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2 - 딱히.. 사실상 유승준급 병역기피자인데 한국에서 자리하기 힘들긴함
허준이 교수가 미국 국적이란게 너무 아쉽다
31 - 교수는 수업하는 직업이 아님...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28 - 뭘 쉬워 ㅋㅋ 최근 임용된 사람들 홈피가서 연구성과 봐 김박사넷 거주자들 100이면 99는 쳐다도 못보는 성과임
지거국 교수 임용난이도? 어떰?
58 - 진짜 그런 마인드로 교수하면 나라 망합니다.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25 - ㅋㅋㅋ 솔직히 한국에서 박사따거나 교수임용되면 부끄러운줄알아야함 근데 한국 교수들은 그 부끄러움같은게 없음 사회적 지위때문인가 싶음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24 - AI가 수학인거를 이제 알았으면 너도 그냥 아는게 없는거 아님?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23 - 내가 아는게 있었으면 미국 갔겠지 ㅋㅋㅋ 뻔한말을 하고있냐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23 - 솔직히 학문 기본기가 떨어지는건 맞다고 본다. 눈에 보이는 작은 실적이라도 얻으려고 늘 부산하게 쫓아가는 마인드의 연구자가 대다수이니... 그런데 그 이면에는 연구비 시스템 관리와 평가제도의 틀이 그렇게 만든 요소도 분명히 있음. 기초부터 제대로 하고 싶어도 교수가 처리해야할 행정업무가 산더미이고 연구비따고 명맥이어가려면 눈에 보이는 아웃풋 내야하고... 그래서 석박사 하면서시간날때 지금 잡고 있는 논문의 이론적 바탕들을 천천히 샅샅이 훑으면서 진행하는게 필요. 근데 또 그러면 바로 눈앞에 1저자 몇개로 순위매겨버리는 사회적 인식에서 안좋게 될까 고민하는거고... 딜레마가 잇음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19 - 그런 경우 교수가 좀 분위기 잡아줘야하는뎈ㅋ 계속 연구실 오피스 들락날락거리면서 언제 들어올지 모르니 마음 놓고 놀지 못하게ㅋㅋㅋ 대학원생이 낄낄깔깔 놀고 있는 모습 보면 진짜 한심 그 자체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11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연구실에서 시끄럽게 떠들면 먼저 책상을 내려칩니다.
또 떠들면 컴퓨터를 내려칩니다.
그러면 다시는 떠들지 않더라구요.
비록 저는 퇴학에 구치소까지 다녀왔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빠따가 남았으니까요.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63 - 님은 이미 학벌에 대한 차이를 받아드리고 있기 때문에.. 아마 덧글에서 어떤 이야기를 해도 잘 와닿지는 않을꺼 같네요.
학벌이 좋다는 기본적인 머리/지능이 된다 정도의 상관성만 있지 이것만으로 연구의 잘함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다른 변수들이 너무 많습니다.
연구는 수능이나 수학문제 풀듯이 문제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게 아니니까요; 결국 끈기/인내, 멘탈, 사회성 모든게 결합됩니다.
근데 님은 이미 지식과 지능은 정해졌고, 위 학교를 간다해서 본인이 바뀌는건 없고 환경이 바뀌는 정도죠.
즉, SKP로 옮겨도 연구 수준이 올라간다? 그런건 없습니다. 주변 동기/선후배들의 분위기가 달라질 수는 있어도 위에 말했듯이 학벌 좋은 사람들이라고 연구를 잘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건 랩by랩입니다. 또 학부처럼 수업 수준이 높고 교수님 수준이 높으면 더 잘해질꺼다 그럴수도 있는데, 대학원가서 하는 연구는 강의와 다르기 때문에 전혀 상관없구요, 교수님들 수준도 인서울 내에서는 큰 차이 없습니다.
지금 적으신 글로보면 글쓴이 연구실은 이미 괜찮은 연구실인거 같은데, 이 이상 잘 맞는 연구실을 찾을 확률보다 님이 그 연구실에서 더 열심히해서 좋은 논문 추가되는 확률이 더 크다고 봅니다;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0 - 교수 욕하는 학생들 중 인성 정상인 사람 없더라. 다 자기 부족함을 교수한테 투영할 뿐.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1
유니스트 Ai 대학원 합격 가능할까요?
2024.12.03

컨택전 객관적인 판단이 안되어 여기에 질문글 올립니다.
현재 학부생활 하며 쌓은 스펙아닌 스펙
인아부경 라인 3.6/4.5 전공 4.0/4.5
학부연구생 1년 - 데이터 관련 이론랩 (개인 논문 쓰고 있습니다.)
체험형 인턴 2개월 - 기획팀에서 데이터 분석 업무를 하였습니다.
스타트업 인턴 2개월 - 기업 ai개발팀 근무
전공 수업 개인 프로젝트 - 이건 스펙이 안될 것 같은데, 데이터 분석 관련 논문 구현을 직접 해봤습니다.
1. 1차 서류 합격 컷은 널널한지 궁금합니다.
제 스펙으로 1차는 될지 모르겠네요
2. 스펙, 비전공자 관련
물리학과라 인지공 컴공이 보기엔 비전공입니다.
물리학과이긴 하지만, 선대수나 통계물리 전산물리 빅데이터 물리 등 관련 수업 들은게 좀 있습니다. (물론 그래도 수학,통계,컴공 학생들에 비해서는 부족합니다)
데이터 분석쪽 코딩 지식은 어느정도 있습니다
3. 인지공을 국비로 넣으려고 하는데요
이정도로 보면 합격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13 19 53711-
152 50 58685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315 100 8866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84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69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3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80 - 대학원생의 스케줄, 루틴을 이해 못 하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설명해줘야할까요?
26 - 이 새끼를 우리 랩실에서 쫒아내고 싶다
55 - 막내를 대하는 교수님의 태도가 달라졌다
20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0 - 김박사넷에 들어와서 느낀 점
30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9 - 카이 서류 결과가 나왔네요
9 -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12 - 교수 연봉이 하는 업무에 비해 낮은 것은 100프로 인정. 그런데
4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허준이 교수가 미국 국적이란게 너무 아쉽다
23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4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38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25 - 파이썬 코드 작성 GPT 의존
17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감정적인 교수에게 석사전환 어떻게 말할까
11 - 교수가 자기가 가르치는 교재에 대한
12 -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0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1 - 카이 전산 코테
11 - 카이 전산 코테
7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84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69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3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80 - 대학원생의 스케줄, 루틴을 이해 못 하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설명해줘야할까요?
26 - 이 새끼를 우리 랩실에서 쫒아내고 싶다
55 - 막내를 대하는 교수님의 태도가 달라졌다
20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0 - 김박사넷에 들어와서 느낀 점
30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9 - 카이 서류 결과가 나왔네요
9 -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12 - 교수 연봉이 하는 업무에 비해 낮은 것은 100프로 인정. 그런데
4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57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2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58 - 미국박사 주립대 가능할까요?
16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3 - 허준이 교수가 미국 국적이란게 너무 아쉽다
23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25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교수가 자기가 가르치는 교재에 대한
12 -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0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1 - 카이 전산 코테
11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0
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