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ㅋㅋㅋ 남 물박사라 욕하지말고 본인이나 잘해여 ㅋㅋㅋㅋ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33 - 아니요 낮은 저널과 학회에 나오는 아이디어 99%는 탑티어 기술 적용해봤다 끝이고 의미없는 연구들이 99.99%입니다. 대기업 중소기업 개념이 아니라 그냥 디지털 공해입니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45 - 교수님을 개입시켜서 학생에게 한소리를 해야죠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1 - 헛짓말고 현생사세요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9 - 북한도 아니고 다같이 으쌰으쌰에 안꼈다고 이상한 사람 만드는 연구실 문화가 더 문제
연구실 분위기는 누가 망치고 있는지 다시 생각해보시길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38 - 대통령이 바뀌고 나서 뭔가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듯
지난 정부는 모든 측면에서 다 나사 빠져있었는데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34 - 신고에는 다 이유가 있다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22 - 아니 컨텍이 된것도 아니고 지금 당장 지원할것도 아닌데 혼자 뭐함?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3 - 가우스에 오물튀김씨, 그건 선 넘네요...
특히 대한민국처럼 대기업이 중소의 기술 대놓고 훔치다 여러번 걸린 전과로 악명높은 국가에서 그게 얼마나 아전인수같은 발언인지는 알고서 그런...?
해적저널 레벨로 떨어지지만 않으면 딱 좋소와 중견들의 짬뽕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래도 되도록 높은티어의 저널이 조아요.
저 밑의 댓글분이 좋은말 써주셨는데, 리처드 파인만의 편지처럼 '세상에 작거나 하찮은 문제는 없습니다'. 한국은 진짜...;;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2 - 자기들끼리 세력 만들고 규칙 만들어서 그거 안따르면 이기적이라는둥 해야할 일을 안한다는둥 몰아세우고 왕따시키고 내쫓는걸 기지고 협업 팀웍 이라는 숭고한 단어로 포장 하는듯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14 - 이런 능지를 가지고 계시니 취업해서도 노동자의 권리가 뭔지 알턱이 없으니 노란봉투법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9 - 위에 좌측분은 화가 많이 났네ㅋㅋㅋ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5 - 그런말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지방대 나와서 높은 학점으로 대학원은 SPK진학했지만 실력은 없어서 그냥저냥 대학원 다니거나 물박사로 졸업했으니 남은건 SPK대학원 다닌다는것 밖에 없으니 정신승리하는것임. 대학원은 어딜가든 자기 하기 나름인것임. 다만 상위 대학원일수록 본인이 잘될 확률이 높은 경향이 있는것임.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3
박사 학위에 관한 고민
2024.11.30

학부는 호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고, 현재는 일과 병행할 수 있는 서강대 석사 학위가 있어서 서비스 관련 전공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제 관심 분야는 학부때부터 마케팅이였고, 실제로 직장에서도 마케팅 관련 업무를 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마케팅 중에서도 서비스 마케팅에 관한 관심이 많습니다.
사실 학부 졸업을 하고 학문에 대한 관심이 많던 상태였다보니, 한국에 들어와서 석박 통합과정을 통해 학문을 이어나가고자 하였습니다. 하지만 우연찮게 좋은 기회로 취업을 하게 되었고, 취업을 하고 나서도 학문에 대한 관심은 가지고 있었기에 직장과 병행할 수 있는 대학원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서강대에 그런 과정이 있다고 해서 현재 공부와 일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직장인 대학원이나 MBA 대학원이 아닌 정식 경역학 석사 서비스 전공입니다.)
현재로써의 고민은 현실적으로 박사 학위를 일과 병행한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 이다라고 느끼고 있기에 제 석사 학위가 끝나는 시점인 2025년 9월에 맞추어 퇴사를 하고 박사 학위로 진학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 때가 되면 딱 입사 2년차라 이직하기에는 좋은 타이밍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 때, 오히려 해외로 다시 나가 (영어권) 박사 학위를 진학이 가능한 건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해외에서 중학교 시절부터 10년정도 거주를 했기에 영어는 자신이 있고, 실제로 회사에서 추가적인 보수를 받고 통역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고민들을 닷 포인트로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1. 현실적으로 한국 석사 학위를 따고 해외 박사 학위로 전환이 가능한지? (분야는 서비스 마케팅 혹은 마케팅)
2. 1번이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면 제가 석사 학위를 마치고 학문적으로 진학할 수 있는 방향성이 있을지? (예. 한국에서 박사학위로 진학 등)
이상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명예의전당 527 41 87333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68 25 77227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55 32 5185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8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300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2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5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51 - 옆 연구실 학생한테 논문 표절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1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5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0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8 - '연구 전념 환경 지원'…네이버클라우드, 5개 대학과 인재 양성 협약 (설카포고한)
4 - 요즘 확실히 학위 출신대학보다 실적 많이 보는듯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4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4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2 - 서울대 물리학과 타대생
12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23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2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1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10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2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2 - 대학원 간판의 중요성 고민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8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300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2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5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51 - 옆 연구실 학생한테 논문 표절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1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5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0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8 - '연구 전념 환경 지원'…네이버클라우드, 5개 대학과 인재 양성 협약 (설카포고한)
4 - 요즘 확실히 학위 출신대학보다 실적 많이 보는듯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8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4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4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2 - 서울대 물리학과 타대생
12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23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2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1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10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2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2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