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임상논문 IF높은 저널에 내는 방법.... 좀 윤리에 어긋나지만,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1.13

13

3243

IF높은 곳에 내야 명성도 얻고, 펀딩도 많이 얻을 수 있어, 조금은 비윤리지만 이런 방법이 있습니다.

1. 실험 참여자 인원수를 다수 측정으로 늘린다.
2.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오는 데이터만 분석에 포함시킨다.
3. 누가 이의를 제기하면 적당히 논리를 생각해놓는다.
4. 논문에 두리뭉실한 설명을 집어넣는다.
5. 후속 연구자가 눈치채면, 적당히 짜를 구실을 댄다.
6. 학교에서 눈치채면 학생탓으로 돌린다.
7. 저널에서 눈치채면 실수라고 돌린다.

이런 방법 어떤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1.13

선생님 뭔 개 쌉소리신지요?

대댓글 2개

2025.01.13

아 기출변형인가요? 신고하세요

2025.01.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런......... 이미 성공한 사례가 있어요. 보여드려요?

2025.01.13

미친놈인가 데이터조작을 "조금은 비윤리" 이러고 있네

2025.01.13

이러한 놈들 때문에 10년 전에 ASA에서 재현 가능성.등을 중심으로 의약학 논문들 조사했었는데.약 20프로만 제대로된 분석에 기반했다는 연구결과도 있지.

2025.01.13

사례 보여주시죠

2025.01.14

다른 건 다 그렇다 치고 임상논문을 그렇게 쓴다고? Prospective trial을? IRB 넘버를 받았다고? Clinicaktriak.gov에 등록한 연구를? 아님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인가? 어느 것도 불가능한데? 물론 retrospective analysis야 내 맘대로지만 그래서 retro는 잘 안받아주지.

2025.01.14

아잇 졸업했구나!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유명 저널 에디터가 한 짓거리임.

2025.01.14

명성 얻고 펀딩 많이 받으려면 연구 제대로 해서 논문 많이 내는 게 답인데..

대댓글 1개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논문 많이 내려면 어떻게 해서든 유의차이를 찾아서 생색내는게 지름길임.

2025.01.14

이런 글이 올라오는 것도 신기하네

대댓글 1개

2025.01.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소송전에 들어가기 전에 이게 얼마나 우스운 일인지 생각을 모아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