 3.5년이 되겠어요?ㅋ 그안에 취업도 하셔야되는데 ㅎ 어차피 교수가 시키는게 아니고, 본인이 미치게 해야 가능한거죠 ㅎㅎ
박사 후에 올 것들을 생각하는게 좋을겁니다.
그래서 전 spk 가셔서 본인 커리어를 더 업그레이드 시키는게 좋은거 같아요. 본인 자대친구들은 저처럼 생각 안할가능성이 커요,이미 상위권이고, 가족도 아닌 남이니까요 ㅋ
대댓글 3개
2025.0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사 하시다보면 본인 목표도 변할수도 있고, 여러 변수가 있어요. 그러니 더 좋은곳 가셔서 박사 해보시는거 추천드려요. 괜히 남들이 spk가는거라고 생각하진 않을거잖아요 ㅎ
2025.0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나 더 덛붙이자면 석사 박사 학위는 회사서도 다 경력쳐줍니다. 그럼 딸수있을 때 높은 학위 받는게 좋다는거임.
앞으로 돈을 십수년을 고액으로 벌건데, 겨우 1.5년 그것땜에 포기하면 좀 그렇죠
2025.01.22
댓글 감사합니다!
2025.01.21
3.5년이면 최소1.5년을 아끼는건데? 무조건 자대가야지 이건 진짜ㅋㅋ
2025.01.21
학교를 바꾸면 5년 할 수 밖에
2025.01.22
본인이 있는 환경에 따라서 답이 달라질것같습니다. 본인이 있는 환경이 spk출신 혹은 미박이 대다수인 곳에 있으면 나중에 후회할수도있겠죠. 아니면 정말 다양한 출신들이 있는곳에 있으면 전혀 후회할일이 없을것같습니다. 연고대는 누가뭐라해도 우리나라에서 서울대 다음가는 가장좋은 종합대학입니다. 연고대 학석박나왔다고 spk박사에 비해서 손해보는일은 없을거에요.
2025.01.21
대댓글 1개
2025.01.21
2025.01.21
대댓글 4개
2025.01.21
2025.01.25
2025.01.26
2025.01.26
2025.01.21
대댓글 3개
2025.01.21
2025.01.21
2025.01.22
2025.01.21
2025.01.21
2025.01.22
2025.01.22
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