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3학년이고, 전력반도체 관련 프로젝트도 여러 번하고 학부연구생도 하며 석사 진학까지 생각중입니다. 미래 전력반도체 역할은 정말 중요하고,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건 필연적입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취업을 생각하면 암울합니다. 매그나칩, 인피니언, 온세미컨덕터 등의 외국계 기업들은 채용인력은 정말 소수입니다. 또 DB하이텍, 삼성전자 등등 국내 전력반도체를 생산 또는 생산하려는 기업들은 있지만 사실 성장 가능성에 대해선 의문큽니다. 제가 대학원까지 마쳤을 미래에 경쟁력 있는 기업이 됐으면 하지만, 불확실합니다...
사실상 도박을 하는거나 마찬가지인데, 일반 반도체 대학원을 가야하나 고민이 됩니다. 모든 것이 저의 짧은 식견일 수도 있기에, 선배님들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11.23
모비스도 있지 않나요? 제대로 하는 데는 위 언급하신 곳들뿐이지만
대댓글 2개
2024.11.24
To 자체가 별로 없고, 무엇보다 펩이 없어서 커리어 쌓기에는 아쉬운 회사이긴 합니다… 사실상 논외긴 하죠
2024.11.27
그러긴 하네요... 사실 모비스가 왜 그 부사를 만들었는지도 의문이긴해요
2024.11.24
많이 고민 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4.11.24
근데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GaN 쪽으로 하신 건가요??
2024.11.24
일반 반도체가 낫습니다
2024.11.24
전력반도체 별로에요... GaN이나 SiC 같은 경우, 우주 산업에 쓰일 반도체를 연구한다고는 하지만.....
2024.12.12
제 생각엔 전력반도체 관련 프로젝트랑 학부연구생도 하셨기 때문에 해당 분야로 석사 과정을 진행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해주고 싶은 말이 많은데 일단 간략하게 말씀드리자면
1. TO 걱정 하셨는데 나열하신 회사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각 회사의 전력반도체 사업부 내에 각 Device별로 조직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SiC MOSFET, GaN HEMT, IGBT, SJ MOSFET, MV MOSFET 등등요 각 디바이스 조직 내에도 회사마다 세부적으론 다르겠지만 보통 선행 개발(TD), 제품 개발(Line-up), 양산개발(PI), 공정(제조), 응용기술, 품질 등 여러 팀이 있구요 그럼 러프하게 각 디바이스 내 팀 별로 1명씩만 뽑는다고 해도 30명이라 TO가 결코 작은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전력반도체는 지금 블루 오션이기 때문에 현직자들은 전력반도체 전공자들을 환영하는 상황이고요
만약, 메모리나 FinFET & GAAFET 같은 것을 전공 하시면 갈만한 칩메이커 회사는 삼성, 하이닉스 2곳 정도인데 연구하는 랩실은 무수히 많아서 오히려 더 힘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2. 목표하시는 직무가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만, 반도체 Physics, 공정, TCAD Simulation만 잘 알고 다루신다면 전력반도체 랩 석사를 하셨더라도 꼭 전력반도체쪽 분야를 취업 안하셔도 됩니다. 물론 교수님, 대학원 선후배를 생각한다면 전력반도체 분야 취업이 유리하겠지만, 이 3가지는 메모리 nm MOSFET, BCD, CIS, RF 등등 어느 반도체 분야를 가더라도 다 필요하거든요
2024.11.23
대댓글 2개
2024.11.24
2024.11.27
2024.11.24
대댓글 1개
2024.11.24
2024.11.24
2024.11.24
2024.12.12